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정아-
dc.contributor.author최윤희-
dc.creator최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0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0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096-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researched the method which can maximiz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nd artistic enjoyment satisfaction by approaching the application of sounds and lights more closely to the domain of synesthesia when applying sounds and lights for creation of a theater space. For a modern theater space, the demand for a method which can create more improved emotion has been increasing, and it is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level of customers for stage creation has increas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ultimedia technology environment. Furthermore, a higher level of space sensuous satisfaction through expanded space creation by breaking from the existing purpose which expresses only a simple background or place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se backgrounds, in this thesis, I contemplate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sound and light and the sensory mechanism of a human which accepts these and researched through of what kinds of process the creation method of a theater space using sounds and lights has developed. Also, I intensively analyzed works and activity cases of typical preceding artists of this field such as Appia, Wilson, and Zhang Yimou who innovatively broke from the classic stage management based on realism. Sound is a phenomenon which occurs by the simple physical phenomenon called vibration of an object, but a sense of hearing of a human is operated through a complex process which mergence of psychological phenomena happens with the acceptance of stimulation. Especially, it appeared that sound stimulates psychological effects and imagination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 spatial expression and creation effect. Like sound, light also is the simple physical phenomena which is an electromagnetic wave of a visible ray zone, but a human accepts light through various and complex mechanisms through synaesthetic internal interactions when a sense of sight of a human accepts light. Therefore, for a question about how to use lights and sounds when create a space, not only the understanding about the functional fundamental of light and sound but also the psychological and synaesthetic understanding about acceptance of stimulation of a human should be preceded. In accordance with such the necessity, I thoroughly analyzed preceding studies about light and sound, operation of a sense of hearing and sight, and synaesthetic acceptance of light and sound in this thesis. As a result of a study, I could learn that the characteristic of synaesthetic acceptance which a sense of hearing and sight has accompanies the expansion of spatial recognition and sensitive psychological change of a person who sees and hears and that sounds and lights can break from the subsidiary functions of the production of a play by understanding and applying such the characteristic well. In other words, I figured out that expressions of a space can be done plentifully only with sounds and lights and that it contributes to make that open spaces and natural environments itself which break from the existing stage territories can be excellent stage spa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ases of pioneering artists, Appia expanded a space as a classic concept of a theatre to a new theater space and showed creation of a stage can be plentiful according to how to use sounds and lights. Therefore, he recognized sounds and lights as major partial elements which can be applied independently to creation of a stage. Wilson researched the pioneering theory of Appia in depth and succeeded to make lights and sounds as a direct expressive medium in a spac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atrical materials and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based on this. Furthermore, he had achieved the remarkable dramatic effect by expressing this in an actual theater space. Zhang Yimou, based on the pioneering artists' practicing results, realized the concept of an expanded stage which is to introduce a play to an open space, namely the actual scene and expanded a theater space to a groundbreaking domain beyond all imagination through works with a setting in China's beautiful scenary. I am stating that in the part of case analysis of this thesis, I described according to a premise which the creation effect of a theater space can be increased by using sounds and lights simultaneously, but unlike lights, for sounds, there was a limit which sounds could not clearly expressed because the singing expression is impossibl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a of this thesi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many artists have been leading th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sounds which stimulate a sense of hearing and lights which stimulate a sense of sight by discovering and applying various techniques, and based on this, the aspect which lights and sounds themselves can sufficiently work as a independent space composing element is revaluated. At the same time, the new conceptual play production work could be possible through a new attempt which combining a everyday living space of today and theater space. It