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우수향-
dc.creator우수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7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0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752-
dc.description.abstractThe contemporary society is required to hav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o correctly judge requirements out of plen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find a new and appropriate solution. This ability is brought up through learning environment and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useful knowledge in life rather than fragmental and sectional knowledge focused education. In this connection, our country recommends the harmonized and integrated education as the important task of education since the 7th curriculum but different from the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ions over middle school in which each expert instructs lack of development of various integrated programs due to insufficiency of the teaching environment aspec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ccordingly, this study is going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the nutrition unit of the science subject with an emphasis on the home economics subject and theme to improv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pply it to the class and find its effect. This study had the 8 instrumental unit class for 140 second graders of 4 classes of a coeducational school located in Seoul. A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it integrated the nutrition unit of the science subject with an emphasis on the home economics subject and theme as the contents and the teaching-learning aspect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grated education learned from literature study. Regarding the program composition, scientific knowledge and idea in compliance with problems and situations of a daily life were introduc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find an appropriate solution was focused. A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class effect, the scienc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In-suk and Gang Sun-hee (2012) for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assessment sheet by Kim Nam-eun and Lee Hye-ja (2010) and the assessment questionnaire by Kim Min-a and Lee Gil-jae (2008) for the awareness investigation of students about the theme integrated program were modified and completed. Furthermore, SPSS 18.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analysis, ANCOVA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nutrition unit of the science subject of middle school was integrated to the theme of the home economics subject and 'health and nutrition' to develop a them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a total of 8 instrumental uni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enager's nutrition problem, a 4 step creative problem solving course that designs, develops and assesses an idea about a project theme of healthy breakfast menu development was suggested to make students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step-by-step program was composed of various inquiry activities focusing on learners to draw learners' interest and through the course of Divergent Thinking - Convergent Thinking - Statement of the creativity 3C's in each instrumental unit, various creative thinking skills were experienced to improve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Second, the group that applied the them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p<.01) before and after the class in the change of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that are the elemen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ompared to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traditional sectional class. The class integrating various subjects helps create various idea so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a practical plan of various aspects when a certain problem occurs. Third, as a result of the awareness investigation with Likert 5-Point Scale Measurement to the group that applied the them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a positive assessment of average 3.65 as a hole was given in suitability, relevance and usefulness of the program. In particular, the very positive assessment of average 3.65 about interest in the them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s considered to be the reason that it was composed of learner focused investigation activities instead of teacher focused cramming or lecturing clas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felt interest and achievement about learning in the process of making results. When the above results are reflected, because the them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t can be utilized in the science subject class to improve th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llow-up studies based on this study are suggested as follows : First, because the them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that is developed by this study is limited to part of the science subject and the home economics subject, it is necessary to select diverse theme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many subjects. Second, because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n the integrated program is limited to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required to examine various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s of student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notion of health and scientific attitude.;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는 수많은 지식‧정보 중 필요한 것을 올바르게 판단하여, 새롭고 적절한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 즉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능력은 단편적‧분과적인 지식 위주의 교육보다, 삶에서 유용한 지식을 바탕에 둔 학습 환경과 통합된 교육을 통해 길러진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7차 교육과정부터 융합 및 통합교육을 교육중점 과제로 포함시켜 권장하고 있으나, 유․초등과 달리 각각의 전문가가 지도하는 중학교 이상에서는 교수환경측면, 교수학습방법 미비 등으로 인해 다양한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주제 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남녀 공학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 140명을 대상으로 8차시에 걸쳐 수업 처치를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통합 교육과의 관계를 알아내어 과학교과의 영양 단원을 가정교과와 주제 중심으로 내용과 교수-학습 방면에서 통합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실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나 상황에 과학의 지식과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고 적절한 해결방법을 찾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수업 효과에 대한 검증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은 박인숙, 강순희(2012)가 개발한 중학생 대상 과학 창의력 문제 해결력 검사지로, 주제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는 김남은, 이혜자(2010)의 학생용 평가지와 김민아, 이길재(2008)의 평가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공변량 분석(ANCOVA), 빈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과학교과의 영양단원을 가정교과와 ‘건강과 영양’이라는 주제로 통합하여 총 8차시 분량의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청소년의 영양문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한 아침메뉴 만들기’ 라는 프로젝트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하여 실행하고, 평가하는 4단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하도록 제시하였다. 특히, 단계별 프로그램은 학습자 흥미를 끌어내고자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탐구활동으로 구성하였고, 매 차시 창의력 3C's인 ‘발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진술’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창의적 사고 기법을 경험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 분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창의적 문제 해결력 요소인 발산적 사고의 변화에서 수업 전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또한, 수렴적 사고의 변화에서도 수업 전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이는 여러 교과를 통합하여 수업 하는 것은 다양한 아이디어 생성에 도움을 주어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적절한 최선의 실천의 방안을 찾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에게 리커트 5점 척도로 이루어진 평가 설문지로 인식조사를 한 결과, 프로그램의 적절성, 관련성, 유용성 등에서 전반적으로 평균 3.65의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특히,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흥미에 관한 문항에서 평균 3.97의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은 교사 중심의 주입식 수업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탐구활동으로 구성되어,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학생들 스스로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성취감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닌 실생활과의 관련성을 부각시킴으로써 기존 암기식 수업의 지루함을 벗어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위 결과로 볼 때,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에 효과적이고,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또한 긍정적이므로 학교 현장의 과학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은 과학교과와 가정교과의 일부 내용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여러 교과목을 통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통합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검증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학업성취도, 건강개념, 과학적 태도 등 학습자들의 다양한 인지적․정의적 변화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3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창의적 문제 해결력 4 1. 창의적 문제해결력 4 2.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교과수업 7 3. 창의적 문제해결의 과정과 교과수업 12 B. 통합 교육 13 1. 통합 교육의 이해 13 2. 통합 교육의 유형 16 3. 주제중심 통합학습 19 C. 선행연구 고찰 24 1.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관한 연구 24 2.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관한 연구 25 3. 영양 단원에 관한 연구 2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7 A. 연구 대상 27 B. 연구 설계 및 수업처치 27 C. 연구 절차 28 D.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영양 단원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절차 29 1.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의 통합주제선정 30 2.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선정 31 3.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의 학습 내용 선정 31 4.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 조직 34 5.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의 수업 절차 36 6.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37 E. 검사도구 37 1.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37 2.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설문지 38 F. 자료의 처리 및 분석 3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0 A.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영양 단원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40 1.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40 2.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41 3.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단계별 구성 특징 44 B.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영양 단원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수업 적용 효과 48 1.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48 2.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조사 53 Ⅴ.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59 <부록-1> 2007개정 과학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의 관련 단원명 및 성취기준 목표 65 <부록-2>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소화와 순환내용요소 66 <부록-3>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및 식단과 식품 선택내용요소 67 <부록-4>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소화와 순환학습활동 분석 69 <부록-5> 2007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및 식단과 식품 선택학습활동 분석 70 <부록-6> 영양 단원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지도안 72 <부록-7> 영양 단원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자료 및 활동지 77 <부록-8> 중학생을 위한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검사지 93 <부록-9> 프로그램 평가 설문지 100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617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영양 단원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Theme-Based Integrated Approach Educational Program for the Bette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c.creator.othernameWoo, Su Hyang-
dc.format.pagex,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