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6 Download: 0

50대 뉴시니어세대를 위한 스마트 앱 TV UI 개선 연구

Title
50대 뉴시니어세대를 위한 스마트 앱 TV UI 개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improving the user interface in smart app TV for new senior generation in their fifties : Focused on Menu Structure and Navigation of Tablet PCS
Authors
고유미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미
Abstract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등장으로 실시간 서비스와 다운로드 형식으로 방송프로그램을 언제 어디서나 시청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TV시청 방식의 다변화를 가져왔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12년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연령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20~30대의 구성비는 전년도에 비해 감소하고 있으나 50대 이용자의 구성비는 전년대비 두배 가까이 증가하며 그 비중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기기 및 서비스가 현재 주요 소비층인 20~30대 친화적으로 개발됨으로써 뉴시니어 층의 니즈는 설계단계부터 배제되고 있고, 이로 인해 뉴시니어의 기기 이용상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유발시킴으로써 결국 정보 탐색과 콘텐츠에의 접근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실제 사용자 조사에서 대부분의 뉴시니어세대들이 정보항행과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미디어의 수용과 이용이 늘고 있는 뉴시니어세대가 디지털기기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미디어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50대 뉴시니어세대를 위한 보편화된 스마트 앱 TV UI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세부적인 진행 사항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스마트 기기의 새로운 소비 계층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뉴시니어세대에 대한 이해를 위해 고령화와 뉴시니어세대의 특징을 알아보았고, 스마트 미디어와 스마트 앱 TV의 확산에 따른 TV시청 방식의 변화와 사용 환경에 관한 문헌 조사를 통해 연구 정의 및 범위를 확정하였으며 뉴시니어세대를 고려한 TV서비스의 연구 및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스마트 앱 TV 정보구조와 정보항행방법 파악을 위해 문헌조사에서 선정된 5개의 스마트 앱 TV를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스마트 앱 TV 서비스의 기능 및 정보구조와 정보 항행 방법에 대하여 서비스별로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메뉴구성항목과 터치인터랙션 방식, 레이블링 형식을 도출하였고 실험을 위한 기본 틀을 마련하였다. 셋째, 스마트 앱 TV의 사용성에 주목하여 스마트 미디어 이용 및 조작에 익숙한 젊은층과 스마트 앱 TV 이용 및 콘텐츠 선호도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을 기반으로 사용자 행태 조사를 하였다. 사용자 행태 조사는 카드소팅테스트를 통해 젊은층과 뉴시니어세대의 메뉴구성항목과 메뉴구조화 방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메뉴구성항목 조사 결과 20~30대 대부분이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니즈가 나타났고, 반면 50대 뉴시니어세대는 실시간TV와 TV다시보기, 편성표메뉴를 위주로 소팅하였다. 메뉴구조화 조사에서는 20~30대와 50대 모두 무리 없이 메뉴를 구조화하였고 계층적 구조를 띠고 있었다. 다음으로 본 리서치의 타깃인 50대 뉴시니어세대 6명을 대상으로 사용기간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에 익숙한 사용자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로 나눠서 에스노라피 인터뷰 방식 안에서 필드리서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뉴시니어세대의 정보항행방법을 알아보았는데, 조사결과 스마트폰 사용기간에 따른 사용행태의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패드의 직관적인 UI의 사용성은 사용경험이 없어도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뉴시니어세대도 학습을 통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사용자 행태 조사를 기반으로 뉴시니어세대의 사용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넷째, 앞서 도출된 개선방안을 접목하여 UX방향을 수립하였고, 정보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을 제작하였으며, 뉴시니어세대를 위한 스마트 앱 TV UI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조작의 두려움으로 스마트기기의 사용을 꺼려하는 뉴시니어세대에게 초기화 기능을 제공하여 적극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복잡한 기능들로 인해 정작 필요한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 해결을 위해 메뉴화면까지 들어가지 않고도 메인화면 안에서 단순한 기능만으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본으로 제공되는 화면이나 기능들이 불편하지만 설정이 가능한 부분이더라도 수정하지 못하고 그대로 사용하는 문제의 개선안으로 뉴시니어세대에게 디폴트 된 인터페이스를 제작하였고, 그들의 니즈를 반영한 개인화 기능을 제공하여 디지털기기 능숙자나 비능숙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50대 뉴시니어를 위한 보편화된 스마트 앱 TV UI 개선안을 제안한데에 그 의의가 있다.;The advent of a variety of smart devices made ways watching TV much diversified, bringing TV programs to the hands of everybody through real-time streaming service at the time and the way they want. Smart device users of people in their fifties are increasing to reach twice as many as number of users a year earlier, whereas users aged twenties to thirties are decreasing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ccording to the survey of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in 2012 regarding distribution on users of smart phone and smart pad by age. However, smart devices mainly focus on offering the friendly services mainly targeting the 20s and 30s rather than new seniors who are deprived of their own needs for smart services even at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thereby incurring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to using devices, which eventually leads to decrease in accessibility to new