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은미-
dc.contributor.author이혜원-
dc.creator이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6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6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대예술 가운데 나타난 추(醜)를 재인식하고, 추가 전체 미(美)의 범주 안에서 예술의 주된 표현방법을 이끌어내고 있음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의는 추 개념을 실질적으로 활용한 무용창작작품「낯선 저편」을 통하여 확대된 미의식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중심에 추가 있음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 시대는 미와 추의 융합의 시대로 추는 예술작품 속에 더 이상 일시적인 현상으로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의 미적인 개념의 일부분으로 미와 함께 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추 개념의 올바른 인식과 이를 무용과 융합하는 다각적인 안무방법은 현 시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곧, 추 개념을 적극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미의 개념을 지속적으로 구축해가면서 폭넓은 창작의 방향성을 찾게 한다는 점에서 한층 더 요구되고 있다. 추 개념을 활용한 작품의 창작과 분석에 앞서 연구자는 미학적 관점에서의 논의를 통해 예술에 있어서의 미추에 관한 쟁점을 찾고, 추가 어떻게 변화하고 나아가 예술개념 자체를 변화시키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대에 요구되는 확장된 안무방법을 이끌어내는 것으로서 칼 로젠크란츠의 형식의 추 개념인 몰형식성, 부정확성, 변형 및 기형의 세 가지 추 개념에 주목하고 이로부터 현대의 무용예술에 수용할 수 있는 표현의 틀로서 해체성, 우연성, 왜곡성을 유추하여 작품창작과 분석의 틀로 마련하였다. 한편, 로젠크란츠는 미-추-고양된 미에 이르는 변증론적 미학개념을 펼치고 있는데, 연구자는 이를 따라 전체 작품의 구성을 총 3장으로 나누어 전개하였다. 1장은 미의 상태를 나타내는 장인데, 현실인식의 부재로 인한 이상의 상태 즉, 추가 개입되지 않은 이상의 세계를 불안하게 펼쳤다. 2장은 추가 개입하는 장인데, 극단적이고 낯선 상황의 인식으로 인한 내적 불안의 감지가 시작된다. 특히 여기서는 인물간의 충돌과 충돌이라는 상황을 통한 절망감을 격정적으로 표출하였다. 3장은 고양된 미를 나타내는 장인데, 인간이 현실과 이상의 화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면서 끊임없는 내적 불안을 느끼고 있음을 암시하고, 그것이 삶의 진실임을 역설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각 장의 내용을 담는 무대형식인 장면의 구성과 이동경로, 움직임의 특질, 무대표현매체인 음악, 오브제, 의상 안에 추로 나타나는 형태의 개념에서 유추한 해체성, 우연성, 왜곡성의 특징들을 형상화 하였다. 이렇게 창작되어진 작품「낯선 저편」을 분석한 결과, 로젠크란츠의 추 개념이 활용된 작품의 고유한 특징은 해체성과 우연성에 따른 복잡한 이동경로와 조명효과, 해체적 태도와 우연적 효과에 따른 비획일화되고 불규칙적, 즉흥적 특질을 갖는 움직임으로 표출되었다. 또한 분절되고 왜곡된 신체의 이미지, 장면에 우연성의 특징들인 이질적이고 낯선 느낌을 끊임없이 창출하는 음악, 오브제의 해체적·우연적 활용과 그에 따른 계속적인 새로운 의미의 생성, 분열하는 인간의 심리를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의상을 통하여 추 개념이 지닌 특성을 연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무용창작작품「낯선 저편」에서 나타난 추가 갖는 의미는 작품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주된 표현방법으로서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예술적 의미를 이끌어내고 있다. 첫째, 비정형의 미로서, 이는 작품의 미-추-고양된 미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된 방식인 해체성의 특징이 작품에서 갖는 예술적 표현의 미이다. 본 작품에서는 복잡한 인물들의 심리와 상황을 서술하기 위해 무용의 구성요소간의 경계를 없애고 주체화를 이룩하고자 하였다. 비정형화된 공간의 활용은 무대의 모든 구역에 표현의 주체가 되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무대표현매체들은 주제를 전달하기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넘어 무용수의 움직임 경로를 제시하고 이끌어 가며 다양한 의미를 연출하였다. 움직임 면에서는 복잡하면서 매끄럽지 않은 동시에 분절적인 흐름의 특징이 표출되었는데, 이점은 작품 속 인물과 움직임을 동일시하여 각각의 내면을 표현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는 비정형의 복잡성과 몰형식을 만들어 가는 모습을 통해 형식상의 복잡함을 감지하는 동시에 현실적인 인간의 문제를 표현하는 작품의 주제에 공감하게 하는 가치를 이끌어 내고 있다. 둘째, 가변성의 미로서, 이는 우연성의 특징을 통해 작품안의 내용과 형식들을 끊임없이 변화시켜 가고자 한데서 창출된 예술적 가치의 측면이다. 무대 위 요소들은 가변적인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새롭게 결합하면서 나아가 이질감과 결합한다. 이렇듯 어떤 한 가지 의미가 아닌 임의의 결합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생성함으로써 작품 속에서 추의 표현성을 높이고 있다. 이때에 의미들은 순간적으로 생성되며 항상 똑같음을 부정하는데 이로써 예측할 수 없는 가상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새롭게 순환하는 현재로서 순간의 미를 느끼게 한다. 곧, 가변성은 각 요소들이 주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상태를 변화시키는데서 창출된 추의 의미로서, 부정확한 표현으로서의 추를 넘어 능동적인 표현을 이끌고 본 연구 작품에 지속적으로 새로움을 탄생시키는 역동적인 생명력으로서 자리하고 있다. 셋째, 양면성의 미로서, 이는 미에 추가 개입됨으로써 갈등과 공포감을 일으키는 인물의 움직임에 나타난 왜곡성의 특징으로부터 생성된 예술적 가치이다. 양면성의 미는 작품 주제를 이해시키는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새로운 움직임의 개발을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주면서, 피하고 싶은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흥미롭고 생생한 표현으로서 받아들이게 한다. 즉, 두려움이라는 낯선 감정을 불쾌하고 비호감적인 이미지의 움직임 특질을 통해 가장 구체적으로 시각화하였다. 이를 가능케 한 것은 왜곡성의 추가 갖는 예술적 의미인 양면성이 추의 심미적 경험을 유도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다양한 형식과 의미상의 추는 왜곡성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그 안으로 끌어들여, 작품의 주제를 상징하는 가장 표현적인 주체가 되었다. 