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이한나-
dc.creator이한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8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9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863-
dc.description.abstract코퍼스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말과 글을 텍스트의 형태로 모아 놓은 방대한 언어자료의 집합체이다. 영어 학습자는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적인 영어의 용례와 그 맥락을 알 수 있고, 다양한 용례를 관찰하는 귀납적인 과정을 통해 문법 규칙을 추론해 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학습자가 영어 문법규칙을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인지적인 측면은 물론 정의적인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코퍼스를 활용한 귀납적 문법지도의 효과를 검증하고, 학습자가 문법학습과 학습형태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 및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의 효과성과 현장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충남 홍성 소재의 중학교 2학년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5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고 연구 설계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은 코퍼스를 활용하여 귀납적으로 문법학습을 하는 집단이며 통제집단은 연역적인 방법으로 문법학습을 하는 집단이다. 그리고 실험집단은 짝활동의 형태로 통제집단은 개별학습의 형태로 학습하는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전평가에 임하였고 실험집단은 사전 정의적 태도 설문과 사전 영어 과목 자기효능감 설문에 응답하였다. 5주간 실시된 사전·사후 평가와 10차시의 실험수업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후평가에 임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은 사전과 동일한 문항의 사후정의적 태도 설문과 사후 영어 과목 자기효능감 설문에 응답하였고 정의적 태도에 대한 심화 설문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분석한 내용와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퍼스 자료를 이용한 실험집단과 연역적인 방법으로 문법을 학습한 통제집단 모두 문법 규칙 이해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 결과는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가 학습자가 문법규칙을 습득하도록 돕는 데 기존의 연역적 방법과 같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학습자의 영어 능력에 따른 상․하위 수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었는지 살펴보면,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가 상․하위 수준 학습자의 영어 문법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코퍼스를 활용하여 귀납적으로 문법학습을 했던 실험집단과 연역적인 방법으로 문법학습을 했던 통제집단 모두 문법규칙 이해도와 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 방법이 학습자의 문법규칙 이해도와 표현능력을 향상 시키는 데 기존의 연역적인 방법과 같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 능력에 따른 상·하위수준 학습자의 문법규칙 이해도와 표현능력을 비교해보았더니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는 상위수준 학습자의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하위수준 학습자의 경우 이해도와 표현능력 모두 향상되었고, 표현능력의 경우 실험집단의 상위집단이 표현능력에서 더 큰 향상을 보였지만 사후 점수에서 통제집단과의 차이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 내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므로 위 결과는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가 상·하위 수준 학습자의 문법 표현능력을 향상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를 받고 실험집단의 학습자가 보인 영어 학습, 문법학습, 코퍼스 문법 학습, 그리고 짝활동에 대한 태도 변화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는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 변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자는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를 흥미롭고 유용하게 생각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를 짝활동의 형태로 진행 하면 생소한 자료를 접하는 학습자의 불안감을 낮추고 짝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하여 학습활동이 더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넷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는 학습자의 영어 과목 자기효능감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학습자의 응답치를 상․하위 수준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사전·사후 응답치 간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학습자가 현재까지 축적한 영어 학습에 대한 성공경험과 실패경험이 영어 과목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단기간에 변화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코퍼스를 활용하여 문법지도는 학습자가 문법 규칙을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시간의 효율성과 목표 문법 규칙의 복잡성, 코퍼스 자료의 적절성을 고려하여 사용한다면 학습자의 문법규칙 습득에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 째, 중학교 학습자는 연역적인 문법교수의 메타언어와 문법적인 개념을 어려워하므로 코퍼스 문법 학습 자료를 이용하면 학습자는 문법에 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흥미를 느낀다. 특히 하위수준의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적극적으로 학습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 자료를 만들 때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예문을 찾는 일이 중요하다. 또한 목표 문법규칙의 특성이 잘 드러난 예문을 이용해야 한다. 넷 째, 코퍼스를 활용하여 문법 수업을 진행할 때 짝활동의 학습형태를 이용하면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위수준 학습자와 하위수준 학습자는 모두 짝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고, 짝과의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에 대한 연구와 개발을 계속 진행하여 학습자가 영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영어 정규 수업과정과 실험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시간의 제약이 있었고 더욱 실제적인 코퍼스 자료를 사용 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긴 기간 동안 실시되는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의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영어교육분야에서 영어 과목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수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Corpus is the collection of massive language data which are actually used among native speakers. English learners not only can obtain actual language usage in its context, but also can infer grammar rules through induction by observing language usages. This process can help learners acquire English grammar rule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ing grammar through the corpus and observe attitudes changes of learners toward grammar learning and learning styl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ill propos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grammar through corpus and suggestions to apply this methods to English learning classroom.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second graders at a middle school in Hong-sung a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5 weeks. Two classes were chosen randomly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grammar learning materials which were taken from corpus data in inductive approach and a control group that learned grammar in a deductive approach.