information and contents. The survey based on actual users shows that most of new seniors have suffered the difficulties in information navigation. This study, therefore, has suggested the improvement scheme on generalized user Interface for smart TV application dedicated for new senior generation in their fifties so they could enjoy the life through active use of new smart media. Detailed progress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V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new senior generation after setting up definition and scope of research through survey conducted with relevant literatures on changes in ways watching TV and servic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pread of smart media and smart app TV,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society and new senior generation in a bid to understand them who recently emerge as a new consumer layer to smart devices. Second, it has made several case studies targeting five smart app TVs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in order to grasp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ways of information navigation of smart app TV. This study, therefore, has prepared the basic framework for experiments, drawing the menu items, ways of touch interactions, and labeling formats. Third, it has conducted the user behavioral survey from the anticipation that it will mark a big difference on preferences of smart app TV and contents between new seniors and the youth group familiar to use and manipulation of smart media, focusing on usage of smart app TV. The user behavioral survey through card sorting tests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shown on menu items and ways to menu structuralization between youth and new seniors. According to the survey of menu items, new seniors have been sorted out to prefer to real-time TV show, replay of TV program, and TV schedule menu, whereas the twenties and thirties have shown their needs in a variety of functions. In the survey of menu structuralization, new seniors have easily completed the menu structuralization reflecting its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is the astonishing result different from the anticipation that they must go through difficulties in structuralization, whereas youth will directly get to the easy structuralization of menu while getting used to information structure from years of experiences in using diverse smart devices. This study has conducted the ethnography interviews with two different group of people - one group which is familiar with smart media and the other which isn't - in consideration of using period of smart devices, anticipating that the research conducted toward six new seniors will reveal they have a direct link between variances on use and manipulation level of smart media and period of using them. The investigation has shown no differences on user's behavior of smart phone based on its using period.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new seniors can utilize them in a variety of ways through learning, even though they don't have accumulated experiences in intuitive UI of smart pad. The study could have come up with enhancement plans for problems new seniors might encounter in using the devices through user behavioral survey. Fourth, it has suggested UI improvement scheme for smart app TV for new senior generation, implanting the perviously drawn enhancement plan to establish UX direction and build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This study has allowed new seniors to enjoy all the services with just simple function on main menu without jumping into detailed menu to figure out the problems occurred in important functions which can not be carried into play owing to the complicated function set, inducing them to the active use of smart devices by giving initialization function to them caught in fear of failing manipulation of smart devices. It has the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it has suggested the improvement scheme on generalized smart app TV UI for new seniors, no matter who are good or not on the use of digital gadgets, by providing them with personalized functions translated with their own needs, producing default interfaces for new senior generation in an effort to get rid of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of the originally designed default screens and functions which should have kept in use, even though they might have felt difficulties without making bold trying to modify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