이러한 추의 양면성은 특히 예술을 통해서 경험되는 가치로서 현대예술을 접하는데 유용하게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 작품에 내재된 추의 새로운 미적 가치들은 전체 작품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이는 추가 단지 일차원적인 창작의 소재가 아닌 현대에 무용예술을 이끌어갈 주요 개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로젠크란츠의 추 개념을 바탕으로 안무한 작품「낯선 저편」을 통해 추에 주목할 필요성을 알리고, 무용창작작업의 미의식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독창적이고 다양한 안무방법의 확장을 가져오는데 추 개념을 적극 수용할 것을 제언한다.;The study aim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ugliness in contemporary art, to recollect it as a method to lead main expression in the category of the entire beauty and to discover it in the center of possibility to create dance based on extended sense of beauty through the「The Uncanny Side」which was applied with the concept of ugliness substantially. The present time is the age of fusion of beauty and ugliness and the ugliness exists incorporating with the beauty as part of aesthetic concept of the art not as momentary phenomenon in art dances. So right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ugliness and to review choregraphy incorporating it with dance in multilateral ways are required for now. That is to say, to apply the concept of ugliness actively is more necessary for continuing to build new concept of beauty and finding wide directions of creative arts. Before composing and analyzing the dance applying the concept of ugliness, I searched issues on beauty and ugliness in arts through discussion in the aesthetic perspective and reviewed how ugliness have changed itself and further the concept of the art. And then, I focused Rosenkranz's three concepts of ugliness, non-form, inaccuracy and transformation and deformation in order to lead extended choregraphy required by present time, extracted disjoint, contingency and distortion as frame for expression to accept in contemporary dance and prepared frames for creating dance and analyzing it. Rosenkranz showed dialectic aesthetic concept consisting of beauty-ugliness-sublimed beauty and accordingly, I designed the dance with 3 chapters: First chapter describes unstably an ideal world as status of beauty and as ideal without ugliness, yet; Second chapter shows intervention of ugliness and starts to perceive inner stability caused by recognizing extreme and unfamiliar situation and tries to express despair through conflicts between beings passionately. Third chapter represents the sublimed beauty and expresses acceptance of impossibility of harmony between ideal and reality hinting human's endless incompatibility with inner anxiety and stress out it as the truth of life. Also, I represented characteristics of disjoint, contingency and distort extracted from the concept of the forms as analyzed ugliness in scenes which contains contents of each chapter, path of flow, movement, music which is a stage media, object and costume. From the analysis of the dance「The Uncanny Side」, I confirmed it has own characteristics using Rosenkranz's concept of ugliness through complex path of flow and light effects according to disjoint and contingency, non-uniform and irregular movement and disjointed and distorted body image, music creating constantly strange mood to the scene, disjointing and contingent use of the object and its ongoing generation of new meaning and costumes with visible in human mentality in disruption. The meaning of ugliness from the dance「The Uncanny Side」has not only importance of main expression with various changes but also artistic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disjoint which is a way to express contents of beauty-ugliness-sublimed beauty of the dance which reaches to accept evolving from ideal as beauty of non-form to split situation and accepting reality implicated with ugliness is beauty of artistic expression of this dance. In this dance, I eliminated borders between composition elements of dance in order to describe mentalities and situations of complex character and tried to subjectify them. The application of non-formed spaces makes meaning for subject of express in every part of the stage and stage expressional media suggests dancers' moving path overcoming its supplementary role for announcing the theme, leads them and adds various meanings. For movements, it is complex and unpolished wile shows segmental flows and this is important for expressing each character's insides by regarding characters and their movements in the dance. It leads a value to sympathize the dance to express real human problem perceiving complexity in forms which makes every elements as subject role not forcing to understand the plot of the dance suggested with atypical complexity and non-form.