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혜림-
dc.creator김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2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9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28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children’s cloth play started from children or teachers, what forms of play appear during the process of the play, what kind of strategies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expands the play, and what kind of actions by children or teachers cause severance of play. The set research problems related to these are the following: 1. With what form did the cloth play of age 4 ‘Dew(Yi-Seul) Class’ start? 2. How did the form of cloth play of age 4 ‘Dew (Yi-Seul) Class’ proceed? 3. What kind of strategies did the children and teacher of ‘Dew (Yi-Seul) Class’ use to expand the cloth play? 4. What are the causes of cloth play severance in age 4 ‘Dew (Yi-Seul) Class’ by the teachers and the children? The current research is conducted with 27 children of age 4 as the subjects, who are in ‘Dew (Yi-Seul) Class’ of Hanul Kindergarten located in G-Gu of Seoul City. Data collection for this research is conducted from March 18, 2013 to April 19, 2013, and collected from total of 24 sessions of participant observation, video recording, voice recording, photo taking, field outline, and teacher’s journal. As a researcher, I have compiled a copy of the field record with recorded videos, voice recordings, photo data, field outline, daily teaching plan, and teacher’s journal, and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through encoding and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proposal by Bogdan and Biklen(2007,2010)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s as follows: First, cloth play is started by children’s natural occurrence of play and suggestion of the teacher. It is sometimes started while children freely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loths, or sometimes expanded from a variation of the play topic while doing a cooperation play. There were cases where the play is started by an addition of material asides from the cloth, or when the teacher showed a new cloth it proceeded as a theme of association play, or at times the play started from one child and gained the interest of other children, proceeding to a cooperation play. Furthermore, teachers caught moments of coincidence while children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and suggest a play that includes the educational concept of the teacher, or the play started by suggesting another play that includes the common interest of the children. Second, cloth play proceeded to play that u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play that includes pretend play, or play that includes physical exercise. For plays that 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there were forms of hiding under the cloth, pulling, throwing, winding, shaking, stacking, and tying. For the play process that includes pretend play, various topics related to the cloth are set, and preceded by pretending the roles, locations, and tools. For plays that include physical exercises, sometimes children suggested new form of game that uses the previous play method using the cloth, and there were also cases where various elasticity, color, and size of the cloth is used as a pretend weapon and showed active play of wild physical actions. Third, cloth play is expanded through the following strategies of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Children observed play method of their friends, copied their methods and sometimes set a certain standard, categorized them and ranked them by comparing the standards. Experiment is conducted actively by the needs, and the result is sometimes predicted by the experience in the daily lives or from the experience of previous cloth play. Furthermore, the forms of cooperation play, such as suggesting the play method to the other children, sharing and discussing each other’s thoughts, setting a common goal, and helping each other, also affected the expansion of the play. The teacher expanded the play by using the strategy of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such as texture, color, transparency, weight, and elasticity. Furthermore, teachers expanded the play to allow the children recognize the concept of force, and through this children were able to put their forces together, were able to compare the forces that are gathered together, and understand that forces of different directions disperse, but forces of same direction come together and create a stronger force. Through the expanded play due to additional medium of ‘marble’ supported by the teacher, children gained interest in the slope of an incline, and were able to find that marbles move from high to low plac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cline due to gravity, and also found out the