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7 Download: 0

고등학생의 영교시 체육수업이 체력, 자아탄력성,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생의 영교시 체육수업이 체력, 자아탄력성,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re-Class Physical Education on Physical Fitness, Ego Resilience, and Classroom Concentration
Authors
신은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영교시 체육수업이 체력, 자아탄력성, 수업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울산광역시 소재의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36명으로 7주 동안(주 5 회, 총 35회) 오전 7 시 30분 ~ 8시 20분까지 50분 동안 중강도의 0교시 축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체력, 자아탄력성, 수업집중력이다. 체력의 요소는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 근지구력, 스피드이며, 자아탄력성의 요소는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이다. 수업집중력의 요소는 수업정신지향집중행동, 수업태도지향집중행동, 수업심화지향집중행동, 학습지향집중행동, 수업자세지향집중행동이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18.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 및 사후 분석을 위한 대응표본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0교시 체육 수업 후 근력 · 근지구력을 제외한 모든 체력 변수(심폐 지구력, 유연성, 스피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모든 자아탄력성 변수(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자아탄력성의 요소 중에서 활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업집중력 변수(수업정신지향집중행동, 수업태도지향집중행동, 수업심화지향집중행동, 학습지향집중행동, 수업자세지향집중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다. 수업 집중력 변수 중 학습지향집중행동이 가장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체력, 자아탄력성, 수업집중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예상했지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로부터 0교시 축구 활동은 체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자아 탄력성과 수업 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축구와 같은 신체 활동은 심폐지구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골을 넣기 위한 전략 및 계획, 실행 등의 과정을 통해 뇌의 인지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건이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심폐지구력 운동은 두뇌로 향하는 혈류의 증가와 감각 인식을 강화하여 자아탄력성과 수업집중력과 같은 변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지역적 거리의 문제 때문에 자아탄력성과 수업집중력을 평가할 때, 운동 프로그램이 끝난 사후에 운동 프로그램 전의 상태를 기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사전검사로 설문조사가 운동 프로그램의 시작 전에 이루어졌다면 결과의 신뢰성이 크게 증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0교시 체육수업으로 축구 종목에 국한하여 이루어졌다. 0교시 체육 수업에 효율적인 운동 종목을 규명하는 것은 추후과제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e-class physical education on physical fitness, ego resilience, and classroom concentratio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6 high school juniors in the city of Ulsan. Subjects engaged in one hour of moderately intense cardiovascular exercise (soccer) everyday for an entire semester (24weeks).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physical fitness, ego resilience, and classroom concentration. Physical fitness elements wer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 endurance, and speed. Ego resilience elements were personal relationships, alertness, emotional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Classroom concentration elements were conscientiousness, learning orientation, attention to detail, attitude, and depth of interes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via Windows SPSS 18.0 with the paired t-test for pre and post analysis. With the exception of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ll physical fitness variables (cardio 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spe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ll ego resilience variables (personal relationships, alertness, emotional control, curiosity, optimism). Alertness was the highest of all ego resilience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lassroom concentration variables at the end of the test period (conscienciousness, learning orientation, attention to detail, attitude, depth of interest). Learning orientation had the highest value out of all five classroom concentration elements. Although almost all variables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any of the categories: physical fitness, ego resilience, and classroom concentration. This study shows that moderately intense physical activity not only improves physical fitness, but can also help in the classroom. The increased bloodflow to the brain and heightened sensory awareness can help improve ego resilience and classroom concentration. This resul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ardiovascular activity for the brain. Furthermore, exercise stimulates the secretion of various beneficial hormones, including the hormone Brain-Derived-Neurotrophic-Factor (BDNF). BDNF is responsible for the growth, interconnection, and strengthening of neurons, and it is only released through exercise. Due to logistical complications, the pre-test, and post-tes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Students used the recall method to assess their starting ego resilience and classroom concentration at the end of the exercise program. The reliability of these results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if the pre-test questionnaire is administered before the beginning of the exercise peri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