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조선후기 수보(繡褓)의 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조선후기 수보(繡褓)의 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Fashion Design with Application of the Embroidered Pojagi Patterns in Late Chosun : Focused on Gutta Resist Technigue
Authors
이수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취경
Abstract
The contemporary modern world is excelled to shift the era of globalization from the former internationalization. This trend has spreaded to the whole universe and the world is in the middle of rebuilding of the identity which nations, areas and individuals have had. The change we recognize nowadays has influenced significantly in Fashion which reflects the culture of one age, in the recent collections of many designers these themes of finding the original identity are spotted frequently. The rapid cultural change stimulates designers to search the true identity by excavating and renovating with the various artistic design of the past. The past motives illuminated with these new point of view develops the original images and those works mean not the reproduction of traditional costumes but the presentation of one's own culture and the expression of artistic imagination in that cultural community. The creative expressions reveal the active will of art, so the rediscovery of the contemporary and global motives from its own tradition through fresh imagination and the study of newly recreated materials and methods are left to us for the important task. On the other side, human instinct to the beauty has shown the will of modeling their era and this has been expressed by shapes, materials and patterns in fashion. Especially, patterns has revealed the men's spiritual and material world and they have been visible and direct expression methods and played decorative and incantational roles. And dyeing can't be divided with costume on the side of revelation of beauty and it has been developed as the expression of artistic imagination or decorative elements with costume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dyeing techniques has its ancient origin and history but shown late progress and many problems, however it has some specialty to present various formative art with unique techniques. This study focused in putting the beauty and formative senses of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into costume with dyeing techniques. In course of the work, with utilizing the traditional embroidered Pojagi pattern of Chosen dynasty in costume decoration, this thesis will suggest the modern application of traditional pattern and new dyeing technique ‘Gutta resist' which would offer the alternative approach for developing new and unique decorative materials to nowadays fashion world. This thesis aims at offering the possibility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ashion and the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 by containing the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patterns with modern utilizing of them and presenting the another effective approach to costume materials with handcraft methods to the modern fashion world depending the mass product of factories. The study analysed books and bibliographical materials which contain the study and pictures of Chosen embroidered Pojagi patterns amo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researched ‘Gutta resist' dyeing technique to use decoration in costume design. First, the historical records and kinds of traditional Pojagis were researched and divided by shapes, status of bearer, materials, decoration and use. Among traditional Pojagis, the general characters of the embroidered Pojagi was focused. Second, The types and each meanings of late Chosen embroidered Pojagi were analysed to find the formativeness and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 various presentation of traditional pattern was studied by the examples of application of the embroidered Pojagi patterns. Third, with rearrangement of the general resist dyeing concept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resist dyeing techniques and characters and the design examples of the resist dyeing, ‘Gutta resist’ dyeing method was suggested for the appropriate decoration in costume design. I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will present eight newly decorated pieces of the embroidered Pojagi pattern motivated costumes. The decoration mainly consisted of the major botanical motives from the embroidered Pojagi patterns and reconstructed with the complex patterns of nature and animals. The motives of the costume decoration were presented by ‘Gutta resist’ dyeing technique and it will suggest the simple and effective way to apply the traditional patterns to the clothing works and replacing the established iron and paste resist dyeing. And the method of quilting, ‘Cut-Out' and applique would help to express the feeling of relief and emphasize the grand decorations and patterns in additional way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Chosen embroidered Pojagi patterns which are simple and full of graphics give great applying materials to modern costume. And the delicate patterns and beautiful colors of Pogajis give abundant decorating effect of the costume surface by utilizing into dyeing, quilting, Cut-Out, and mechanical embroidery. Second, the creation of new formative materials through various decorating techniques confirms that the material itself can be not only the material for clothes but the inspiring source of costume design as the new element of whole design