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고여훈-
dc.creator고여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8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8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가 활발하게 잘 이루어지는 있는 한 학급의 사례를 통해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특징이 어떠하며, 이를 위해 교사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그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나아가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특징은 어떠한가? 2. 하늘반 교사들은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3.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초록유치원 만 5세 하늘반 교사 2명과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적 사례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2년 5월 23일부터 2012년 10월 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참여관찰, 교사 면담, 문서 수집과 함께 오디오 녹음, 동영상 촬영, 현장 관찰기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본을 만들어 범주화를 해나가며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는 안전하게 즐기려고 노력하는 놀이, 유아의 사회성을 발달시켜 나가는 놀이, 점차 재미있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확장되는 놀이, 자기조절력과 문제해결력을 증진시켜 나가는 놀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하늘반의 거친 신체 놀이가 항상 아무런 갈등과 다툼 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었지만, 하늘반 유아와 교사들은 거친 신체 놀이에서 위의 발달적 이점들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었다. 이는 거친 신체 놀이가 단순히 몸으로만 하는 놀이, 공격성을 조장하는 놀이, 다툼으로 연결되는 놀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즐기는 놀이 중 하나임을 인정하며, 적절히 교사가 상호작용을 해준다면 유아들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놀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가 이러한 긍정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는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를 주의깊게 관찰하고, 시기와 개인차를 고려하며, 두 교사 간 거친 신체 놀이 상호작용에 일관성을 유지하는 원칙을 바탕으로, 거친 신체 놀이 상황을 유지하며 개입하기, 유아들과 함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토의하기, 여러 가지 방법으로 거친 신체 놀이 약속 상기시키기, 단호하게 제지하기의 상호작용 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었다. 많은 현장의 교사들이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끼며 일관되지 않은 지도를 하거나, 아예 거친 신체 놀이 자체를 금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할 경우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서 어떠한 발달적 이점도 끌어낼 수 없을 것이다. 교사의 적극적으로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있을 때,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를 더 안전하고 즐겁게 즐기며 신체, 사회, 정서, 인지 발달 들을 해 나갈 수 있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지도나 개입보다는 교사와 유아가 함께 서로 의견을 공유하며 상호작용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교사 또한 유아들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지속적인 생각과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긍정적 인식, 모든 유아를 존중하는 태도, 반성적 사고였다.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인식 자체가 부정적일 경우에는 거친 신체 놀이를 자체를 인정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더 거친 신체 놀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유아들의 즐기는 다양한 놀이 중 하나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든 유아를 존중하는 태도는 유아교사가 가지고 있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태도 중 하나이다. 하지만 그것이 단순히 생각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이 있을 때 거친 신체 놀이를 하는 유아들에 대한 부정적 평가나 선입견 없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장 중요한 부분이 교사의 반성적 사고이다. 하늘반 교사들은 자신의 경험을 다시 되돌아보고, 궁금한 것들에 대해 찾아보고 연구하며, 현재 자신의 거친 신체 놀이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고민을 하고 있었다.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어떻게 더 긍정적이고 유아들의 발달에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상호작용 할지에 대해 자신의 경험 등을 바탕으로 반성적 사고를 해 나갈 때 교사는 보다 더 좋은 상호작용 방법들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며, 교사들의 이러한 반성적 사고를 돕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the ways of teachers’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ffer practical help to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in the rough and tumble play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and seek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Haneul class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2. How do teachers interact with Haneul class children about their rough and tumble plays? 3. What are factors which affect Haneul class teachers’ interaction related to rough and tumble play? This study adop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ith participants of 2 teachers and 28 children with the ages of 5 years at Chorok kindergarten in Seoul,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23 to October 5, 2012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teacher interviews, documents, audio recording, and video recording. The data was analyzed after being classif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aneul class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s were characterized as plays that intend to be enjoyed safely, plays that improve children’s sociality, plays that extend to interesting and creative ideas, plays that develop self control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e. Children and teachers of Haneul class tried to maintain all these developmental advantages through the rough and tumble play, even though the rough and tumble plays had a few conflicts. This shows that the rough and tumble play is one of plays that children enjoy it beyond the perception that these plays are physical activities that stimulate aggression, and are relate to conflicts. This indicates that the rough and tumble plays affect children’s development positively if teachers interact with children appropriately. Second, the teachers used several strategies such as intervention to maintain the play, to have a discussion of the play with children, to remind rules for the play in various ways, and to restrain children from breaking the rules. They had thorough observations of the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s to maintain the positive play. They also considered developmental stages and individual gaps among children and tried to keep the consistency of the play interaction. Numerous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he rough and tumble play interaction, which leads the teachers to guide the children inconsistently and even prohibit the play. In this case, teachers could not take advantage of the rough and tumble play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Children can enjoy the rough and tumble play more safely and improve their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abilities through the teachers’ proactive and positive interaction.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teachers’ sharing their opinions with children, rather than teachers’ one-sided guides and intervention. The teachers also should try to be more consistent about the interaction.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eachers’ rough and tumble play interaction were positive perception about rough and tumble play, respectful attitude toward young children, and reflective thinking. When the perception was negative, it was not recognized as rough and tumble play. Therefore, the rough and tumble play should be recognized as one of the various types of plays that children enjoy. The respectful attitude to children is one of the basic elements that teachers should have. However,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respect children by interacting with the children without negative evaluation and prejudice. In addition,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s important. The teachers reflect their own experiences, explore what they are curious about, and concern about their interactions related to the rough and tumble play. The teachers can find more positive ways to interact with the children through reflective thinking which would be more developmentally helpful. The teachers also need more support for their reflective think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9 II. 이론적 배경 10 A. 거친 신체 놀이 10 B. 놀이에서의 교사 상호작용 16 C.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 21 III. 연구방법 25 A. 연구방법 25 B. 연구대상 26 C. 연구절차 33 D. 자료수집 35 E. 자료분석 40 Ⅳ.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특징 42 A. 안전하게 즐기려고 노력하는 놀이 42 B. 유아의 사회성을 발달시켜 나가는 놀이 48 C. 점차 재미있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확장되는 놀이 55 D. 자기조절력과 문제해결력을 증진시켜 나가는 놀이 59 Ⅴ.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 65 A.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 원칙 65 1. 주의깊게 거친 신체 놀이 관찰하기 65 2. 시기와 유아 개인차를 고려하여 상호작용하기 68 3. 두 교사 간 상호작용의 일관성 유지하기 75 B.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 전략 78 1. 거친 신체 놀이 상황을 유지하며 개입하기 79 2.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유아들과 함께 토의하기 85 3. 여러 가지 방법으로 거친 신체 놀이 약속 상기시키기 100 4. 단호하게 거친 신체 놀이 제지하기 103 Ⅵ.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0 A.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110 B. 모든 유아를 존중하는 태도 112 C. 상호작용에 대한 반성적 사고 116 Ⅶ. 논의 및 결론 129 A. 논의 129 B. 결론 및 제언 145 참고문헌 151 부록 162 <부록-1> 교사 면담 질문 목록 162 ABSTRACT 1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17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특징과 교사의 상호작용-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haracteristics of Rough and Tumble Play in Children and Teachers’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dc.creator.othernameKoh, Yeo Hun-
dc.format.pageix, 16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