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박지인-
dc.creator박지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5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5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능동적 수용의 한 방법인 ‘다시 쓰기’를 통해 가사 문학의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을 중심 작품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수용 맥락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사 문학은 고전 문학의 중요한 한 갈래로서 현행 7차 개정 <국어> 교과서 및 <문학> 교과서에도 빠짐없이 등장하고 있으나 오늘날 가사 갈래의 향유 맥락이 단절되어 기록 문학으로만 전해지고 있기에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용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재의 가사 문학 교육이 단어와 문장의 해독, 해석에 집중하고 작품의 구조를 해체하는 데만 집중하는 현상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를 벗어나 작품의 수용 맥락을 활용하여 가사 문학을 당대의 살아있는 문학으로 이해하고, 학습자들이 ‘다시 쓰기’라는 방법을 통해 수용의 주체가 되는 동시에 가사 문학의 재생산을 경험함으로써 가사 문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텍스트를 보다 능동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교육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작품을 수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다시 쓰기’를 검토하였고 그에 더해 중심 작품으로 삼은 전·후미인곡의 수용 양상을 시대별, 유형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수용미학과 구성주의를 통해 학습자는 능동적인 독자인 동시에 문학 활동의 주체로 기능할 근거를 갖게 된다. ‘다시 쓰기’를 활용하는 방법은 원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비평적 사고를 통해 원텍스트를 ‘쓰기’로 직접 표현한다는 점에서 학습방법적인 가치를 가지며 궁극적으로는 능동적 학습자로서 활동하도록 돕는 방안이 된다. Ⅲ장은 수용사적 양상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단계로서 앞서 다룬 전·후미인곡의 당대적 수용 양상의 내용을 가사 문학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원리를 서술하였다. 전·후미인곡의 당대적 수용 양상은 총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 분류를 활용하는 것은 가사 교육적 측면에서 갈래의 변형과 능동적 수용양상을 활용함으로서 학습자에게 원작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다시 쓰기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세 가지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단어를 바꾸는 표현적 측면의 다시 쓰기와 작품의 주제를 바꾸는 내용적 측면의 다시 쓰기, 표현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가사로의 다시 쓰기를 통해 학습자는 원텍스트인 전·후미인곡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수 있다. 다시 쓰기 결과물을 공유하고 공유와 공감의 의의를 알아보는 활동은 고전 문학의 현대적 재생산을 논의해보기 위한 과정이다. 다시 쓰기 결과물이 유통되는 활동은 교실 현장에서 전·후미인곡의 수용사적 전개양상이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문학의 향유라는 본질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이 문학 활동의 능동적 수용자가 된다는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돕는 활동으로 기능한다. Ⅳ장은 Ⅲ장에서 다룬 교수·학습의 원리를 바탕으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고 실제의 수업에 적용해보았다. 위에서 다룬 각 단계의 해당 원리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총 4차시에 걸친 교수·학습 계획안을 작성하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의 의의와 한계를 통해 본 연구에서 그동안 논의했던 교육 방안을 최종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후미인곡의 수용사적 양상을 활용하여 현재 작품의 주해 단계에만 머물러있는 가사 문학의 교육 방안을 보다 다양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가사 문학의 수용사적 양상을 통한 다시 쓰기 활동을 통해 가사 문학 교육에서의 학습자를 문학 수용의 주체로서 기능하도록 유도하였다. 셋째, 학습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활동을 통해 가사 문학의 현대적 재생산을 경험하고 가사 문학의 수용사적 전개 양상의 연장선상에 존재하게 된다. 넷째, 가사 문학의 다시 쓰기를 통해 읽기와 쓰기를 복합적으로 연계하고 이를 통해 가사 문학의 해독뿐만 아니라 모국어 화자로서 국어 활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수용사적 양상을 활용한 다시 쓰기를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학의 향유와 그로부터 발생하는 문학의 본질을 탐구할 기회를 갖게 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searc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Gasa literature using re-writing which the way of active reception. For this, the study focused on <Samiingok> and <Sokmiingok> and used the reception aspects of these works. Especially, Gasa literature was a one of important genre of classic literature though today the