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학생들의 문제행동 피해경험과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Title
학생들의 문제행동 피해경험과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Other Titles
Correlation of Students’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bout Science : With as Special Emphasis on TIMSS 2011
Authors
안새미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of ou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ffective characteristics about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and for this, find out the frequency of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differences by sex and school class and analyze the correlation of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with the affective area about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supervised by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EA) that is provided in the IEA website (isc.bc.edu). 4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2n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of our country participated in TIMSS 2011 and this test was implemented in December, 2010. For the collected data, SPSS Win 20.2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9%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3% of middle school students out of the whole students experienced maladaptive behavior and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at least several times a year.. It was found that banter was the most frequent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next frequent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was ostracis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aving a thing stole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 showed that in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choolgirls experienced more victimization than schoolboys (p< .05). Second, the difference in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by school class wa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d more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except for the experience of having a thing stolen,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ore in the other 5 items. Third,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affective characteristics about science according to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any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of the 6 maladaptive behavior types showed high affective characteristics about science (p< .01).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in the correlation between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ut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r=-.099*) on a significant level (p< .05). Among the subareas about affective characteristics, it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Fifth,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 according to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who experienced banter, ostracism and beating victimization and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threat and theft victimization showed high science achievement. In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who experienced banter, ostracism and theft victimization showed high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cience achievement according to rumor, threat, beating victimiz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ixth, in the correlation between maladaptive behavior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ut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r=-.036*) on a significant level (p< .05). Among the subareas of maladaptive behavior, the theft and threat items showe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p< .01)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other areas. In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cience achievement in the banter and threat items of the subareas of maladaptive behavior (p< .01). Seventh, the victimization rate of maladaptive behavior gradually increased in all the items. As a result of TIMSS 2011, banter experience was proved to be the highest victimization rate and increase rate. The experience of having a thing stolen was the item that showed the highest victimization rate in TIMSS 2003 and TIMSS 2007 and also showed the second victimization rate in TIMSS 2011.;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문제행동 피해경험이 과학에 관한 정의적 특성 및 과학 학업성취도와 상관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문제행동 피해경험에서의 빈도를 알아보고, 성별 및 학교 급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문제행동 피해경험과 과학에 관한 정의적 영역 및 과학학업성취도 사이에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제 교육 성취도 평가 협회(IEA)에서 주관하는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국제비교 연구(TIMSS)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IEA 웹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다(isc.bc.edu). 우리나라는 TIMSS 2011에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이 참여하였으며 2010년 12월에 본 검사가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 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은 전체학생 중 39%, 중학생은 전체학생들 중 33%가 문제행동 경험이 있으며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일 년에 적어도 몇 번 문제행동 피해경험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 피해경험 중 놀림을 당한 피해 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초등학생은 따돌림을 당한 경험이, 중학생은 물건을 도둑맞은 경험의 점수가 높았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높은 피해 경험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둘째, 학교 급별 문제행동 피해경험의 차이는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문제행동 피해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 .05). 특히 물건을 도둑맞은 경험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5항목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피해경험이 많았다. 셋째, 문제행동 피해경험 유무에 따른 과학 정의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6가지 문제행동에서 모두 문제행동 피해경험이 없는 학생이 과학 정의적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01). 반면 중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문제행동 피해경험과 정의적 특성 사이의 상관관계에서는 중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초등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099*)를 보였다(p< .05). 정의적 특성에 대한 하위 영역 중에서는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문제행동 피해경험 유무에 따른 과학 학업성취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놀림․따돌림․구타 피해 경험이 있는 학생과 위협․절도 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경우는 놀림, 따돌림, 절도 피해경험이 있는 학생의 과학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문, 위협, 구타 피해경험 유무에 따른 과학 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문제행동 피해경험과 과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에서는 중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초등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036*)를 보였다(p< .05). 문제행동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도둑질과 위협항목이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p< .01) 나머지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중학생의 경우 문제행동의 하위 영역인 놀림과 위협 항목에서는 과학 학업성취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 .01). 일곱째, 모든 항목에서 문제 행동의 피해율은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IMSS 2011의 결과 놀림을 받은 경험이 가장 높은 피해율과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한 물건을 도둑맞은 경험은 TIMSS 2003과 TIMSS 2007에서 가장 높은 피해율을 보이는 항목으로 TIMSS 2011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