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46 Download: 0

일제하 한국의 기독교 사회주의 연구

Title
일제하 한국의 기독교 사회주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Korean Christian Socialism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 Based on the Ideologies and Actions of Main Figures of the ‘Christian Agricultural Research Community’
Authors
강민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현혜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ristian socialism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especially during the 1920s-30s, by analyzing the main members of the ‘Christian Agricultural Research Community’. The social acceptance of communism as an ideology for freedom and independence of the nation after the 3.1 Movement, anti-Christianity movements of communist forces were much strengthened. Much of the Christian society ignored or retorted against such claims. Only a few took this as an opportunity for internal self-examination, or sought discourse for solidarity and co-existence, and with these few, Christian socialism was formed. The most important problem at the time was to save agricultural societies that were put under extreme poverty due to Japan’s political oppression and economic exploitation,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Saving farmers, an 80% group of the entire population, was a critical assignment of the late Chosun society. So, the young Christian youth at Soongshil vocational school of Pyongyang, led by Manshik Cho became more active in agricultural movements. Under the supervision of Minsoo Bae, they formed small groups that sought full-fledge agricultural movements, and in 1929 they organized the ‘Christian Agricultural Research Community’. Their goal was to found a Jesus village that was based on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farmers. The Jesus village was an idealistic reformation aimed to save the poor and proselytize, and later the Christian cooperative movement was suggested as the most important practice. Minsoo Bae, Jae-ki Yoo, and Moonshik Choi who led the ‘Christian Agricultural Research Community’ took towards a field-centered Christian movement that prioritized the poor, but even amongst them existed and ideological differences, especially in their perceptions of socialism. Minsoo Bae aimed for a socialism-based ideal community and yet at the same time also shared anti-communist ideologies. On the other hand, Moonshik Choi was radical to publicly declare that he would realize Christian ideals with Marxian methods. Jaegi Yoo adhered to the Japanese-styled moderate Christian socialism of Kagawa Toyohiko. Minsoo Bae, Moonshik Choi, and Jae-ki Yoo can be each concluded as an anti-communist, a radical Christian socialist, and a moderate Christian socialist, who all in the end walked different paths. Their ideological differences represented the ideological landscape of the Korean society after independence. Based on the ideologies and actions of the main actors of the 'Christian Agriclutral Research community', Korean Christian Socialism held these characteristics. Firstly it was a practicing social reformism. It advanced practical social movements based on Christian faith, against the communist anti-Christian movements, while solving the poverty issues of the rural agricultural lands. Secondly, the Korean Christian Socialism was a gradual social reformism. It criticized capitalism but did not reject the idea of property, claimed that the mature individual could change the entirety of society, and argued for a peaceful and gradual methods of change based on Christ-like philanthropy rather than a radical and violent struggle. Thirdly, Korean socialism argued Heaven was to be realized on Earth. It perceived that God’s Kingdom was to be completed and realized on earth, rather than to exist in the unknown. Just as Christ spoke of the Good news to the poor public, spreading of the gospel had to prioritize saving the poor from socio-economical strains. And in the end, God’s Kingdom would be realized and completed upon this land.;본 연구는 일제하, 특히 1920~1930년대에 논의된 한국 기독교 사회주의의 성격이 어떠한가를 ‘기독교농촌연구회’의 주도 인물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3․1운동 이후 공산주의가 민족해방의 이념으로 수용되면서 공산주의 세력의 반기독교운동도 본격화되었다. 이에 대응해 기독교계의 주류는 공산주의자들의 반기독교운동을 무시하거나 반박하였고, 일부는 기독교 신앙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로 받아들였으며, 또 소수의 부류는 이들과의 대화를 시도하면서 적극적인 연대와 공존을 모색하였다. 이들에 의해 ‘기독교 사회주의’ 사상이 형성되었다. 당시 조선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일제의 정치적 억압과 경제적 수탈로 인해 절대적인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농민과 농촌을 구제하는 일이었다. 농민이 전 인구의 80%를 차지하는 현실에서 피폐한 농촌과 농민을 구제하는 일은 당시 조선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이에 조만식의 지도를 받고 있던 평양의 숭실전문학교 출신의 기독청년들은 배민수의 주도하에 소모임을 구성하고 본격적으로 농촌운동을 모색하기 시작했으며, 1929년 ‘기독교농촌연구회’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농민층의 경제적 자립에 기초한 ‘예수촌’ 건설을 목표로 농촌운동을 전개하였다. 예수촌 건설은 빈민구제와 빈민복음을 목표로 한 현실사회의 이상주의적 개조방안이었으며, 기독교 협동조합운동이 가장 중요한 실천방안으로 제시되었다. ‘기독교농촌연구회’의 주도 인물들인 배민수, 유재기, 최문식은 빈민 우위의 기독주의 운동 이념과 현장중심적인 실천방법에 공감하여 함께 농촌운동을 전개하였지만 그들 간에는 일정한 사상적 편차도 존재하였다. 특히 사회주의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차이가 있었다. 배민수는 사회주의적 이상촌을 지향하면서도 반공주의적 사상을 공유하고 있었으며, 반면 최문식은 예수의 정신을 마르크스의 방법으로 실현하겠다고 공언할 정도로 급진적이었다. 그리고 유재기는 일본의 기독교 사회주의자 가가와 도요히코의 온건한 기독교 사회주의를 고수하고 있었다. 이들의 사상적 편차는 해방 직후 배민수는 반공주의자로, 최문식은 급진적인 기독교 사회주의자로, 유재기는 온건한 기독교 사회주의자로 사회운동을 전개하는 서로 다른 인생행로로 귀결되었으며, 이들의 이념 차이는 해방 직후 한국 사회의 이념 대립의 지형을 그대로 반영해주는 것이었다. ‘기독교농촌연구회’ 주도 인물들의 사상과 실천을 통해 살펴본 한국 기독교 사회주의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인 사회개혁론이었다.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피폐해진 농촌의 빈곤 문제와 공산주의의 반기독교운동에 대응하여 기독교 신앙을 바탕에 둔 현장 중심의 실천적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둘째, 점진적 사회개량주의였다. 이들은 자본주의를 비판하였지만 소유관계를 부정하지는 않았으며, 개인의 인격완성에 의해 사회 전체가 개조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이상사회의 건설 방식도 급진적인 폭력투쟁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박애정신에 기초한 평화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을 주장하였다. 셋째, 지상천국론이었다. 이들은 ‘하나님 나라’를 피안의 세계가 아니라 지금 이 땅에서 완성해야 할 지상천국으로 이해했다. 예수가 천국복음을 전파할 때 가난한 대중의 고통을 먼저 해결해준 것과 같이, 천국 복음의 전파에서 우선 되어야 하는 것은 빈민 대중을 그 사회경제적 속박과 고통에서 구원해내는 것이었다. 그럼으로써 현세의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가 실현되고 완성되리라고 보았던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