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숙-
dc.contributor.author김미옥-
dc.creator김미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9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진로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에게 진로 상담의 현장에서 희망을 고취시킴으로써 청소년들이 보다 실제적으로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 재학 중인 309명의 고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국판 스트레스 대처전략(K-CSI), 진로준비행동, 희망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빈도분석, 기술 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Amos 17.0를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문제해결 대처전략은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과 희망, 진로준비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 중 희망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문제해결 대처전략을 사용할수록 희망이 유의하게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전략도 문제해결 대처전략과 마찬가지로 회피 중심 대처전략을 제외한 문제해결 대처전략, 희망, 진로준비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회피 중심 대처전략은 어떠한 변인과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희망과 진로준비행동은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즉, 희망을 높은 수준으로 가질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도 높은 수준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희망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도 높을 것이라는 기존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둘째,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고 다음으로 희망이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준비행동에서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검증 결과, 문제해결 대처전략만이 희망을 매개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였다. 그러므로 진로스트레스의 상황에서 문제해결 대처전략을 사용할수록 희망은 높아지고 진로준비행동은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로 상담에서 내담자가 진로스트레스 상황에 처했을 경우 어떠한 대처전략으로 행동하는지 점검하고 문제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방식의 태도를 갖도록 독려하며 개인 내적 변인인 희망을 통해 진로와 관련된 실제적인 행동을 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mediator effect of the hope in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ccordance with coping strategy on career stress and inspiring the hope of the youth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it was aimed to help them to prepare their actual career. In order to complete this goal, as studying objects, 309 students in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it was trying to carry out the survey including Korean stress coping strategy (K-CSI),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demographic questions on the hope to them. Collected materials were prov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prove mediator effect of the hope in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ccordance with coping strategy on career stress, through Amos 17.0, it was also trying to carry out path analysis.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copying strategy on solving problem in copying strategies on career stres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pying strategy on pursuing social support, the ho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specially, among them it ha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ope, by which it is possible to think the more copying strategy on solving problem is used, the more the hope is significantly increased. Like as copying strategy on solving problem, copying strategy on pursuing social suppor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pying strategy on solving problem, the ho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out copying strategy on avoidance. On the contrary, copying strategy on avoidance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other variables. Moreover, the hope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think the more the level of the hope is high, the more i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high. It also supports previous studies insisting the more the level of the hope is high, the more i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high. Secondly, in order to prove mediator effect of the hope, it was first trying to prove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and then it was trying to find whether the hope had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pying strategy o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r not. As results, copying strategy on solving problem only had an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ho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nalyze in the situation of career stress, the more copying strategy on solving problem is used, the more the level of the hop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increased. Therefore, when clients faced the situation of career stress in the career counseling, it is required to examine what copying strategy should be used for it and help them to have an active attitude for solving problems and do actual activities relating to the career through personal individual variable, the hop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II. 이론적 배경 5 A.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 5 1.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정의 및 기능 5 2. 진로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의 선행연구 8 B. 진로준비행동 10 1. 진로준비행동의 정의 및 기능 10 2. 진로준비행동의 선행연구 12 C. 희망 15 1. 희망의 정의 및 기능 15 2. 진로 관련 희망 선행연구 20 D.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22 1. 연구가설 22 2. 연구모형 24 III. 연구방법 25 A. 연구대상 25 B. 연구절차 26 C. 측정도구 26 1.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 척도 26 2. 진로준비행동 척도 27 3. 희망 척도 29 D. 연구방법 31 Ⅳ. 연구결과 33 A.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33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33 2. 주요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34 B.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36 1. 매개모형 적합도 검증 36 2.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36 V. 결론 및 제언 39 A. 요약 및 논의 39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1 참고문헌 44 부록 51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96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고등학생의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ping strategy on career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mediator effect of the hope in th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c.creator.othernameKim, Mi Ok-
dc.format.pageix,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