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석 대의 가야금과 첼로를 위한 <이슬의 춤>분석 연구

Title
석 대의 가야금과 첼로를 위한 <이슬의 춤>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tical study of for Three Gayageums and Cello
Authors
이정숙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국악창작곡은 1941년 김기수의 ‘세우영’이 초연된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표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국악기와 양악기의 혼합편성이다. 이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음악문화도 함께 변화하고,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악들은 무분별한 모방이 아닌 화성을 통한 각 악기간의 앙상블, 국악기로 표현 가능한 다양한 연주기법 등의 서양음악적 요소를 활용하면서, 음계와 선법, 형식, 시김새, 장단과 같은 전통음악어법을 바탕으로 국악의 ‘독창성’과 ‘전통성’을 살려 새로운 것을 창작해야 하는 전통음악을 위한 작곡기법을 요하게 된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작곡가 안현정의 ‘석 대의 가야금과 첼로를 위한 <이슬의 춤>’은 김해시립가야금연주단 제25회 정기연주회 ‘오월이야기’에서 김해시립가야금연주단과 첼로연주자 배일환의 협연으로 초연된 위촉곡이다. 전통 민요이자 이 곡의 모티브(Motive)인 ‘흥타령(천안삼거리)’이 국악기와 양악기의 만남을 통해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표현되는지 분석하였다. 형식면에서 단악장 형식인 본 작품은 곡의 분위기에 따라 크게 A는 (a, b, a’) B는 (a, b, c), C는 (a, b)로 나뉘어졌다. 본 작품에 사용한 첼로의 음역은 가야금의 음역과 동일하게 나타나 국악기와 양악기의 조화를 이루었다. 가야금의 음역은 1파트가 중고음, 2파트가 중저음, 3파트가 저음을 연주하여 음색의 조화와 안정감을 주며, 음악을 더욱 풍성하게 하여 앙상블을 이루고 있다. 본 작품에 사용된 음계는 ‘F, A♭, B♭, C, E♭’ 5음음계이며, F음을 시작음과 종지음으로 하는 “라(F)선법”으로 되어있었다. 선율은 모티브인 ‘흥타령(천안삼거리)’의 도입부 제1마디~제6마디를 반영하였으며, 첼로와 가야금이 동음 혹은 옥타브 관계의 유니즌 형태로 나타났거나, 주고받는 형식으로 원곡의 선율이 유사 혹은 변형되어 나타났다. 주선율과 부선율을 정해놓지 않고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국악기와 양악기가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동기리듬은 가야금과 첼로가 동일하게 3개의 유형 (♩♩♩♩♩♩, ????, ♩♪♪♪♩)으로 나타났다. 각 구조별 표현과 선율의 흐름에 따라 4분음표(♩)가 8분음표(♪♪), 16분음표(?), 부점(?)의 형태로 축소 변형되고, 점4분음표(?)가 8분음표 3개(♪♪♪)의 형태로 세분화되어 긴장감 조성 및 생동감을 표현했다. 첼로의 붙임줄 사용으로 인한 2분박과 가야금의 3분박이 교차되어 강약의 변화와 엇박으로 다이내믹한 리듬으로 흥겨움을 표현했다. 또한, 중심음인 F음을 기준으로 다양한 형태의 변형리듬이 출현했고, 각 파트의 개성 있는 리듬이 조화를 이루어 이슬의 움직임을 표현했다. 가야금의 주법으로 막고 연주하는 형태와 첼로의 스타카토주법, 피치카토주법의 사용은 음색의 조화를 이루면서 곡의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첼로의 트레몰로주법과 가야금에 나타나는 4도 음정관계는 색채감을 표현했다. 첼로가 ‘흥타령(천안삼거리)의 선율에 맞추어 노래하고, 가야금은 다양한 음정관계의 변화와 분산리듬을 통해 이슬이 춤추는 모습을 형상화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전통장단과 시김새를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보다는 리듬분할과 변박, 음색의 변화를 통해 밝고 경쾌한 경기민요의 느낌을 다소 현대적인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현정의 ‘석 대의 가야금과 첼로를 위한 <이슬의 춤>’은 국악기와 양악기의 혼합편성으로 전통음악의 한 장르인 민요를 바탕으로 하여 서로 절제와 조화를 이루며 ‘전통성’을 바탕으로, 이슬이 춤추는 모습을 형상화 한 표제적 성격이 동시에 나타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을 읽는 연주자들에게 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본 작품과 같이 전통적인 요소에 기반을 둔 창작곡이 많이 발표되기를 바란다.;The creative music of Korean traditional music, gukak, has been announced in various forms since the premiere of Kim’s ‘Sewuyeong’, Ki Su, in 1941. One of those is a mixed orga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in struments and Western instruments. This suggests that music cul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 and the boundary betwee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has gradually disappeared. These pieces require compositional technique for traditional music to create something new by expressing the ‘originality’ and ‘tradi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n the basis of traditional musical expressive diction, including scale, mode, form, sigimsae, and rhythm, by applying Western musical factors such as ensemble between instruments through harmony instead of undiscerning imitation. Thus, various performing techniques are possible for expression using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The subject music of this paper, for ‘Three Gayageums and Cello‘ by composer Hyun Jung Ahn, was composed by request and first performed by Il Hwan Bai, a cellist, for the Kimhae Municipal Gayageum Concert Party