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 생물II 교과서와 2009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II 교과서의 과학적 소양 주제의 비교 분석

Title
제7차 교육과정 생물II 교과서와 2009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II 교과서의 과학적 소양 주제의 비교 분석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ology II Textbooks of the Seventh Curriculum and the Life Sciences II Textbooks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based on the Scientific Literacy Themes
Authors
김영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종우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biology textbooks, which is organized i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how emphasized the scientific literacy that ultimate goal of the modern science education. The study sources are four life science textbook II was published by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of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ree biology II textbook 7th curriculum of the previous cours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analysis that was used, Chiappetta, Fillman, and Sethna(1991) what presented. This conceptual framework consists of four themes following : (a) science as body of knowledge, (b) science as a way of investigating, (c) science as a way of thinking, and (d) the interactaion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By measuring the frequency of thematic sub-categories is shown as a percentage. Life sciences II textbooks, publish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f current and biologiy II textbook was published by the Seventh curriculum was emphasis theme BK(science as body of knowledge) and WI(science as a way of investigating), but theme WT(science as a way of thinking) and STS(the he interactaion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were relatively ignored.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extbooks, the percentage of WT(science as a way of thinking) ha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life sciences II textbook current curriculum. The text and ficture section of biology textbooks most emphasized theme BK(science as a body of knowledge). By theme BK(science as a body of knowledge) is reduced and the theme STS(the he interactaion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 WT(science as a way of thinking) is increased, reading material of Life Sciences II textbook of 2009 revised curriculum, in the analysis area in shows the results of the most balanced. Textbooks used in education to be revised in the future, many therefore be necessary to create a textbook balanced, including the available data in various directions to reflect the various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efforts of science educators and our research should be done.;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통해 체계화되는 생물 교과서가 현대 과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과학적 소양을 얼마나 중요하게 교과서 전반에 걸쳐 다루었는지를 확인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인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출판된 생명과학II 교과서 4종과 이전 교육과정인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출판된 생물II 교과서 3종을 선정하여 과학적 소양의 주제별 빈도수를 알아보았다. Chiappetta, Fillman과 Sethna(1991)가 제시한 과학적 소양의 주제를 나타낸 개념틀을 수정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적 소양의 각 주제별 빈도수를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생물II 교과서와 2009개정 교육과정의 생명과학II 교과서는 지식으로서의 과학 주제로의 편중 현상이 심하였고 사고과정으로서의 과학 주제와 과학․ 기술․ 사회의 상호작용 주제는 다른 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즉 과학적 소양의 주제를 균형 있게 다루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과정으로서의 과학 주제는 지식으로서의 과학 주제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나 태도를 요구하는 탐구활동보다는 주어진 자료를 해석하는 수동적인 활동의 비중이 크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각 교과서의 단원별 내용 체계의 차이에 따라 과학적 소양 주제의 반영비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제7차 교육과정의 생물II 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페이지수를 차지하는 ‘생물의 다양성과 환경’ 단원은 지식으로서의 과학 주제로의 편중이 매우 심했다. 다만 ‘생물학과 인간의 미래’ 단원은 다른 단원들에 비해 과학적 소양의 주제들이 골고루 분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의 생명과학II 교과서는 ‘생명의 기원과 다양성’ 단원이 지식으로서의 과학 주제가 가장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생명공학’ 단원은 과학․ 기술․ 사회의 상호작용 주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사고과정으로서의 과학 주제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의 생물II 교과서 및 2009개정 교육과정의 생명과학II 교과서의 분석 영역 중 지문 영역과 사진/그림 영역은 지식으로서의 과학 주제로 편중된 양상을 보였다. 넷째, 현행 2009개정 교육과정의 생명과학II 교과서는 지식으로서의 과학 주제의 비율이 제7차 교육과정의 생물II 교과서에 비해 감소했고 사고과정으로서의 과학 주제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전 교육과정들의 생물II 교과서에 비교하였을 때 2009개정 교육과정의 생명과학II 교과서는 과학적 소양 주제의 한 주제로의 편중현상이 해소되어 보다 더 균형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학적 소양의 함양이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 교과서에서는 그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교과서가 가지는 구조적인 한계이지 교과서 집필자의 능력에 관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무수히 많은 지식, 내용을 다루어야 하는 교과서에서 과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균형 있게 반영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와 함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보조자료의 개발이 시급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과학 교사의 인식 변화와 연수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