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4 Download: 0

피리산조의 음악적 특징 연구

Title
피리산조의 음악적 특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iri sanjo : focused on the Yi chung-seon, Jeong jae-guk, Park beom-hun, Seo yong-seok ryu
Authors
최명화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19세기 말 김창조(1865~1919)에 의해 처음 창제된 산조는 우리 전통음악 가운데 체계화 된 이후 여러 악기의 예술성이 높은 기악 독주곡으로 정착되었다. 그 중 현재 연주되고 있는 피리산조는 조선말기 최응래에 의해 만들어지고 연주되었으나 전승되지 못하였고, 당시 유행하는 가야금 산조를 근간으로 오진석에 의해 만든 것이 피리산조의 효시이다. 피리산조의 전승은 1960년대 초부터 오진석, 양경원으로 시작하여 현재 이충선류, 정재국류, 박범훈류, 서용석류의 네 유파의 피리산조가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기존 피리산조에 관한 연구는 선율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시김새, 선법, 리듬, 주법에 관한 연구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 졌다. 특히 선율 분석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유파별로 선율 비교분석을 통한 연구만 이루어 졌을 뿐이고 토리와의 상호 영향관계에 관한 논문 역시 진양조만을 대상으로 단편적인 연구에 그치고 있어 이에 대한 종합적 고찰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네 유파의 선율형과 토리의 유기적 관계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피리산조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피리 산조의 네 가지 유파를 중심으로 하였고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각 장단의 모든 출현음을 토대로 구성음과 중심음과의 골격을 파악하여, 각 장단의 선법을 규정하고, 이 선법을 통해 주요 선율형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유파별로 주요 선율형을 토대로 구성음, 시김새, 주요음, 종지음, 미분음 사용을 포괄하여 각 유파의 토리의 형성 관계를 유기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연구된 결과를 통해 유파별 피리산조의 선법과 토리의 상관관계를 정리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유파는 모두 평조와 계면조의 선법을 모두 사용하고 있으며 계면조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 악곡의 계면조 선법을 높은 빈도순으로 정리하면, 정재국류→서용석류→이충선류→박범훈류 순서이다. 또한 선율형에 있어서는 네 유파 모두 도약진행과 하행진행이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각 유파는 모두 육자백이토리와 북부경토리를 공통토리로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육자백이토리를 주요 토리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 악곡의 토리 출현 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리하면, 이충선류는 육자백이토리→북부경토리, 정재국류는 육자백이토리→북부경토리→메나리토리, 박범훈류는 육자백이토리→북부경토리→남부경토리→메나리토리, 서용석류는 육자백이토리→북부경토리 순서이다. 즉, 이충선류와 박범훈류는 육자백이토리를 근간으로 북부경토리를 혼용하여 연주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정재국류와 서용석류는 육자백이토리의 특징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육자백이토리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네 유파는 모두 계면조의 육자백이토리를 중심으로 북부 경토리를 사용하지만, 이충선 · 정재국 · 박범훈류에는 이 밖에도 메나리토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박범훈류에는 육자백이토리, 북부경토리, 남부경토리, 메나리토리 등이 다양하게 사용된다. 셋째, 네 유파의 피리산조는 육자백이토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각 명인마다 선율상의 특징과 분위기로 음악적 특징이 대별된다. 즉, 이러한 유파의 가장 큰 특징인 선법과 토리는 피리산조의 생성역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산조가 남도 무속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남도 계면조인 육자백이토리로 연주될 것이라 여겨져 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연주되고 있는 네 유파 피리 산조는 육자백이토리 뿐만 아니라 북부경토리를 혼용하여 남부경토리, 메나리토리 등 각기 다른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명인들의 출생지와 활동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선율을 형성하였고 그 주선율이 각 명인의 음악적 특색을 나타내는 토리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호영향은 현전하는 피리산조가 음악적으로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Sanjo, created by Kim chang-jo (1865~1919)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as been established its highest artistic value as a solo musical piece for various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Piri sanjo, which is still playing was first created by a piri virtuoso Choi eung-l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that version has never been transmitted. Today’s piri sanjo have originated by Oh jin-seok based on the popular gayageum sanjo melody at that era. The transmission of the piri sanjo started in early 1960 by Oh jin-seok and Yang gyeong-won to today’s four representative versions: Yi chung-seon ryu, Jeong jae-guk ryu, Park beom-hun ryu, and Seo yong-seok ryu. Various researches about sigimsae(ornaments), modes, rhythms, and playing techniqu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based on its melody line. Despite of the fact that many of them are about the melody analysis, most of studies have its limit dealing only comparison of four piri sanjo. A comprehensive perspective is needed since the theses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tori show fragmentary results because of the data was only based on jinyangj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musical features of piri sanjo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different piri sanjo and tori. The object of the study is four existing piri sanjo. First, to define the modes, a close examination of the musical structure between composed tones and tonal center based on all appeared tones in every jangdan was carried out. With this defined modes, main melody types were established. Next, the formation of both the four different piri sanjo and tori was examined with its connection in main melody types including composed tones, sigimsae(ornaments), main tone, tonic, and microtones. Lastly, the interrelation between four piri sanjo and tori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Above all, it is shown that every piri sanjo is basically adopting both modes: pyeongjo and gyemyeonjo, but using gyemyeonjo mostly.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among all four is Jeong jae-guk’s, Seo yong-seok’s, Yi chung-seon’s, and Park beon-hun’s. Also, all four pieces are using lots of disjunct motion and downward motion. Secondly, all yupa(version, type) have common tori, yukjabaegi-tori and bukbu(northern)gyeong-tori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tori is yukjabaegi. The order of frequency of usage of tori: 1) yukjabaegi-tori – bukbugyeong-tori in Yi chung-seon ryu, 2) yukjabaegi-tori – bukbugyeong-tori – menari-tori in Jeong jae-guk ryu, 3) yukjabaegi-tori – bukbugyeong-tori – nambu(southern)gyeong-tori – menari-tori in Park beom-hun ryu, and 4) yukjabaegi-tori – bukbugyeong-tori in Seo yong-seok ryu. So, both Yi chung-seon and Park beom-hun ryu are using yukjabaegi-tori with bukbugyeong-tori, however, Jeong jae-kuk and Seo yong-seok ryu have more distinctive yukjabaegi-tori feature. In addition, apart from the fact that four sanjo styles are all composed based on mainly yukjabaegi-tori with bukbugyeong-tori, menari-tori also used in Yi chung-seong, Jeong jae-guk, and Park beom-hun’s. Especially in Park beom-hun ryu, various tori including yukjabaegi-tori, bukbugyeong-tori, nambugyeong-tori, and menari-tori are appeared. Thirdly, all four piri sanjo are in common having yukjabaegi-tori. However, they all have different and distinctive musical feature due to their characteristic melody and mood. This result refers that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in ryu, modes and tori, have a close relation to history of piri sanjo. The basis of the sanjo has been considered as yukjabaegi-tori, namdo gyemyeonjo, since its root can be traced back to shaman ritual music in Namdo.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current four piri sanjo are using yukjabaegi-tori mixed with bukbugyeong-tori and expressing its own distinctive features including nambugyeong-tori, menari-tori, and etc. In other words, the melody lines have been form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master’s birthplace and the region where they have pursued their musical activities. It seems that the main melody has a great effect on the formation of tori that expresses master’s distinct characteristics. Thus, the interrelationship has provided a solid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various musical styles in current piri sanj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