at the concert ‘Story of May’, the 25th Regular Concert. It was found that ‘Heung Taryeong (Cheonan Samgeori)’, which is the motive of this song and traditional folk songs, was in harmony and expressed through the meeting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Western instruments. This music, with the form of the single movement, was divided into A of (a, b, a’), B of (a, b, c), and C of (a, b), largely according to the mood of the music. The range of the cello used in this music was in harmony betwee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Western instruments by appearing in the range of gayageum. The range of gayageum gave the harmony tone and stability by playing middle- and high-pitched tones during the first part, middle-and low-pitched tones during the second part, and low-pitched tones during the third part. The formation of this ensemble made the music richer. The scales used in this music were pentatonic scale of ‘F, A♭, B♭, C, E♭’ and “F mode”, in which F was the beginning sound and the terminating sound. The melody reflected the first to sixth measure in the introduction of ‘Heung Taryeong (Cheonan Samgeori)’, which is its motive. The melody of the original music appeared similarly or was modified in the form of unison between an octave relation, homonym of cello and gayageum, or in the form of an exchange of solos. It was not an established main melody and sub-melody, but instead a complementary relation; it was in harmony betwee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Western instruments. As for motive rhythm, the cello and gayaguem equally utilized three types (♩♩♩♩♩♩, ????, ♩♪♪♪♩).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each structure and flow of the melody, a quarter note (♩) modified and reduced in the forms of eighth note (♪♪), sixteenth note (?), dotted (?), and dotted quarter note(?) was subdivided into three eighth notes (♪♪♪). This expressed vividness and created tension. The crotchet was divided into two due to the use of the tie of the cello and the crotchet was divided into three when the gayageum crossed, expressing joyous feelings through changes in dynamics and the dynamic rhythms of syncopation. In addition, modified rhythms in various forms based on F, which is the main tone, appeared. The unique rhythms of each part were in harmony, expressing the movements of dewdrops. The form to play by blocking as a fingering of the gayageum, as well as the use of staccato and pizzicato, contributed to an elated atmosphere where the music expressed harmony. The fourth tune relationship appeared in the gayageum and the tremolo of the cello expressed colors. The cello sung according to the melody of ‘Heung Taryeong (Cheonan Samgeori)’, and the gayageum embodied the dance of the dewdrops, which appeared through the changes of various tune relationships and distributed rhythms. The feeling of bright and cheerful Gyeonggi folk songs was expressed rather modernly through changes of tones, irregular timing, and rhythm division instead of utilizing direct expression of traditional rhythms and sigimsae. It appears that the above study results of for ‘Three Gayageums and Cello‘ by Hyeon Jeong Ahn expresses program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to embody the dance scene of dewdrops both based on the ‘traditionality’ of being in harmony and modernity based on the folk song, which is a traditional music genre, played via a mix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Western instruments. This paper is expected to increase music comprehension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musicians who read this paper of this piece. Additionally, it suggests a creative expression of music based on traditional fact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