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contingency which expresses situation to be change endlessly by contents and forms in the dance based on the dialectic of beauty is beauty of changeableness, as an artistic value in the dance. Elements on the stage continue to combine based on changeable status and further join with unfamiliarity and according to optional combination not just one meaning, it creates diverse meanings and rise expression of ugliness. Then meanings are generated in the moment and it denies constant sameness and so it provokes curiosity for unpredictable imagination and makes us feel beauty as the moment of present which is circulating newly by endless changes. Namely, changeableness, as meaning of ugliness created from changing statu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each elements, is a dynamic living force to create newness continually in the dance with leading active expression beyond ugliness as inaccurate expression. Third, the characteristic of distort appeared in movements of characters which cause conflicts and fears by invention of ugliness to beauty is beauty of double-faced as an artistic expression in the dance and it suggests one way to develop new movement to extend range of understanding theme of the dance making us feel disgust to be avoid and accept it as interesting and vivid expression at same time. It visualizes unfamiliar emotion of fear with movements of unfavorable images and what makes it possible is double-face-ness, artistic meaning of ugliness which induces aesthetic experience of ugliness. Ugliness with various forms and meanings pulls negative images in distort and makes it the most expressional subject which symbolizes the theme of the dance. This double-face-ness of ugliness is a value experienced by the art especially and is very useful in contacts with contemporary arts. These new aesthetic values of the ugliness in the dance becomes an important criteria for enjoying the entire dance and represent the ugliness as main concept for contemporary dance not one-dimensional object for creating dance. Accordingly, I suggest to apply actively the ugliness as extension of creative and diverse choregraphy. The study has its own meaning to announce needs to pay attention to ugliness through the dance「Uncanny Side」based on Rosenkranz's concept of ugliness to attempt to apply the concept of ugliness and to extend choregraphy and then to suggest extended sense of beauty for creating dance. Accordingly, I suggest to apply the concept of ugliness in order to raise value of dance representing contemporary arts and to extend to various and creative choregraphy meth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내용 및 방법 5 C. 연구의 제한점 12 Ⅱ. 추(醜)의 이론적 배경 13 A. 추의 개념 및 의미 13 1. 미적 범주로서의 추의 개념 13 2. 현대예술에서의 추의 의미 20 B. 추의 유형 25 1. 소재로서의 추 26 가. 신화 종교적 소재의 추 26 나. 인간 자연적 소재의 추 28 다. 사회 정치적 소재의 추 32 2. 형식의 추 33 3. 예술의 추 35 C. 칼 로젠크란츠의 추 이론 38 1. 칼 로젠크란츠의 추 개념 38 가. 몰형식성 39 나. 부정확성 43 다. 변형 및 기형 47 2. 미와 추의 변증론적 입장 51 3. 칼 로젠크란츠의 추 개념을 수용한 무용의 표현방식 54 가. 해체성 55 나. 우연성 58 다. 왜곡성 60 Ⅲ. 안무의도 64 A. 내용적 측면 64 B. 형식적 측면 66 Ⅳ. 무용창작작품「낯선 저편」의 분석 70 A. 주제 및 내용 70 B. 장면의 구성과 이동경로 72 1. 해체성 76 2. 우연성 111 C. 움직임의 특질 116 1. 해체성 116 2. 우연성 130 3. 왜곡성 133 D. 무대표현매체 135 1. 음악 136 가. 우연성 137 2. 오브제 142 가. 해체성 144 나. 우연성 147 3. 의상 149 가. 해체성 150 나. 우연성 153 Ⅴ. 무용창작작품「낯선 저편」의 추의 예술적 의미와 논의 160 A. 추의 예술적 의미 160 1. 비정형의 미 160 2. 가변성의 미 162 3. 양면성의 미 165 B. 논의 168 Ⅵ. 결론 및 제언 171 참고문헌 177 ABSTRACT 1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452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칼 로젠크란츠의 추 개념을 통한 무용창작작품「낯선 저편」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The Uncanny Side」based on Karl Rosenkranz's Concept of Ugliness-
dc.creator.othernameLee, Hye Won-
dc.format.pagexiii, 19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