View : 901 Download: 0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Title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Other Titles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in Korea
Authors
김미성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최근 전반적인 실업률 감소에도 불구하고 대학 졸업자의 실업률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며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은 국가적 차원의 막대한 교육비용 손실을 초래하고, 경제 활동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의 자신감 상실, 사회부적응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대학생 개인은 물론이고 대학과 정부차원에서도 대학 졸업자의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은 쉽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취업준비노력의 효과에 대해서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나타나면서, 대학생과 대학 및 정부는 취업준비 및 지원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인하여 본 연구는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취업성과요인을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와 월평균 임금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별, 대학특성군, 대학생활군, 취업준비활동군으로 나누었다. 대학특성군에는 201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를 기준으로 한 대학순위와 대학소재지가 포함되었으며, 대학생활군에는 대학학점 평균, 부(복수)전공여부, 전공계열이 포함되었다. 취업준비활동군에는 자격증취득 여부, 해외연수 경험여부, 취업사교육 경험여부, 취업컨설팅 경험여부, 취업스터디 경험여부, 면접훈련 경험여부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성별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학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학교생활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취업준비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청년패널 2007(YP 2007)의 1차년도(2007년)부터 4차년도(2010년)까지의 자료를 결합하였으며 가능한 동질적인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로 대상을 한정하여 그 중 취업자 533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과 종속변수의 종류에 따라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성별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월평균 임금에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임금을 받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특성군에서는 대학순위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와 월평균 임금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소재지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군에서는 부(복수)전공 이수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와 월평균 임금 모두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공계열에서는 공학계열 전공 여부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전공계열과 대학학점 평균은 두 취업성과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활동군에서 자격증취득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와 월평균 임금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컨설팅 경험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취업스터디 경험은 월평균 임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그 외 취업준비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차원과 대학, 정부차원에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차원에서는 취업준비활동 중에서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격증 취득, 취업스터디, 취업컨설팅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해외연수나 취업사교육은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무분별한 해외연수나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대학차원에서는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와 기업의 낮아진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 사회와 기업의 요구를 반영하는 커리큘럼 개발, 공정한 평가 등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이루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정부와 기업차원에서는 여전히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노동시장의 차별에 대해서 각성하고 양성 평등한 선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대학서열화에 따른 기업의 고용 관행에서 벗어나 역량중심의 채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에 대한 원인분석과 아울러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1차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한계가 있었으며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변수를 설정할 수 없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학특성군에서 대학순위와 대학소재지만을 고려하여 대학교육의 질적 측면의 효과를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교원 1인당 학생 수, 성적평가 분포, 산업체 연계 교육과정 개설현황, 현장실습 운영현황 등 대학교육의 질적 측면에 대한 요인을 추가하여 후속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Despite the overall reduction in the recent unemployment rate, the ratio of university graduates in specific has shown a gradual increase, emerging as a major social concern. Accordingly, much effort has been put forth not only by the students themselves but at the school and government leve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handling the unemployment crisis of university graduates still remains a difficult challenge. In addition, conflicting research results on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job finding efforts fail to provide the students,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with helpful information for preparing for and supporting the employment. Concerning the current problem of university graduate's unemploymen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job finding performance of university graduates. Based on the review and examination on the prior studies, this study first defined two criteria of employment performance;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and average monthly wage. Then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performance were identified and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gender, university characteristics, university life, and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clude the school ranking -provided by Joongang daily newspaper in 2012- and location, and university life features include student GPA, double major or minor study, and field of the major. Career preparation features consist of students' experiences of acquiring licenses or certificates, studying abroad for English, getting a career education, having employment consultation, joining career preparation studies, and training for job interviews. This research established four subjectiv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does the gender influence the employment of general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Second, does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s affect the employment of general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Third, what influence does the university life features have on the employment of general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Fourth, what influence does the job preparation activity have on the employment of general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The 1st(2007) to the 4th(2010) year data of the "Young Panel"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organization- were combined to verify for the addressed research questions above. Also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homogeneous group of university graduat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only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and 533 employed people of all participants became the final subjects of study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cross tabu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was able to identify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the gender does not influence the employment of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but it has negative influence on the average monthly wage. Second, in term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school rank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employment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and the average monthly wage, whereas the location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either employment or wage. Third, among the university life features, having double major or minor has negative effect on both the employment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and the average monthly wage. Regarding the field of major, studying in engineering prov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of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Other majors and student GPA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 to either employment performance. Fourth, among th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cquisition of licences or certificate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both employment of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and the average monthly wage. Having employment consult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employment, and career preparation studies positively affected the average monthly wage. Other activitie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employment performance at the student,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 First, at the individual level, stud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acquiring licenses or certificates, joining career preparation studies, and getting career consultation which prov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Especially, as abroad language study or private career education show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students are suggested not to rely too much on those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Second, universities must exert every effort to restore the currently fallen trust of society and corporations on the quality the university education by developing curricula that embraces the social and corporate demands, implementing fair evaluation and thereby achieving the high qua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education. Third, at the corporate and governmental level, they must acknowledge the existing gender discrimination on female in the labor market, and try to secure the equal opportunity for both genders. Also in order for the corporations to do away with its practice of hiring people according to the ranking of the university, and evaluate on the individual's career capability, an institutional measures must be appli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ook the empirical data to analyze the cause of un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The study also synthetically examined the career acquiring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graduates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performance, which enabled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fluential factors of employment. However, the study used only primary sources and thus made it unable to set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intention. Another limitation is that the study did not entail the quality of education in its consideration on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s, hence its effect 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erform a follow up study in which more qualitative aspects of university education was added, such as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grade evaluation distribution, status of education procedure in connection with industry, and the operation of field experience trai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