repeated action from high to low, and low to high movement of the marble. Fourth, cloth play was severed due to causes of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Children at times showe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instruction of the play, did not follow the rules of the play, or showed conflicts by lack of active participation during cooperative play. Furthermore, sometimes children did not respect each other’s thoughts during cooperative play, resisted in participating, or problems due to possession of the cloth among the children led to severance of play. On the other side, children at times made misconception about why cloths travel further when crumbled due to wrong assumptions, leading to severance of play. Teachers sometimes lacked in concept knowledge of the play, could not make appropriate questions to children, and suggested activities which did not consider the interest and developmental level of the children, leading to severance of play.;본 연구는 유아들의 천 놀이가 유아들, 교사로부터 어떻게 시작되었고 놀이의 전개 과정에서 어떠한 형태의 놀이가 나타나는지, 유아들과 교사의 어떠한 전략들이 놀이를 확장시키는지, 놀이 단절에 유아들과 교사의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이슬반 유아들의 천 놀이는 어떠한 형태로 시작되었는가? 2. 만 4세 이슬반 유아들의 천 놀이는 어떠한 형태로 전개되었는가? 3. 만 4세 이슬반 유아들의 천 놀이 확장을 위해 유아들과 교사는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였는가? 4. 만 4세 이슬반 유아들의 천 놀이 단절에 유아들과 교사의 원인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G구에 위치한 하늘 유치원 만 4세 이슬반 유아들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3년 3월 18일부터 4월 1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24회의 참여관찰, 동영상 촬영, 녹음, 사진 촬영, 현장 약기, 교사 저널을 통해 수집 하였다. 본 연구자는 녹화된 영상자료, 녹음자료, 사진자료, 현장 약기, 일일교육계획안, 교사저널을 바탕으로 현장 기록 전사본을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7/2010)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 놀이는 유아들의 자연발생적인 놀이와 교사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유아들이 자유롭게 천의 특성을 탐색하는 중에 시작되기도 하고, 협동놀이를 하는 중에도 또 다른 주제의 놀이가 시작되어 확장되기도 하였다. 천 이외의 것을 첨가하면서 놀이가 시작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교사가 새로운 천을 소개하면 유아들이 그 천을 보고 연상되는 놀이 주제로 전개하기도 하였고, 한 유아로부터 시작된 놀이가 다른 유아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어 협동놀이로 전개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교사는 유아들이 천의 특성을 탐색하는 모습을 관찰하던 중 우연한 사건을 포착하여 교사가 생각한 교육적 개념이 포함된 놀이를 제안하기도 하고 유아들의 공통된 관심사를 바탕으로 연관된 또 다른 놀이를 제안하면서 놀이가 시작되었다. 둘째, 천 놀이는 천의 특성을 활용하는 놀이, 가작화가 포함된 놀이, 신체운동이 포함된 놀이로 전개되었다. 천의 특성을 활용한 놀이로는 천으로 숨기, 당기기, 던지기, 감기, 흔들기, 겹치기, 묶기의 형태가 나타났다. 가작화가 포함된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는 천을 보고 떠오르는 다양한 주제를 설정하고 역할, 공간과 도구를 가작화하여 전개하였다. 신체운동이 포함된 놀이에서는 유아들이 기존의 놀이 방식을 적용하여 천을 활용한 규칙이 있는 새로운 게임을 제시하여 놀이하기도 했고, 천의 탄성, 색깔, 크기 등을 다양하게 하여 무기로 가작화함으로써 거친 신체 놀이가 활발하게 나타나기도 했다. 셋째, 천 놀이는 유아들과 교사의 다음과 같은 전략으로 놀이가 확장되었다. 유아들은 친구의 놀이 방식을 관찰, 모방하며 천을 어떠한 기준을 정하여 분류하고 서로 비교하여 서열화하기도 했으며 필요에 의해 능동적으로 실험을 구성하고, 일상생활 속 경험이나 이전의 천 놀이 경험을 통해 결과를 예측하기도 했다. 또한, 유아들이 다른 유아들에게 놀이 방법을 제안하거나 각자의 생각을 공유하여 토의하고, 함께 목표를 정하고, 서로 돕는 협동의 형태도 놀이의 확장에 영향을 미쳤다. 교사는 천의 특성인 질감, 색, 투과성, 무게, 탄성을 변화시키는 전략을 사용하여 놀이를 확장하였다. 또한, 교사는 유아들에게 힘에 대한 개념을 인식시키기 위해 놀이를 확장하였는데 이를 통해 유아들은 힘은 합쳐질 수 있고 합쳐진 힘끼리 서로 비교할 수 있다는 것, 서로 다른 방향의 힘은 분산되지만 같은 방향의 힘은 합쳐져서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교사가 천 이외의 매체인 구슬을 지원하면서 확장된 놀이는 유아들이 경사로의 기울기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구슬은 경사로의 형태에 따라 중력,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는 것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천 놀이는 유아들과 교사의 원인으로 단절되었다. 유아들은 놀이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유아들 간에 놀이 규칙이 지켜지지 않고, 협동놀이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아 갈등이 나타났다. 또한, 협동하는 놀이에서 유아들은 서로의 생각을 존중하지 않고 생각이 다를 수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며 놀이에 참여하기를 거부하거나 유아들 간 천의 소유 문제로 갈등이 나타나면서 놀이가 단절되었다. 한편 유아들은 천을 구겼을 때 멀리 나가는 이유에 대해 잘못된 추측으로 오개념을 형성하여 놀이가 단절되기도 하였다. 교사는 놀이에 대한 개념 지식이 부족하거나 유아들에게 적절한 발문을 하지 못하고, 유아들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활동을 제안하면서 놀이가 단절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3 Ⅱ.이론적 배경 4 A.놀이의 중요성 4 B.유아들과 놀이감 5 C.놀이감으로써 천 8 D.놀이에서의 상호작용 10 Ⅲ.연구방법 15 A.연구 대상 15 B.연구 절차 20 Ⅳ.천 놀이의 시작 23 A.유아들의 자연발생적 놀이에서 시작 23 B.교사의 제안으로 놀이 시작 27 Ⅴ.천 놀이의 전개 30 A.천의 특성을 활용하는 놀이 30 B.가작화가 포함된 놀이 40 C.신체운동이 포함된 놀이 47 Ⅵ.천 놀이 확장을 위한 전략 51 A.유아들의 전략 51 1.관찰 및 모방 51 2.분류 및 서열화 53 3.실험 및 예측 54 4.토의 및 협동 56 B.교사의 전략 59 1.천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전략 59 2.교육적 개념을 인식시키기 위한 전략 67 3.천 이외의 매체를 지원하는 전략 69 Ⅶ.천 놀이 단절의 원인 77 A.유아들의 원인 77 1.또래 간 갈등 77 2.오개념 81 B.교사의 원인 83 1.개념 지식의 부족 83 2.적절하지 못한 발문 84 3.흥미와 발달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활동제안 85 Ⅷ.논의 및 결론 88 A.논의 88 B.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0 부록 106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270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4세 유아들의 천 놀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4-Year-Old children's cloth play-
dc.creator.othernameKim, Hye Rim-
dc.format.pagex,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