students had difficulty to accept the works actively. This is because enjoyment contexts of Gasa literature was broken, so the students learned literary works in Gasa as documentary literature. In this circumstance, not only students learned Gasa literature by duty and authority of classics, but also the teacher communicated information of literature unilaterally. Then this study examined ‘re-writing’ which the way of active receptance on literary work, and looked over change of reception aspects in <Samiingok>, <Sokmiingok>. Also, this study considered reception theory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active reception and educated necessity of ‘re-writing’. ‘Re-writing’ in this study included to create new works based on original texts, change the words, subjects, expressions, and be in subcatory of ‘writing’. This ‘re-writing’ which using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Gasa literature was more deepen students’ understand than understanding using the way of only reading. ‘Re-writing’ had also value educationally why the students materialized thinking of the works though writ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diversified the method of Gasa literature education using the aspects of reception history of <Samiingok> and <Sokmiingok> which the stayed simply tho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 level of analysis. Secondly, students in Gasa literature education became to active subjects of literature reception from using re-writing which was based on the reception history of Gasa literature. Thirdly, students experienced modern reproduction of Gasa literature though activities suggested this study. Also, the students existed as an extension of the past on the aspects of reception history based on Gasa Literature. Fourthly, students connected the skills of reading and writing in combination : From this process, they improved their skills which analysing the works of Gasa literature or using their mother language. Finally, sharing activities with students’ writing used aspects of reception history gave an opportunity students to search for essence of literature and about the enjoyment of litera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C. 선행연구 고찰 7 1. 가사교육에 대한 연구 7 2. 고전문학 수용교육에 대한 연구 9 Ⅱ. 이론적 배경 13 A. 능동적 수용의 교육적 의의 및 필요성 14 1. 수용미학 이론에서 본 능동적 수용의 개념 15 2. 다시 쓰기의 교육적 의의 및 필요성 22 B. <사미인곡><속미인곡>의 교육적 고찰 31 1. <사미인곡><속미인곡>의 문학사적 의의 32 2. <사미인곡><속미인곡>의 문학교육적 가치 탐색 34 C. 교육적 관점에서 본 <사미인곡><속미인곡>의 수용사적 전개 양상 36 1. 당대의 작품 수용 양상 37 2. 교과서에 나타난 작품 수용 양상 52 Ⅲ. <사미인곡><속미인곡>의 수용사를 활용한 다시 쓰기 교수학습 원리 63 A. 수용사적 양상의 교육적 활용 65 1. 작품의 수용 양상 활용하기 65 2. 실제 작품을 활용한 수용 양상 확인하기 78 3. 현대적 수용 가능성 확인하기 87 B. 다시 쓰기의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 90 1. 단어 바꿔 다시 쓰기 93 2. 주제 바꿔 다시 쓰기 95 3. 새로운 가사 다시 쓰기 97 C. 문학의 향유와 의미 확립 98 1. 다시 쓰기 결과물 공유하기 98 2. 공유와 공감의 의의 알아보기 99 3. 고전 문학의 현대적 재생산 100 Ⅳ. 교수학습 방안 적용의 실제 102 A. 교수학습 계획안 설계 102 1. 단원 지도 계획 102 2. 차시별 교수학습 계획안 103 B. 실제 수업의 전개 양상 120 1. 본문의 이해 단계 120 2. 수용사적 양상을 활용한 이해의 심화 단계 121 3. 다시 쓰기를 통한 능동적 수용 단계 125 4. 작품 공유 활동을 통한 문학의 의미부여 단계 133 C. 수업의 의의 및 한계 134 Ⅴ. 결론 138 참고문헌 144 부록 149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93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능동적 수용으로서의 다시 쓰기를 통한 가사 문학 교육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미인곡>, <속미인곡>의 수용사적 양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Gasa Literature for using Re-writing on active reception : especially using aspects of reception history from <Samiingok>, <Sokmiingok>-
dc.creator.othernamePark, Ji In-
dc.format.pagex, 1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