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grammar in paired-work, and the control group learns grammar by individual. Grammatical competence of both groups were tested before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to answer the surveys to investigate changes in attitudes and self-efficacy of English subject. After 10 periods lesson, post grammatical competence test was conduct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swered the same surveys to investigate changes in attitudes and self-efficacy of English subject, and some students were asked to give their opinions o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earning grammar through corpus and paired-work. The summary of discus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and survey is as follows. First, the use of corpus materials in grammar teaching presented a significant result in the degree of learners’ learning grammar.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s significant results in score improv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mmar learning between two groups. Second, it is found that learning grammar through corpu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omprehension of grammar. Especially low level learners’ score showed high improv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it is found that learning grammar through corpus can improve learners’ production of grammar. Both low level and high level learners showed improvement in production of gramma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ion of grammar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eaching grammar through corpus can have the same effect on grammar learning, comprehension of grammar, and production of grammar compared with deductive grammar teaching method. Fourth, teaching grammar through corpus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grammar learning, grammar learning through corpus, and paired-work and all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ers thought learning grammar through corpus is interesting and useful. It is found that conducting teaching grammar through corpus with paired-work can lower learner’s anxiety and can encourage interaction between peer. This process can activate learners’ learning process. Fifth, teaching grammar through corpus did not have effect on self-efficacy of English subject of both high level groups and low level groups. It is assumed that the successes and the failures that subjects had been experienced influenced on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Improving self-efficacy in short term might be difficult. because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in both regular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that learners have been went through have effects on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This study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teaching grammar through corpus. First, using of corpus materials can help learners learn, comprehend, and produce English grammar rules. Teacher should consider time efficiency and adequacy of using corpus data to expect positive effectiveness in teaching English grammar.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meta-language and grammatical concepts so grammar learning materials taken from corpus can help learners have positive understanding of grammar and take an interest. Especially, this method can change the attitudes of learners in low level and encourag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Third, teacher should collect the corpus data which is appropriate to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data is needed to contain the specification of target grammar rules. Fourth, paired-work is effective in conducting this method. Both learners in high level and low level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paired-work.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can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More studies and experiments about teaching grammar through corpus should be conducted to help learners understand and produce English more correctly. This study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with regular school course so there were limits to use time and more authentic corpus materials.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rammar intensive course or program which use grammar materials taken from corpus is needed. Lastly, study to investigate methods and learning materials which can have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of English subj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A. 문법지도 5 1. 문법지도의 필요성 5 2. 문법지도의 유형 7 B. 코퍼스 11 1. 코퍼스와 용어색인 11 2. 코퍼스와 문법학습 12 C. 협동학습과 짝활동 14 1. 협동학습의 정의 14 2. 짝활동 15 3. 짝활동과 불안감 16 D. 자기효능감 17 1. 자기조절학습 17 2. 학업적 자기효능감 18 3.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18 4. 자기효능감 형성기제 20 E. 선행연구 22 1. 코퍼스 활용 문법지도 22 2. 협동학습과 영어문법학습 25 3.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 학습 27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29 A. 연구 질문 29 B. 연구대상 및 기간 30 C. 실험 도구 30 1. 코퍼스자료 30 2. 학습자료 33 3. 사전·사후 문법 평가지 36 4. 정의적 태도 설문지 38 5. 사후 심화 설문지 39 6. 학업적 자기효능감 설문지 40 D. 실험 절차 41 1. 실험 이전 절차 41 2. 실험 수업 절차 44 3. 자료 분석 46 E. 연구의 제한점 46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8 A. 코퍼스를 활용한 귀납적 문법지도가 문법규칙 습득에 미치는 영향 48 B.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지도가 문법규칙 이해도와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52 C.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교수가 문법학습 및 학습형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60 D. 코퍼스를 활용한 귀납적 문법학습이 영어 과목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66 V. 결론 및 제언 71 참고문헌 76 부록 84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389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코퍼스를 활용한 짝활동 형태의 귀납적 영어 문법지도가 중학생의 문법학습과 정의적 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rpus-based Inductive English Grammar Teaching through Paired-work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Learning Grammar, Affective Domain, and Academic Self-efficacy-
dc.creator.othernameLee, Han Na-
dc.format.pagexii,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