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28 Download: 0

환경글쓰기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생활 쓰레기 배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 분석

Title
환경글쓰기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생활 쓰레기 배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children's Recognition and Idea of Environment Value on Discharging Waste through Environment Writing
Authors
문경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Recognition for residential wastes occurring every day is low by comparison with its seriousness. Elementary schoolchildren say that throwing wastes into a garbage can is the only way to get rid of wastes. It is necessary to be involved actively in matters with residential wastes through recycling rather than just throwing away. Thus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elementary schoolchildren’s recognition for wastes discharge and idea of environment value about waste matters. An activity paper was designed with waste matters from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and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Writing by four classrooms in fifth graders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progressed. Recognition for types of wastes and recycling is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dea of environment value is analyzed by a standard based on prepared criteria of analyze for qualitative analysis.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most of waste thrown by elementary schoolchildren is vinyl and plastic. The ratio of recyclable vinyl and plastic to paper, which is from elementary schoolchildren’s answers, is 23.16% and 39.76%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wastes for incineration and landfill, which are both impossible to recycle, is 21.1% and 25.64% respectively. It means that elementary schoolchildren are lack of knowledge about recycling. Thus, there is a need for curriculum related with recycling for schoolchildren. Second, elementary schoolchildren know about separating and sending out the recyclable wastes but percentage of the power of execution is low. Percentage of paper is 56.2%, and percentage of waste in landfill is 54.7%. Practicing percentage is not high enough. On the other hand, percentage of used fluorescent light and battery is 84%, which is very high. Reasons for not practicing as knowing are ‘worryingly’, ‘don’t know’ or ‘difficult’, ‘know nothing for the reason doing so’, ‘parents did instead’, and so on. ‘Worryingly’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reasons. It is expected to make their power of execution higher when elementary schoolchildren experience separating and sending out the recyclable wastes and learn necessity. Third, according to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children’s idea of environmental value from recognizing and solving the matters with wastes, it shows that they have ecologically-oriented principle in recognizing while they have viewpoi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 ecologically-oriented principle, and anthropocentricism in solving. The schoolchildren have viewpoint of ecologically-oriented principle in effects of wastes, cause of increasing wastes, waste in landfill, and abandonment in the sea. Elementary schoolchildren have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 in method of waste decrease and anthropocentricism in finding a method to change wastes into energy.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elementary schoolchildren on this study recalled experience for one week and wrote down depended on their subjective memories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wastes thrown by them. Thus, subjects did not understand matters even a student wrote down a cigaret which did not belong to the student. It would be better to make them write down a kind of throwing waste diary by themselves within a certain time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Second, idea of environment value is a viewpoint for environment and depends on what idea of environment value people have, therefore, it can be different. There is a lack of study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s idea of environment value. Thus it is required for finding out elementary schoolchildren’s idea of environment value to develop an analyzing tool.;현대 사회를 살면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는 그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시민들의 환경문제 인식은 낮다. 개인이 발생시키는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초등학생들의 경우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만이 최선인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쓰레기통에 버리는 수준이 아닌 생활쓰레기 환경문제의 인식과 문제해결에 대한 실천 교육을 통해 생활쓰레기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생활 쓰레기 배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들의 생활쓰레기에 대한 문제 인식과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환경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최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문제를 신문을 참고하여 생활쓰레기와 관련된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여 서울시 S초등학교의 5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2차시의 정규수업시간에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초등학생의 생활쓰레기 배출 종류와 분리수거에 대한 인식에 대한 내용은 빈도와 비율로, 환경관은 글쓰기 내용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생활쓰레기는 비닐·플라스틱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초등학생들은 자신들이 배출한 비닐·플라스틱류는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23.16%에, 종이류도 39.76%로 이와 반대로 재활용이 어려운 소각용쓰레기나 매립용쓰레기의 경우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응답이 21.1%, 25.64%에 이르러 재활용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재활용 관련 지식을 높일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된 환경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분리배출에 대해 알고 있기는 하지만 실천하는 비율이 낮았는데 종이류는 56.2%, 매립용쓰레기류는 54.7%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폐형광등·건전지는 84%로 높게 나타나 그 차이가 컸다. 실천을 하지 않는 이유는 ‘귀찮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렵다’, ‘왜 해야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부모님이 대신해 주셔서’ 등의 응답이 나왔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분리배출의 경험을 제공하고, 분리배출에 대한 필요성을 알려주면 실천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환경글쓰기에서 생활쓰레기 문제 인식과 문제 해결 과정에 나타난 환경관을 분석한 결과, 문제인식에서는 생태지향주의 관점을 주로 나타냈으나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지속가능발전주의, 생태지향주의, 인간중심주의 관점을 모두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 쓰레기의 영향, 쓰레기 배출 증가 원인, 쓰레기 매립과 해양 투기의 영향에서는 모두 생태지향주의 관점을 나타내고, 생활쓰레기 감소 방법은 지속가능 발전 주의 관점을, 쓰레기 에너지화 방법 찾기에서는 인간중심주의 관점을 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번 연구는 초등학생의 쓰레기 배출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일주일간의 경험을 떠올리게 하여 주관적인 기억에 의존하여 적게 하였다. 향후 초등학생의 쓰레기 배출 실태를 조사할 때는 초등학생 스스로 쓰레기 배출 일기 등을 작성하도록 하면 더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환경관은 환경을 바라보는 관점으로 어떠한 환경관을 가지는가에 따라 환경 문제 해석이 달라진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의 환경관에 대한 인식 및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초등학생들의 환경관에 대한 분석틀을 개발 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