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7 Download: 0

공공 어린이도서관 브랜딩 연구

Title
공공 어린이도서관 브랜딩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Branding of Public Children’s Library In the case of Haeoruem Children’s Library Seo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Authors
하영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그 나라의 문화적 수준을 알아보려면 도서관과 미술관에 가보라는 말이 있다. 21세기에는 인간 삶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문화 사회이다. ‘보다 더 인간을 위한’ 질적 성장으로 진보하게 되고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다. 그중에서도 공공도서관은 책의 저장소만이 아니라 문화를 이용하는 곳이다. 그리고 공공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를 테마로 도서 서비스와 편의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주 이용자인 아동은 독서를 통한 지식 습득으로 건강한 인격형성과 간접경험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아동에게 독서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바람직한 독서 습관이 길러지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오늘날 핵가족화와 더불어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로 출산율은 감소하는 반면에 사교육비는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에는 아이들의 정서적 불안 등으로 학교폭력, 왕따, 인성의 부재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 어린이도서관은 하나의 대안으로써 도움을 줄 수 있다. 어린이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공교육 과제를 수행하도록 레퍼런스를 제공함으로 공공어린이도서관은 지속적인 안내자가 될 수 있다. 이런 순기능과 더불어 사회적 관심도 확대되어 2003년 이후 전국의 공공도서관들도 속속 어린이자료실을 신설, 확충하는 등 공공 어린이도서관이 전국적으로 증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인 관심과 실질적인 어린이도서관 건립 수요에 반해, 실 이용자 수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도서관을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도서관 역시 사람들 마음속에 감성적인 장소로 기억 되도록 해주는 브랜딩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서울시의 공공어린이도서관은 위탁으로 운영되는 기관이 많았지만, 자치구 소속의 행정기관인지라 상업적 기업브랜드 보다는 브랜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인식이 다소 부족한 편이다. 이로 인해 개개의 어린이도서관 마다 고유한 개성과 정체성을 심어주는 통일된 로고를 사용 하지 않아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일관성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구대상이 도서관인 만큼 신속한 정보 전달을 위한 사인시스템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브랜딩은 좋은 감정을 생성하도록 접촉점을 창조해 만지고 볼 수 있게 만드는 과정이므로 어린이 테마에 맞게 좀 더 친근해 질 필요성이 있다. 연구대상의 주 이용자가 어린이인 만큼 이용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제안하며, 이와 연계하여 사인시스템을 개발하여 일관성 있게 브랜딩에 적용하고자 한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으로 적용한 브랜드의 개선·관리를 통해 지역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인지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아동들이 친숙하고 편안하게 책과 도서관과 가까워질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고, 양질의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장답사, 설문지, 인터뷰, 인터넷, 전문 서적 및 연구 자료를 참고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공공디자인에서의 브랜딩의 역할로서 공공디자인의 정의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사인디자인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어린이도서관의 개념과 특성을 조사했다. 둘째, 서울시의 어린이도서관 중 도서보유수 상위권에 위치한 6개관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등 브랜딩 현황을 분석하고, 대상선정 어린이도서관인 서울시 성북구 해오름어린이도서관의 현황을 조사한 후 참고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문제점 발견 및 브랜드 리뉴얼(Brand renewal)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설정했다. 셋째, 방문객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 도서관의 이용자 선호 이미지를 압축했다. 선호 이미지 형용사를 가지고 키워드와 컨셉을 도출하며 이에 맞는 최적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자 심벌의 형태, 타이포그래피, 색채, 레이아웃 등 조형적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개발했다. 또한 아이덴티티와 연결하여 일관성과 다양성이 효과적으로 내재되도록 어플리케이션 디자인(Application System)을 제시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공공어린이도서관의 브랜드 강화를 위해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표현하여 제안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확장된 시각적 표현 연구와 적용 디자인의 개발을 기대한다.;The 21st century is a cultural society based on the value of human life. It advanced to qualitative growth for ‘human beings much more’ and interest in public design has been expanded. Among them, public children’s libraries are the institute to provide book services and convenience with a theme for children. Children as main users are influenced very much on the formation of their desirable sense of values based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hrough reading books and healthy personality formation and indirect experience. Therefore, the guidance to enlighten children about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grow them to have a desirable reading habit is requested. At present,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s well as family nuclearization causes decrease of the birthrate and on the other hand, increase of private education. In addition, the problems of school violence, ostracism and human nature's absence appeared in modern times due to children’s emotional uneasiness. In order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public children’s libraries can be helpful as an alternative. Public children’s libraries can be a guide by providing references to help children perform public tasks self-directly. Form this right function, the social interest became expanded and since 2003, public children’s libraries have been increasing nationwide. However, in spite of these social interest and practical establishment demand for children’s libraries, actual users are not numerous. Furthermore, visual communication studies to more activate libraries are not sufficient either. Therefore, the branding necessity of libraries to be remembered in people’s as an emotional place is also required. The public children’s libraries of Seoul Metropolitan City that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stly entrusted for their operation. But, because it is the administrative institutes belonging to an autonomous region, it has no sufficient systematic management and recognition of a brand. Due to this reason, most of them have insufficient consistency of their own identity designs as individual children’s libraries. Moreover,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library, the sign system for swift information transfer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other hand, because branding is a course to make a touch point to create good emotion, friendliness was required to be in compliance with the theme of children. Because the main users of the subject are children, user’s opinions will be collected to suggest an identity and a sign system will be developed to be consistently applied to branding. It has the purpose to raise awareness through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a brand that applies an identity design and finally improve approachability in order to allow children to be close to books and librar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s, on-site investigation, questionnaire, interview, Internet, specialty publications and research data were referred. In detail, first, the definition of public design, the notion of brand identity and the notion of sign design were arranged. In addition, the no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braries were surveyed. Second, the brand identity status of the children’s libraries belonging to Seoul Metropolitan City was analyzed and case studies were surveyed. Furthermore, after survey of the status of Haeoreum Children’s Library In Seongbuk-gu, Seoul that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 improvement design for brand renewal was suggested. Third, a concept was derived from the key words extracted from the result of the user’s questionnaire and an optimal brand identity in compliance with the concept was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design, it tried to enable the touch point with users to be effective as consistency and diversity. Consequently, this study emphasized the suggestion of expression of identity design for brand reinforcement of regional public children’s libraries. It is expected that more expanded visual expression researches and design development will be made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