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7 Download: 0

한국형진단명기준환자군(KDRG) 분류체계의 동질성 평가

Title
한국형진단명기준환자군(KDRG) 분류체계의 동질성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the Homogeneity of Korean Diagnosis Related Group
Authors
김형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선희
Abstract
Diagnosis Related Group(DRG) for the in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similarity to clinical and resource consumption, which is widely used not only as a unit of prospective payment system but also as the tool of utilization review, hospital management, and health care quality improve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homogeneity of Korean DRG(KDRG) version 3.4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investigate classification variables that can contribute to ensuring the homogeneity of classification system. The database of total fee-for-service claims submitted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0 was used for evaluation. The separate hospitalized cases due to the monthly charges was constructed by summing the each episode. A 4.5% of the total of 5,921,873 claims were excluded after trimming outliers. In order to evaluate the KDRG classification system, Coefficient of Variation(CV) and Reduction in Variance(R2) of cost were measured. This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 for ADRG, AADRG split by age, and final DRG split by complication and comorbidity. All level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rimming outlier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used for classification and the resource consumption in three DRGs of ‘B662 Other Stroke)’, ‘E613 Bacterial Pneumonia)’ and ‘G521 Colonoscopy’. At the each level of ADRG, AADRG, and final DRG there were 38.9%, 38.7%, and 30.3% of which had a CV > 100 percent in the untrimmed data and 1.4%, 1.4%, and 1.9% in the trimmed data. Before trimming outliers, ADRGs, AADRGs, and final DRGs explained 52.5%, 53.1%, and 57.1% of the variability in resource use for each. The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by age split and CC split were 0.6%p and 4.6%p for each,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rimming outliers, ADRGs, AADRGs, and final DRGs did 75.2%, 75.6%, and 77.1% of the variability in resource use for each. The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by age split and CC split were 0.4%p and 2.0%p for each,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RG 'B662 Other Stroke', the R2 of cost by adding Intensive Care Unit, mechanical ventilation, rehabilitation therapy, cerebral infarction, and interdisciplinary specialties was increaed in comparison to the value which was measured using only the DRG from 10.4% to 24.3%. In DRG 'E613 Bacterial Pneumonia', the R2 of cost by adding Intensive Care Unit, mechanical ventilation, and organism specified pneumonia was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e value which was measured using only the DRG from 30.0% to 30.3%. In DRG 'G521 Colonoscopy', the R2 of cost by adding Intensive Care Unit, mechanical ventilation, and major digestive disease was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e value which was measured using only the DRG from 18.2% to 25.0%.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KDRG 3.4 except for outliers showed high explanatory power and homogeneity within groups. But the CV was higher than 100 after age or CC split in some DRGs and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to high performance of KDRG was the ADRGs rather than age or CC spli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efforts for improving homogeneity of KDRG such as review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lassification systems and classification variables.;진단명기준환자군(Diagnosis Related Group)은 입원환자를 자원소모 유사성과 임상적 유사성에 기초하여 분류하는 입원환자 분류체계로 포괄수가제의 지불단위, 의료자원 이용감시, 병원경영, 의료의 질 관리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불단위로서 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그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한국형진단명기준환자군(KDRG) 분류체계의 동질성을 평가하고 분류체계의 동질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환자분류변수의 활용을 제언해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된 건강보험 행위별 청구자료 중 2010년1월1일부터 2010년12월31일까지의 입원진료 전체 건으로 월별청구로 인한 분리 건은 합산하여 에피소드별로 구축하였다. 분석방법은 분류체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진료비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와 설명력(Reduction in Variance, R2)을 측정하였고 DRG를 세분하기 이전의 질병군 대분류 단계인 ADRG, 연령구분 단계인 AADRG, 합병증과 동반상병(Complication & Comorbidity, 이하 CC) 구분단계인 최종 DRG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분석단계마다 열외군을 제외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진료비 변이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B662 기타 뇌졸중(Other Stroke)’, ‘E613 세균성 폐렴(Bacterial Pneumonia)’, ‘G521 결장경 시술(Colonoscopy)’ 3개 질병군을 대상으로 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한 후 DRG 만을 이용한 분류 시의 진료비 설명력과 새로운 변수를 추가한 후의 설명력을 비교하였다. 분석대상의 열외군 제외 전 총 건수는 5,921,873 건이고 제외 후 총 건수는 5,655,369건으로 4.5%가 제외되었다. ADRG 단계에서 변이계수 값이 100을 상회하는 ADRG는 열외군 제외 전 38.9%, 제외 후 1.4%였다. AADRG 단계에서 변이계수 값이 100을 상회하는 AADRG는 열외군 제외 전 38.7%, 제외 후 1.4%였다. 최종 DRG 단계에서 변이계수 값이 100을 상회하는 DRG는 열외군 제외 전 30.3%, 제외 후1.9%였다. 열외군 제외 전 KDRG 분류체계의 진료비 설명력은 ADRG로 분류할 경우 52.5%, AADRG로 분류할 경우 53.1%, 최종 DRG로 분류할 경우 57.1%로 연령구분으로 인한 추가 설명력은 0.6%p, 합병증 및 동반상병구분으로 인한 추가 설명력은 4.6%p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열외군 제외 후의 진료비 설명력은 ADRG로 분류할 경우 75.2%, AADRG로 분류할 경우 75.6%, 최종 DRG로 분류할 경우 77.1%로 연령구분으로 인한 추가 설명력은 0.4%p, 합병증 및 동반상병 구분으로 인한 추가 설명력은 2.0%p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B662 기타 뇌졸중’, ‘E613 세균성 폐렴’, ‘G521 결장경 시술’ 질병군을 대상으로 DRG만을 이용한 분류와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반영한 분류 간의 설명력 차이 비교결과 ‘B662 기타 뇌졸중’의 설명력은 DRG로만 분류 시 10.4%에서 인공호흡기 사용여부, 중환자실 이용여부, 대뇌경색 여부, 재활치료 여부, 진료과목을 추가한 경우 24.3%로 증가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E613 세균성 폐렴’의 설명력은 DRG로만 분류 시 30.0%에서 인공호흡기 사용여부, 중환자실 이용여부, 감염원 확인 여부를 추가한 경우 30.3%로 증가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G521 결장경 시술’의 설명력은 DRG로만 분류 시 18.2%에서 인공호흡기 사용여부, 중환자실 이용여부, 주요 소화기질환 여부를 추가한 경우 25.0%로 증가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KDRG 3.4는 열외군 제외 후 높은 설명력과 그룹 내 동질성을 보였다. 외국의 분류체계와 비교 시 MDC와 계열(partition), 중증도 구분, pre MDC와 Error DRG 존재 등의 구조적인 측면이 유사하였다. 그러나 일부 질병군에서 ADRG 단계에서는 100 이하였던 변이계수 값이 연령이나 중증도 구분 이후 100을 상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연령과 중증도 구분 방식으로 인해 질병군 개수가 외국에 비해서 많이 세분되었음에도 KDRG의 높은 성과는 연령이나 중증도 구분보다는 ADRG 단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환자의 다양한 임상적 차이를 반영하기 위한 중증도(severity) 반영 방식의 개선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바, 환자분류체계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분류체계의 계층적 구조개선 및 분류변수 추가 등 다각도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