process. Third, ‘Gutta resist dyeing' technique would propose the alternative method of dyeing to avoid the cumbersome and old resist printing and to apply actively and effectively to creating the clothing works with the creative design will. This dyeing technique is quite effective in modern reproduction of delicate traditional patterns with its easy method and it would offer various utilization and application. Fourth, the symbolic and incantational patterns of traditional images in the late Chosen embroidered Pojagi patterns reveals the possibilities as the infinitive source of modern artistic inspiration in resent fashion which represent our own hopes and wills in modern senses. In the course of the study, the traditional patterns were affirmed for the artistic motives and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of external beauty, so the incantational and symbolic meanings in them were the reflection of our own spiritual world. Thus this study hopes to help suggest and inform the original presentation of traditional images of our own in costume design. And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thesis can be one of the basic steps in urgent demands of the further study to find various approaches and trials to search the new sight for the traditional patterns.;오늘날 현대는 국제화를 넘어 세계화 시대로의 비약적인 도약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민족, 지역, 개인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한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는 패션에 있어서도 밀접한 영향을 끼쳐 최근 디자이너의 컬렉션에서도 이러한 정체성의 재정립을 테마로 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이렇듯 급속한 문화의 변혁은 패션에 있어서 디자이너로 하여금 정체성을 찾아 과거의 다양한 예술형태에서 디자인의 모티브를 발굴 재창조하게 한다. 이렇게 새로운 시각으로 탐구 재조명된 과거의 전통적 모티브는 새로운 소재와 기법들과 더불어 고유한 이미지를 발현하는데, 이는 전통의 단순한 재현이 아닌 각 나라의 고유한 문화의 표현, 즉 문화 공동체의 미적 상상력의 표현을 의미한다. 이러한 창조적 표현방법들은 패션에서의 적극적인 미적의지로 작용하므로 현대 패션에 있어서 참신한 상상력을 동원한 동시대적이고 세계화된 전통적인 모티브의 재발견과 더불어 새롭게 재창조된 소재와 기법의 연구란 패션의 세계화를 위한 중요한 과제라 하겠다. 한편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본능인 미의식은 역사의 시작과 더불어 시대적 조형의지를 보이며 발달하였는데 의상에서는 형태나 소재, 문양 등의 장식적 요소로 표현되어 왔다. 특히 문양은 인간의 정신세계와 물질세계를 미적으로 발현하여 가시적이고 직접적인 의미표현수단으로서 장식적이면서 동시에 주술적인 역할을 해왔다. 또한 염색은 미적 발현이라는 측면에서 의상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인류의 역사와 함께 미적 상상력의 표현으로서 혹은 장식적 요소로서 의상과 더불어 발전해왔다. 염색은 그 기원과 역사가 오래되었음에도 다른 분야에 비하여 발전이 늦고 표현범위의 제약 등 여러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지만 염색만이 표현할 수 있는 독특한 기법과 효과를 통하여 다양한 조형미를 발현할 수 있다는 특색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의 현대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의 탐색작업이라는 측면에서 한국 전통 문양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염색기법을 위주로 의상의 장식적 요소에 반영하였다. 여기서 의상의 장식으로서 활용된 소재는 우리 민족의생활 속의 미를 담은 전통생활용품 중 조선후기 수보의 문양을 응용하여 전통문양의 미적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표현하였고, 그 표현방법에 있어서는 구타(gutta)방염기법을 도입하여 독특한 장식소재의 개발을 도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문양의 현대적 활용을 통해 전통문양의 미적 조형성을 현대 패션에 투영하여 우리나라 패션의 세계화와 전통계승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한편 수공예적 기법을 도입하여 대량생산에 의존하고 있는 오늘날의 패션계에 소재에 대한 또 다른 접근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통문양 중 조선시대 수보의 문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의상디자인의 장식으로 활용될 구타(gutta)방염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보자기의 역사적 기록들과 그 종류를 형태, 신분, 소재, 장식,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알아보고, 그 중 수보의 일반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조선후기 수보의 문양의 종류와 각각의 의미를 분석하여 그 조형성과 상징성을 알아보았으며, 수보 문양이 현대 의상에 사용된 사례를 들어 전통문양의 다양한 표현방법을 살펴보았다. 셋째, 일반적인 방염기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종류와 특징을 분류하였으며 방염기법을 활용한 의상디자인의 사례들을 살펴보는 한편, 의상디자인에서의 장식으로 활용되기에 적절한 구타(gutta)방염법을 중심으로 그 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후기 수보의 문양을 모티브로 응용하여 새롭게 조형한 소재를 장식으로 활용한 총 8점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모티브는 수보의 모티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 식물문을 중심으로, 자연문, 동물문을 복합적으로 재구성하여 응용하였고 모티브의 표현 기법으로는 구타(gutta)방염기법을 활용해 기존의 납이나 호방염 기법의 번거로운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여, 의도한 섬세한 문양을 비교적 손쉽게 의상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누빔과 컷 아웃(cut-out), 기계자수, 아플리케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문양을 강조함과 동시에 화려한 부조적 장식미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가 단순화되고 도식화된 조선시대 수보의 문양은 의상에 적용하기 적합하였고, 수보문양의 섬세한 형태와 아름다운 색채는 염색, 퀼팅, 컷 아웃, 기계자수 등의 장식기법에 의해 의상에 표현됨으로써 풍부한 표면의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다양한 장식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조형적 소재의 창출은, 소재 자체가 옷을 만들기 위한 재료만이 아닌 새로운 디자인적 요소로서 의상디자인의 영감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문양의 표현을 위한 구타방염기법은 기존의 방염기법의 번거로움을 탈피하여 창조적 조형의지를 의상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데 적합하였다. 또한 형태의 표현이 자유롭고 손쉬운 이 기법은 섬세한 전통문양을 표현해 내는데 무리가 없는 효과적인 재료로서 적합하여 의상의 표현장식을 위한 재료로서의 다양한 활용을 검토할 수 있었다. 넷째, 주술성과 상징성을 가진 조선후기 수보의 문양들은 현대 의상에 도입함에 있어 단순한 전통문양의 재현이 아닌 우리 고유의 의식 속에 있는 염원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발현하는 무한한 예술적 모티브로서의 표현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전통문양은 예술적 모티브로서 외형적인 아름다움을 위한 디자인 요소일 뿐 아니라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주술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들은 우리 민족의 정신세계의 반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문양은 참신한 장식소재로 응용하여 의상에 도입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고유한 이미지와 정서를 독창적으로 표현하고 알리는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그러므로 앞으로 우리나라 패션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전통문양에 대한 다양한 시각으로의 접근과 새로운 표현방법을 위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본 연구가 이를 위한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