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옥주-
dc.contributor.author장채리-
dc.creator장채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9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53-
dc.description.abstract원어민 교사를 활용한 「중국어 원어민 보조교사 초청·활용 사업(CPIK: Chinese Program in Korea)」이 확대됨에 따라 팀티칭 수업은 국내 중국어 교육의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팀티칭 수업은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가 한 교실에서 같이 수업함으로써 학생들이 중국어 및 중국 문화에 흥미를 느끼고 언어에 대한 자신감을 느끼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목표어 환경 노출을 쉽게 하여 학생들의 중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가져온다. 두 교사가 수업에 대한 의견 교류를 통해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 역시 팀티칭 수업의 장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어 팀티칭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와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이뤄지는 팀티칭 수업을 참관하고 평가한 뒤, 장단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팀티칭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팀티칭 수업을 하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및 교사 인터뷰를 통해 해당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 현황을 살펴본다. 둘째, 이를 토대로 세운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수업 참관을 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팀티칭 수업의 특징 및 개선점을 살펴본다. 셋째,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및 수업 현장 연구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팀티칭 수업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핵심이 되는 부분은 Ⅲ장과 Ⅳ장이다. Ⅲ장에서는 수업을 하는 교사와 수업을 받는 학생들이 팀티칭 수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내용으로 수업 시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역할 비중, 중점 역할, 학생들의 학습 효과 및 앞으로의 팀티칭 수업 방향 등을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업을 듣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팀티칭 수업 시 두 교사의 역할 및 비중, 선호하는 학습 주제 등을 주요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밖에도 설문 조사만으로 확인할 수 없는 수업 전반의 구체적인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에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장 연구로는 한국인 교사가 수업을 주도하는 고등학교와 원어민 교사가 수업을 주도하는 고등학교의 수업을 각각 참관하였다. 기존의 원어민 보조교사 협동 수업 평가표를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팀티칭 수업에 맞게 수정 및 평가하고, 특징과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참관을 통하여 파악한 팀티칭 현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교사는 한국인 교사의 지시에 따라 수업에 임하는 보조교사의 역할을 한다. 둘째, 한국인 교사는 수업 진행 및 학생 통제, 문법 설명을 중점적으로 하며 원어민 교사는 발음․성조 교정, 말하기․듣기 지도를 중점적으로 한다. 셋째, 단원별 배운 내용을 확인하는 역할극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인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설문 조사 및 인터뷰, 현장 연구를 통한 수업 참관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팀티칭 실천 방안을 작성한다. 두 교사의 역할 분담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원어민 교사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학습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장에서 이뤄지고 있는 팀티칭 수업의 문제점 중 하나는 원어민 교사의 역할이 교과서만 읽는 수동적인 녹음기로 한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인과 원어민 두 교사의 사전 수업 연구 및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수업 후 의견 교류를 통해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다음 수업에 적용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팀티칭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한국인 교사가 원어민 교사에게 지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원어민 교사 역시 학생들에게 가르친 문형을 반복 연습 시키고 수업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개별 교사의 역량 및 두 교사의 역할 분담, 상호작용에 따라 팀티칭 수업의 질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향후 원어민을 활용한 팀티칭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개념 정립 및 수업 모형 확립에 대한 상호 노력이 필요하다.;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enhanced team teaching methods that reflect the analysis of merits and demerits of contemporary Chinese team teaching lectures and analysis of actual data collected from educational sites based on perception surveys and status analysis.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ccording to sequence and difference in research methods. First, this study examines in depth,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class members for the corresponding class, and reviews class status through information gathered from teacher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nswered by teacher and student respondents. Second, based on evaluation criteria established through subsequent procedures, this study conducts field investigations that thoroughly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m teaching class and seeks area for improvement. Third, this study proposes a practical method of effective team teaching based on in-field class research and teacher and student survey. The foundation of the research is presented in Chapter Ⅲ and Ⅳ. Chapter Ⅲ focuses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class members regarding the team teaching method. In the questionnaire targeting current teachers, the contents handled in class role allocation of native Chinese and Korean instructors, main focus duties of each instructor groups, learning effects of students, and applicable directions for future team teaching classes. Also, main items including roles portions of the two instructor groups and student preferred subjects were set up in the questionnaire targeting students that attend the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 respondent group of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further check upon overall detailed status and problems that is difficult to be confirmed with the survey procedure only. Field survey of this study included attending high school lectures one led by a Korean instructor and the other led by a native Chinese instructor, respectively.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am teaching class observed through in class participatio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ve Chinese instructor performed roles of an assistant teacher according to the Korean instructor’s indications. Second, the Korean instructor focused on controlling overall academic sequence of the class, controlling the students, and explaining grammar while the native Chinese instructor emphasized on pronunciation and tone correction, and listening and speaking lectures. Third,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was enhanced through role playing activities that revised the key structure in each section of the curriculum. In Chapter Ⅳ, this study presents an instruction method on effective team teaching based on data analysis of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in class research included in Chapter Ⅲ. In result, this presentation leads to the introduction of an instruction method that maximizes the synergy effect of optimized class role assignments of both Korean and native Chinese instructors. One of the problems expected to surface in conventional team teaching educational sites is that the role of the native assistant instructor may be limited to a passive one merely aiding the textbook. The source to remedy the problem can be approached in two aspects. First, the importance of mutual class preparation and interaction of both Korean and native instructors should be dealt with weight. Effective team teaching can be achieved through supplementing insufficient areas during after class opinion exchanges. Second, improvement of student communication capabilities can be motivated when the role of the native assistant instructor is extended beyond conventional boundaries. This includes having the native instructor take greater part in class by increasing the hours for revision of previous classes. Collaboration on forming concepts and establishing class models is necessary for successfully improving educational efficiency of team teaching classes that utilize native Chinese human resources as assistant instru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4 C. 연구 내용 및 방법 6 Ⅱ. 팀티칭의 이론적 배경 8 A. 팀티칭의 정의 8 B. 팀티칭의 유형 9 C. 팀티칭 수업의 절차와 모형 12 Ⅲ. 팀티칭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장 연구 15 A. 팀티칭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황 15 1. 설문 조사를 통한 팀티칭 인식 조사 15 2. 인터뷰를 통한 팀티칭 현황 조사 26 B. 팀티칭 수업에 대한 현장 연구 32 1. 현장 연구 목적과 대상 32 2. 팀티칭 수업의 평가 기준 33 3. 팀티칭 수업 참관 분석 39 4. 팀티칭 수업 평가 및 개선안 46 Ⅳ. 팀티칭 수업 실천 방안 59 A. 팀티칭 수업 설계 59 B. 학습지도안 61 1. 발음 지도 62 2. 말하기 지도 71 3. 문화 지도 85 Ⅴ. 결론 및 제언 94 참고문헌 97 부록 101 ABSTRACT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202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현장 연구를 통한 고등학교 중국어 팀티칭 수업 실천 방안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ield Research Based Team Teaching Methods for Korean High School Chinese Classes-
dc.creator.othernameJang, Chai ri-
dc.format.pageviii, 1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