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CPS모형을 적용한 제품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CPS모형을 적용한 제품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CPS Model-Based Product Design Lessons on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 With a focus on seventh graders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IT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쏟아지는 정보와 무분별한 텍스트들, 그리고 목적의식 없이 비대해지기만 한 소통 안에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이를 선택하고 받아들이는 사고를 끊임없이 경험 해야만 한다. 자아와 가치관이 성립되어가는 시기인 청소년들에게는 무엇보다도 비판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비판적 시각과 사고력을 높여 복잡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미술과에서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업은 미술 비평이나 발문·진술 위주의 수업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일상생활에서의 접근이 용이한 표현활동 위주의 수업에서는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거의 전무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이하 CPS모형)을 적용한 제품 디자인 수업을 설계하여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하고 있는 D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남, 여 합반 두 학급(1반, 3반)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5명, 통제집단 35명으로 구성하여 총 8차시(각 45분)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로는, 한국교육개발원(1990)에서 제시한 비판적 사고력 검사도구를 근간으로 한 고혜숙(1994)과 이나리(2010)의 비판적 사고력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비판적 사고기능을 측정하였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에서 조아미 외(2009)가 개발한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지를 사용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13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및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PS모형을 적용하여 제품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비판적 사고기능 향상에 더 큰 변화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CPS모형을 적용하여 제품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비판적 사고성향 향상에 더 큰 변화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설문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업에 대한 전체 만족도는 매우 긍정적이며 특히 CPS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비판적인 사고과정을 거치면서 앞으로도 어떠한 현상이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해결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을 가졌으며 본인의 비판적인 사고력에 대해 긍정적 자아형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CPS모형을 적용한 제품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으며, 이 같은 결과는 미술과 에서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미술과 에서 미술비평 수업이나 ‘언어를 통한 진술’로써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 프로그램이 아닌 표현·제작 활동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향상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청소년들에게 일상생활에서의 비판적 사고를 통한 고차원적 시각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같은 결론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앞으로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쓰일 수 있는 미술교과와 관련한 비판적 사고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진행되길 바라며, 이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습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여러 다양한 교과와 맥락에 따른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내의 단원목표나 학습내용에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육관계 당국의 지속적인 정책과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 수업에서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 수업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졌기를 기대하며, 보다 심도 있고 장기적인 비판적 사고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Living in the IT age, people are bombarded with a flood of information, reckless texts, and communication that continues to grow big without a sense of purpose and forced to experience a process of thinking to critically select and accept them day after day. Adolescents in the stage of forming ego and value should have access to education that helps them cultivate critical thinking most of all. School education should help them increase the ability to solve diverse, complex problems by improving their critical viewpoints and thinking skills. In the art subject, however, students get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only in art criticism or epilogue- and statement-focused lessons with almost no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better critical thinking skills in lessons focused on expressive activities easily accessible in daily life, which led to the conception of this study.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based design lessons on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investigator designed a set of product design lesson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gave total eight lessons(each 45 minutes) 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at consisted of 35 students each after selecting 70 boys and girls in the seventh grade from two classes(Class 1 and 3) in D Middle School in Guri City, Gyeong-gi Province. Employed in the study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a critical thinking function inventory developed by Goh Hye-suk(1994) and another one developed by Lee Na-ri(2010) based on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Inventory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90).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was measured with a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inventory developed by Jo A-mi et al.(2010) in NYPI(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data treatmen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carried out with SPSS Ver. 13.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5%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duct design lessons were provided by applying the CPS model. As a result, the experiment group exhibited greater changes in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function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CPS model-based product design lessons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 group had greater changes in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Finally, the experiment group's survey results on lesson satisfaction show that they had very positiv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lessons. They especially developed a sense of confidence that they would be able to "solve certain phenomena or problems with a critical viewpoint" after going through a critical thinking process in the CPS model-based lessons. It was interpreted that they formed a positive ego regarding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In short, product design lesson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CPS mode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which implies that a critical thinking skills enhancement program can be applied to the art subject. Those findings are especially noteworthy in that the lessons can exert positive influences on adolescents forming a higher-level viewpoint through critical thinking in daily life by proposing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expressive activities instead of critical thinking skills enhancement programs as art criticism lessons or 'statements through texts" in the art subject. Based on the conclusion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here should be research and application efforts for critical thinking skills enhancement programs related to the art subject that can be systematically used in school. Those programs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in a long-term and systematic manner. In addition, the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rovide ongoing policies and supports for the curriculum from the unit objectives and learning content to evaluation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according to a wide range of subjects and contexts. The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easier access to critical thinking skills enhancement lessons in the art subject and lead to more in-depth and long-term researches on critical thinking skills enhancement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