is regarded that through such creation and attempt, ultimately, the base for a new artistic genre could be established and it would play a role which can enrich the satisfaction of people toward life. Additionally, it is regarded that if performance artistic productions which are attempted in stages and event sites in Korea at present apply a new technique which actively adopts sounds and lights exceeding the limit of story-centric, they could be reformed as a work of high standard which has the competitiveness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It is judged that the constant efforts of front-line producers and researchers for this in the future.;본 논문에서는 극 공간의 연출을 위하여 소리와 빛을 적용함에 있어 수용자의 공감각 영역에 이를 보다 근접시켜 심적, 정서적인 안정과 예술적 향유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현대의 극 공간에서는 보다 향상된 정서를 연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기술 환경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무대 연출에 대한 소비자들의 눈높이 또한 높아진 상황이다. 아울러, 기존의 단순한 배경 또는 장소만을 표현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벗어나 확장된 공간 연출을 통해 보다 수준 높은 공간 감각적 만족감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리와 빛의 본질적인 성질과 이를 수용하는 인간의 감각 기전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소리와 빛을 이용한 극 공간의 연출 방법이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왔는지를 탐구하였다. 또한, 사실주의에 입각한 고전적인 무대 연출에서 획기적으로 탈피한 아피아와 윌슨, 장예모로 이어지는 이 분야의 대표적인 선행 예술가들의 작품과 활동 사례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리는 물체의 진동이라는 단순한 물리적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지만 인간의 청각은 자극의 수용과 함께 심리적 현상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복잡한 과정을 통해 작동된다. 특히 소리는 공간적인 표현 및 연출 효과에 있어, 심리적인 효과와 상상력을 크게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빛 또한 소리와 마찬가지로 가시광선 영역의 전자기파라는 단순한 물리적인 현상에 불과하지만 인간의 시각은 빛을 받아들이면서, 공감각적인 내부 작용을 통해 다양하면서도 복합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이를 수용한다. 그러므로 공간을 연출하는 데 있어, 빛과 소리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는 이와 같은 소리와 빛의 기능적 본질뿐만 아니라 인간의 자극 수용에 대한 심리적, 공감각적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리와 빛 및 이에 대한 청각과 시각의 작동 및 공감각적 수용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청각과 시각이 가지고 있는 공감각적 수용 특성은 보고 듣는 이로 하여금 공간적 인지의 확장 및 민감한 심리적 변화를 동반함을 알 수 있었고 이와 같은 특성을 잘 이해하여 적용함에 따라 음향과 조명이 극 연출의 부수적인 기능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소리와 빛만으로도 공간의 표현과 극적 효과가 풍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의 무대 영역에서 탈피한 열린 공간 및 자연환경 자체가 훌륭한 무대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선구적 예술가들의 사례를 분석해 보면, 아피아는 고전적인 극장 개념의 공간을 새로운 극 공간으로 확장하였으며 소리와 빛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무대 연출을 풍부하게 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므로 소리와 빛을 무대 연출을 위해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주요 공간 요소로 인식시켰다. 윌슨은 아피아의 선구적 이론을 깊이 탐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연극적 공간 재료의 확장 및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통해 공간 속에서 소리와 빛을 직접적인 표현 매체로 삼는 데 성공하였다. 아울러, 이를 실제의 극장 공간에 표현하여 높은 극적 효과를 얻은 바 있다. 장예모는 선도 예술가들의 실행 결과물을 바탕으로 극을 야외의 열린 공간 즉, 실경에 도입하는 확장된 무대 개념을 실현하였으며 중국의 아름다운 풍광들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통해 극 공간을 상상 이상의 획기적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본 논문의 사례 분석 부분에서는 소리와 빛을 동시에 사용하여 극 공간의 연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전제에 따라 이를 기술하였으나 빛과 달리 소리의 경우, 본 논문의 매체 특성 상 가청적인 표현이 불가하여 이를 정확히 표현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음을 밝혀둔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많은 예술가들이 다양한 기법들을 발굴하여 적용함에 따라 청각을 자극하는 소리와 시각을 자극하는 빛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주도해왔으며, 이를 토대로 소리와 빛 자체가 독립된 공간 구성 요소로서 충분히 작용할 수 있다는 측면이 재평가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오늘날의 일상생활공간과 극 공간을 통합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활력과 감동을 극대화 시키는 신개념의 극 연출 작업이 가능하리라는 것이다. 이러한 연출과 시도를 통해 궁극적으로 새로운 예술적 장르의 기반이 마련 될 수 있을 것이며 인간의 삶에 대한 만족을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이와 더불어, 현재 국내 무대 및 이벤트 현장에서 시도되고 있는 공연 예술적 연출들이 스토리 중심의 한계를 넘어 빛과 소리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새로운 기법을 응용한다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수준 높은 작품으로 거듭날 수 있으리라 본다. 앞으로 이를 위해 일선 연출가들과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3 Ⅱ. 소리와 빛에 대한 이론적 고찰 4 A. 공간 구성 요소로서의 소리와 빛 4 1. 공간 구성 요소로서 소리의 등장 배경 4 2. 공간 구성 요소로서 빛의 등장 배경 7 B. 소리의 개념 및 공감각적 인지 14 1. 소리와 공감각의 개요 14 2. 사운드스케이프의 개념 및 역할 16 3.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성 18 가. 영역성 18 나. 장식성과 실용성 19 다. 주종성 20 라. 지속성 21 마. 환기성 공감각적 확장 22 4. 소리에 의한 공감각적 인지 24 가. 개요 24 나. 소리의 공감각적 인지의 특성 24 다. 소리의 공감각적 인지의 현상 25 C. 빛의 개념 및 공감각적 인지 29 1. 빛의 개념 29 2. 빛의 역할 30 3. 빛에 의한 조형적 특성 31 가. 투명성 31 나. 인지성 32 다. 방향성 33 라. 장식성 34 4. 빛에 의한 공감각적 인지 35 D. 소결 38 Ⅲ. 소리와 빛을 이용한 극 공간 연출 39 A. 극 공간에 나타나는 소리와 빛 39 1. 극 공간 음향의 개념 및 역할 39 가. 음향의 개념 39 나. 음향의 역할 및 적용 40 다. 음향 환경과 사운드스케이프 41 2. 극 공간 조명의 개념 및 역할 43 가. 조명의 개념 43 나. 조명의 역할 및 적용 44 B. 소리와 빛을 이용한 공간 연출의 사례 46 1. 아돌프 아피아 46 가. 무대 구성상의 특징 48 나. 무대 미술적 이념 51 다. 무대 구성의 예 57 2. 로버트 윌슨 62 가. 이미지 연극 64 나. 작품 세계 66 3. 장예모 84 가. 장소 특정적 연극 84 나. 인상 시리즈 85 다. 성공 요인 101 C. 소결 102 Ⅳ. 결론 104 참고문헌 106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455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c.subject.ddc792.02-
dc.title소리와 빛을 이용한 극 공간 연출 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reation Method of a Theater Space with Sound and Light-
dc.creator.othernameChoi, Yoon Hee-
dc.format.pagex,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공연예술대학원 무대미술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무대미술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