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끊어 읽기가 한국어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끊어 읽기가 한국어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Sentence Pause Reading upon Korean Language Reading Comprehension
Authors
류윤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들이 효율적으로 텍스트를 읽고 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의미단위를 중심으로 한 끊어 읽기 처리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끊어 읽기는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며 단기 기억에 저장하기 쉬운 의미 덩어리로 나누어져 이해도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영어 교육과 중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에서 끊어 읽기 연구 결과를 살펴 선행된 실험 연구 결과에서 실험을 통해 끊어 읽기가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밝힌 연구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끊어 읽기를 활용할 기초 자료로서 끊어 읽기가 학습자의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 부설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3급 수준의 중국인, 몽골인 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 도구로 사용하는 텍스트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49번부터 60번에 해당하는 ‘긴 글 읽고 문제 풀기’ 유형으로 제작하였으며 끊어 읽기 기준이 바르게 적용되었는가에 대해서도 한국어 교사 5명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실험은 모두 2번의 읽기 평가로 이루어졌는데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사전 평가로 끊어 읽기가 처리되지 않은 텍스트로 읽기 평가를 본 후에 사후 평가로 실험 집단에는 연구자에 의해 의미단위를 중심으로 끊어 읽기가 처리된 텍스트로 읽기 평가를 보고 통제 집단에는 사전 평가와 같이 끊어 읽기가 처리되지 않은 텍스트로 읽기 평가를 보고 사전・사후 평가 점수를 비교하여 점수 변화를 살펴보고 실험 참여자들에게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icrosoft Office Excel 2007Ⓡ과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검사,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의 ‘긴 글 읽고 문제 풀기’에서 교사에 의한 의미 단위별 끊어 읽기가 처리된 텍스트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도 향상에 있어 유의미한 효과를 보일 것인가? 위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설계는 문수정(2008)의 실험 과정 및 연구 결과와 곽동기(1999)의 실험 과정 및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평가의 경우에 실험 집단이 15.25점, 통제 집단이 15점으로 집단 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유의수준 0.5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집단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끊어 읽기 실험에 의한 사후평가에서는 실험 집단의 경우에 평균 20.50점으로 통제 집단의 11.71점에 비해 8.79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교사에 의한 끊어 읽기 처리된 읽기 평가가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던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의 ‘긴 글 읽고 문제 풀기’에서 교사에 의한 의미 단위별 끊어 읽기가 처리된 텍스트가 읽기 이해도 향상에 있어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앞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끊어 읽기를 활용한 수업 설계가 가능할 것이며 학습자들도 읽기 이해도를 높일 방법으로써 끊어 읽기를 선택하여 학습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ich influence the meaning-centered sentence pause reading processing has upon Korean languag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by recognizing importance of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by seeking a method that learners can read text efficiently and understand text contents. The sentence pause reading has merits as saying of being conducive to grasping structure of sentence and of being increased comprehension by being divided into chunking, which is easy to be stored in short-term memories.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progressed in order to confirm that there is no research of having directly clarified the influence of sentence pause reading upon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experiment in the preceded experimental findings by examining the findings of sentence pause reading in English educati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sentence pause reading upon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s basic data of likely utilizing sentence pause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progressed targeting 15 Chinese and Mongolian learners at Level 3 whe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at institution attached to university where i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ext of being used as experimental tool was made with a type of 'long-text reading and problem-solving' of corresponding to from No. 49 to No. 60 in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Even whether the sentence pause reading standard was rightly applied was carried ou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y 5 Korean language teachers.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wo-time reading assessment in all. The reading assessment was made with text of having not been processed sentence pause reading as pre-assessment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security of group-based homogeneity by carrying out homogeneity test. And then, as post-assess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de reading assessment with text of having been processed the meaning-centered sentence pause reading by researcher. The control group was made reading assessment with text of having not been processed the sentence pause reading as the pre-assessment. It figured out a change in score by comparing pre-post assessment marks and conducted post-interview targeting experimental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independent-sample t-test by using Microsoft Office Excel 2007 and SPSS 20.0 program.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Research problem: Will the text with the processing of teacher's sense group-based sentence pause reading in 'long-text reading and problem-solving' of the reading sphere in TOPIK show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in reading comprehension? An experimental design for examining the above research proble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analyzing Mun Su-jeong(2008)'s experimental process and finding and Gwak Dong-gi(1999)'s experimental process and finding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analyzed through this experiment. In case of pre-assessment, there was almost no group-based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5.25 points and the control group with 15 points. I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significant level in under 0.5. Thus, homogeneity of group was verified. In post-assessment by the experiment of sentence pause reading, a case of experimental group stood at averagely 20.50 points,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be higher by 8.79 points compared to 11.71 points in the control group. Th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ading assessment of having been processed sentence pause reading by teacher was confirmed to have played a role of increasing learners' comprehension. Accordingly, the text of having been processed the sense group-based sentence pause reading by a teacher in 'long-text reading and problem solving' was proved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reading sphere of TOPIK, which had been established as research problem. Through this outcome, an instructional design will be possible with the application of sentence pause reading in the Korean languaged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Even learners' selection of sentence pause reading as a method of increasing reading comprehension will lead to being capable of being conducive to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