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덕유-
dc.contributor.author엄지연-
dc.creator엄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2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208-
dc.description.abstractPressure ulcers increased hospitalization of patients and decreased the quality of care. Recently, Nurses are responsible for pressure ulcers and an indicator for quality control. Nurses are interested in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pressure ulcer preventive intervention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evidence examining interventions to prevent pressure ulcers. For the original review, Thirty-five articles were identified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study was assessed using the Jadad scales. For statistical analysis, SAS 9.2 and R version 2.11.1 (2010-05-31) software using chi square test, mean difference test was conducted. Position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the incidence of pressure ulc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14.52% to 41.54% in the contro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01). The incidence of pressure ulcer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a protein and a multivitamin, the incidence of pressure ulc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8.52% to 38.46% in the contro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01). Dynamic pressure redistributions conducted in four papers, the incidence of experimental group was 7.11% to 15.10% in the contro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05). Static pressure redistributions conducted in twelve papers, the incidence of experimental group was 14.64% to 14.03%in the control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548). Dynamic and static pressure redistribution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411). Position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showed statistically the greatest rate of chang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28). There is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repositioning in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Therefore, In clinical practice preventive care practices can be applied with constantly.;최근에는 욕창의 발생에 대한 책임이 간호사에 대한 법적 소송으로 진행되면서 병원, 요양원 등에서는 간호 질 관리 지표로 욕창 발생률에 대한 평가를 제시하는 등 욕창 예방을 강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 실무에서 관심분야인 욕창의 예방적 중재에 대한 논문을 체계적으로 검색&#8228;고찰하여 욕창 발생률을 분석함으로써 체위변경, 영양, 압력 감소 중재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고, 욕창의 예방적 중재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욕창의 예방적 중재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체계적 고찰로 본 연구의 수행 절차는 연구 대상의 선정, 논문 검색 및 선택, 논문의 선정 및 제외, 연구의 질 평가, 자료 분석 과정에 따라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논문의 선택과정은 Prisma 2009 flow diagram에 따라 시행하였으며 분석 논문으로 선정된 대상 논문의 수는 총 35편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의 질 평가는 Jadad 등(1996)이 제시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질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SAS 9.2와 R version 2.11.1 (2010-05-31) software를 이용하여 chi square test, mean differenc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30도 각도를 유지한 체위변경 중재 실험군의 욕창 발생률은 14.52%였고 일반적인 체위변경 중재를 실시한 대조군의 욕창 발생률은 41.54%로 두 집단 간의 욕창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중재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단백질과 복합비타민을 제공한 영양 중재에 따른 실험군의 욕창 발생률은 28.52%였고 일반 영양 중재를 실시한 대조군의 욕창 발생률은 38.46%로 두 집단 간의 욕창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중재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동적 압력 감소 중재에 따른 실험군의 욕창 발생률은 7.11%였고 일반 병원 침대를 제공한 대조군의 욕창 발생률은 15.10%로 두 집단 간의 욕창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중재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정적 압력 감소 중재에 따른 실험군의 욕창 발생률은 14.64%였고 일반 병원 침대를 제공한 대조군의 욕창 발생률은 14.03%로 두 집단 간의 욕창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중재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548). 동적 압력 감소와 정적 압력 감소 중재를 비교한 결과 동적 압력 감소 중재를 실시한 실험군의 욕창 발생률은 19.54%였고 정적 압력 감소 중재를 실시한 대조군의 욕창 발생률은 21.44%로 두 집단 간의 욕창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중재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411). 욕창 예방적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욕창 발생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30도 각도를 유지한 체위변경 중재가 욕창의 예방적 중재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p=.028). 따라서 현재 임상에서 욕창의 예방적 중재로 체위변경&#8228;영양&#8228;압력 감소 중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연구 결과 가장 욕창 예방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된 30도 각도를 유지한 체위변경 중재를 간호사들은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의 건강 상태를 고려한 영양의 제공과 압력 감소 장치를 이용하여 욕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 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4 C.용어의 정의 5 II.문헌 고찰 6 A.욕창 발생 및 위험요인 6 B.욕창의 예방적 중재 10 III.연구 방법 18 A.연구 설계 18 B.연구 대상 선정 18 C.논문 검색 및 선택 20 D.논문 선정 및 제외 21 E.분석 논문의 질 평가 21 F.자료 분석 26 G.연구의 제한점 26 IV.연구 결과 27 A.욕창의 예방적 중재 논문 27 B.욕창의 예방적 중재의 동질성 검정 41 C.욕창의 예방적 중재 유형에 따른 효과 45 D.욕창의 예방적 중재 효과 차이 50 V.논의 51 VI.간호학적 의의 57 VII.결론 및 제언 59 A.결론 59 B.제언 60 참고문헌 61 부록 77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37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욕창의 예방적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Systematic Review for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Interventions-
dc.creator.othernameEom, Ji Yon-
dc.format.pagev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