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지역 사회 공공 미술과 학교 연계 활동에 대한 사례 조사 연구

Title
지역 사회 공공 미술과 학교 연계 활동에 대한 사례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ases of Linkage Activities between Community Public Art and School
Authors
유지혜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상준
Abstract
In a hard modern society, contemporary people suffer from human alienation and have started to turn their attention to publicness, which is about shedding their individualistic way and seeking after coexistence and public values, in order to lead a more human and happier life. Fine arts has, too, deserted its old style of exhibition at an elite-oriented white cube and expanded itself to public art with publicness for the public to appreciate and participate in it together in modern times. Public art has as various definitions as the definitions of publicness. Of them, "New Genre Public Art" named by Suzanne Lacy orients itself toward the participant-centered community and values a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discussing with the public rather than results based on publicness. It indicates that culture and art have permeated in the life of the public and have their roles expanded and recognized to be important. It is according to those flows of the times and needs of society that public art has developed in South Korea. Public art projects have received good reviews and achieved significant developmen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entral government toda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encouraging public art as a policy, but its level still remains low. Publicness is also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keywords in education among students living in modern society, which is checked in the national curriculums. The art subject makes it sure that students will learn to understand social values in a visual cultural environment and take part in them, setting a goal of making art a part of daily life and contributing to cultural development. With the educational values and importance of public art being recognized, more and more educational moves emerge to grant a natural need to reinforce public art education and further develop it. Most of the moves, however, are curriculums implemented within the walls of school and hardly lead to public art education in its true sense. This study thus examined, analyzed, and investigated cases in which the community and school were linked together and students participated as members of society of the public art activities currently in process in the nation, as well as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ose cases. The study set a main objective of promoting the development and renaissance of activities to implement public art through the school-community linkage. For that purpose, the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methodologies: First, a theoretical foundation was built by looking into the definitions, needs, and values of "public art" concept, reviewing the public art policies of the nation's culture and art policies, and following the flow of public art in the nation. Second, mural, which is the most active form of activity among the public art projects in the nation, was examined for definition, need,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Third,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public art activities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in 25 gu offices in S City and diagnosed the current situation. Fourth, the study examined the case at K Art Factory under S Cultural Foundation sponsored by S City as a case of public art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community and school. Fifth,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ase involving G Girls' High School in S City, its gu office, and social corporation in 2012 as a case of public art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community and school. Sixth, the case analysis results were used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advantages, and problems of each case, find improvement measures, and come to a conclusion. Those research processe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in summary: First, there was much to be desired for public art activities carried out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the gu office of S City and school. Second, the students exhibit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two case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results. Third, the cases turned out to have a bunch of problems including the projects being one-time events, the students no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them due to lack of promotion, the students not included in the mural sketch process, lack of activity budget and resulting many difficulties, and need for post-management. Finally, the investigator made improvement proposals based on the problems identified such as activating the opportunities of public art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public art and school and implementing those activities along with educational programs. It is also needed to expand those activities to a variety of media in addition to murals and secure budge supports from various communities. There is a need for operation by a professional institution, cultivation of experts, and ongoing operation and management programs. Finally, it is also required to set and drive long-term goals and visions. By conducting the study, the investigator confirmed the educational Sollen of public art and tri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facilitation and development of public art activities by investigating cases in which school was linked to the community and students actually participated and proposing improvement measures. Public art will further be vitalized, having the values of its roles recognized. There is no doubt that public art is an important part of school education. School needs to understand public art and provide students with a chance to communicate with social groups and take part in them as members of society. It is first needed to activate public art activities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There should be effor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iverse players including art education providers in the field and practitioners at various social group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high quality programs and induce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as members of society to cause educational stimuli in the process. When students are offered an opportunity to play active and aggressive roles as creators, public art will be able to embrace its roles and meanings fully in the lives of students.;현대사회에서 현대인들은 인간소외, 무한경쟁, 협력의 부재 등을 겪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보다 인간답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개인주의적 양상에서 벗어나 함께 공존하고 공공의 가치를 추구하는 공공성에 주목하게 되었다. 미술도 과거의 엘리트 위주의 화이트 큐브에서 전시되는 순수미술에서 벗어나 현대에는 대중이 함께 감상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공공성을 가진 공공 미술로 확장되었다. 공공 미술은 공공성에 대한 정의 또한 다양한 만큼 그 정의가 다양하다. 그 중 수잔 레이시(Suzanne Lacy)가 명명한 ‘새로운 장르 공공 미술’은 참여자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지향하며 결과보다 대중과 함께 소통하고 협의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하는 공공성을 가진 미술이다. 문화 예술이 대중의 생활 속으로 스며들어 그 역할이 확장되고 중요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사회의 필요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공공 미술은 발전되어 왔다. 2010년대 이후 정부주도하에 시행되고 있는 공공 미술 프로젝트들은 호평을 받고 있으며 많은 발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책적으로 지자체의 공공 미술도 장려하고 있으나 아직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도 공공성이 교육의 중요한 키워드로 인식되었다. 이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술교과에서 살펴보면 시각 문화 환경에서 사회적 가치를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미술을 생활화 하여 문화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따라 공공 미술은 교육적 가치와 중요성이 인식되어 공공 미술 교육을 강화해야하는 당위성을 부여받아 발전시키고자하는 교육적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그 움직임의 대부분은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으로 진정한 의미의 공공 미술 교육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공 미술 활동 중 지역사회와 학교가 연계되어 학생이 사회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교육이 이루어진 사례를 조사, 분석,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공공 미술을 시행하는 활동의 발전과 부흥을 모색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토대를 위해 ‘공공 미술‘의 개념 정의와 그 필요성과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 문화예술정책 중 공공 미술에 대한 고찰과 국내 공공 미술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국내 공공 미술 사업 중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활동 형태인 벽화에 대해 조사하여, 벽화의 정의와 필요성, 그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집단 중 S시의 25개 지역구청과 학교가 연계하여 실시된 공공 미술 활동의 실태를 조사하여 현재 상황을 진단하였다. 넷째, 공공 미술이 지역사회와 학교가 연계한 사례로 S시에서 지원하는 S문화재단 산하의 K예술공장에서 진행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공공 미술이 지역사회와 학교가 연계한 사례로 S시의 G여고와 소속 구청, W사회적 기업이 함께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여섯째, 사례분석을 토대로 각각의 사례의 의의와 장점,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결론을 내려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S시의 지역 구청과 학교가 연계하여 실시된 공공 미술 활동은 미비한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실제 사례 분석에서 공공 미술 참여 학생들은 모두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사례에서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일회적 프로젝트로 홍보가 부족하여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없었고 벽화의 도안 또한 참여할 수 없었다. 활동의 예산이 부족하였으며 사후 관리가 필요하였다. 문제점을 토대로 연구자가 제시하는 개선방안은 공공 미술과 학교의 연계된 공공 미술의 기회가 활성화 되도록 하고, 교육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벽화 이외에도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어야하며, 다양한 지역 사회의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장기적인 목표와 비전을 확립하여 전문기관 운영과 전문가 육성을 하여 지속적인 운영 및 관리 프로그램이 갖추어져 추진되어야한다. 공공 미술은 그 역할의 가치를 인정받아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이다. 시대 흐름에서 학교 교육에서도 공공 미술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교는 공공 미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사회 구성원으로써 사회 집단과 함께 소통하고 참여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가져야 한다. 양질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학생들도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그 과정에서 교육적 자극이 일어나도록 해야한다. 학습자에게 창조자로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때, 공공 미술은 학생들의 생활 속에서 그 역할과 의미를 온전히 감당할 수 있게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