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근주-
dc.contributor.author주미연-
dc.creator주미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0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0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 및 두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 10곳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들 중에서 음악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143명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음악교수효능감 측정도구는 김주혜(2002), 이윤정과 임성민(2010)의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음악통합교육의 교수적 수정 측정 도구는 장자영(2011)의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scheffe 사후분석과 독립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은 보통 미만의 수준을 보였고, 교사 변인 중 음악교육과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 그리고 교수적 수정 연수경험의 유무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교사의 성별, 학력, 교직경력, 대학 심화과정, 음악통합교육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음악통합수업에 대한 교수적 수정 실행도를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교수환경의 수정이 비교적 높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 변인 중 성별, 학력, 음악통합교육 경력, 대학 심화과정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교직경력과 음악교육과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 그리고 교수적 수정의 연수경험에 따른 실행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음악교수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음악교육 및 특수교육에 관한 실질적인 교사교육의 필요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장애학생의 음악적 경험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적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에 차이를 보이는 교사 변인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음악통합교육의 후속연구를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음악은 장애학생의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과목으로 이에 대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장애학생이 보다 편안한 통합 환경에서 또래들과 함께 적극적으로 음악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수적 수정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음악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음악교육에 대한 교수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quire different levels of music teaching efficacy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execution based on teachers’ individual factors,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of them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To estimate them, I conducted the survey to 143 teachers who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hich have speci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 revised and used the measuring tool of general teachers’ efficacy which is translated and revised by Kim Ju-hye(2002), which had been originally developed by Gibson and Dembo(1984). For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for special education, I used the measuring tool of Lee Yoon-jung and Lim sung-min(2010), which is the translated version of Riggs and Enochs(1990), initially developed for general science education. In addition, I reconstructed the tools which are invented by Jang Ja-young(2011) and Cho Hyun-young(2008) to measure instructional adaptation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and verifi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using SPSS WINDOWS 19.0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th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was lower than the median value. Training experiences about music education as well as special education,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music teaching 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by individual's gender, academic background, teaching experience, advanced course work, and inclusive music education experience. Secondly, the adaptation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was the most frequently executed level of execution of adapting instruction comparing with others. The individual factors which related to the execution of adapting instruction were teaching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s about music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d instructional adaption. Finally, the result proves the fact that higher music teaching efficac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execution of adapting instruction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which means that they have positive relationship. From the result above, therefore, we could see the necessit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programs for improving elementary teachers’ efficacy and teaching about music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the teachers’ factors about teaching efficacy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inclusive music education. Music has positive effects on inclusion of students who have special needs, it means that the role of teachers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is very important. Moreover, instructional adaptation is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integration in classroom. In conclus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it needs more specified studies about improving teachers' confidence on teaching music for disabled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음악교수효능감 5 B. 교수적 수정 8 C. 선행연구고찰 13 Ⅲ.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연구절차 18 C. 측정도구 18 D. 자료 분석 26 Ⅳ. 연구결과 27 A.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 27 B. 음악통합교육에서의 교수적 수정 실행도 33 C. 장애학생 음악교과 지도에 대한 교수효능감 및 교수적 수정 실행도 간의 상관관계 45 Ⅴ. 결론 및 논의 46 A.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46 B. 제언 50 참고문헌 52 부록 57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28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초등학교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음악교수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lementary Teachers’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Execu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dc.creator.othernameJu, Mi Yeon-
dc.format.pagevi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