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김인경-
dc.creator김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5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tness program with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biochemistry related to Vitamin D, muscle mass and physical functions in elderly women.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elderly women aged 65 or older, regularly visiting a senior welfare center and a senior citizen center in Daejeon City. A total of 65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n=34) and control group(n=31).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pril, 2012 for 12 weeks. The interven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fitness program with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12 weeks. The one for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solely fitness program. Both groups were measured twice, before the intervention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12 weeks. All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s to verify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Vitamin D-related characteristics. Also, estimated were biochemistry related to Vitamin D, muscle mass and physical functions of all the subjects. After the intervention for 12 weeks, identical items were reestimated except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IBM SPSS WIN 19.0 Program, using Independent t test, Fisher's exact test, chi-square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fter the intervention, the index of serum Vitamin D, Calcium and Phosphoru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hile the index of PTH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e index of serum Vitamin D and Calcium of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index of Phosphorus. Differences of biochemistry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in Vitamin D, Calcium, PTH and Phosphorus. Also, changes in serum Vitamin 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 Muscle ma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upper and lower extremities. Muscle mass of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upper and lower extremities. Differences of muscle mass between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in both upper and lower extremities. 3. After the intervention, muscle strength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grasping power test and Sit to Stand test,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grasping power test and Sit to Stand test. Differences of muscle strength between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in grasping power test and Sit to Stand test. 4. After the intervention, abilities for semi tendem stance, tendem stance, side by side stance and standing on one leg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lower extremities. Abilities for semi tendem stance, tendem stance and side by side stance of th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yet the ability for standing on one leg showed no improvement in both lower extremities. Differences of abilities for semi tendem stance, tendem stance and side by side stance between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ability for standing on one leg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5.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imed Up and Go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Differences of the results of Timed Up and Go test between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6. After the intervention, usual gate speed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Differences of usual gate speed between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In this study, fitness program with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12 weeks was proven to be positively effective in improving biochemistry related to Vitamin D, muscle mass and physical functions for elderly women. Also, it is reconfirmed that Vitamin D is essential for the improvement of muscle and body function of elderly women. Henceforth, the nursing intervention us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prevent the musculoskeletal system problems of elderly women in clinical field.;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프로그램과 함께 적용한 비타민 D 섭취가 여성 노인의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대전광역시내에 위치한 복지관과 경로당을 정기적으로 방문하고 있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는 실험군 34명, 대조군 31명으로 총 65명이었으며 프로그램은 2012년 1월부터 4월 초까지 12주간 시행되었다. 실험군은 12주간 비타민 D 섭취와 운동을 함께 중재하였으며 대조군은 운동만을 중재하였다. 자료 수집은 실험 전, 실험 12주 후에 시행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는 중재 전 설문 조사를 통해 일반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비타민 D 관련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 기능을 측정하였다. 중재 12주 후에는 설문지를 제외한 동일한 항목을 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PASW Statistics(SPSS) 19.0과 SAS 9.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재 전·후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기능의 집단 별 차이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고 집단 간 차이는 Mann-Whitney U-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타민 D 섭취와 운동을 함께 중재한 실험군의 비타민 D, 칼슘, 인은 유의한 증가가, 부갑상선호르몬은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운동만을 중재한 대조군의 비타민 D, 칼슘은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인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생리적 지표의 차이는 비타민 D, 부갑상선호르몬, 칼슘, 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중재 후 혈청 비타민 D의 상태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실험군의 근육량은 양쪽 상·하지, 몸통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집단 간 근육량의 차이는 양쪽 상·하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실험군의 근력은 악력, 앉았다 일어나기는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집단 간 근력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실험군의 정적 균형 능력은 반일렬자세, 일렬자세, 일반자세, 외발서기는 양쪽 다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대조군도 반일렬자세, 일렬자세, 일반자세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외발서기는 양쪽 다리 모두 변화가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집단 간 정적 균형 능력의 차이는 반일렬자세, 일렬자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자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실험군의 동적 균형 능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대조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집단 간 동적 균형 능력의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실험군의 보행 능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대조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집단 간 보행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는 혈중 비타민 D가 수준이 낮으며 신체기능 저하의 위험이 있는 여성 노인에게 12주간 비타민 D 섭취와 운동프로그램 적용은 대상자의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기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임상과 지역사회에서 본 간호 중재를 활용한다면 여성 노인의 근골격계 건강문제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가설 4 D. 용어정의 5 Ⅱ. 문헌 고찰 8 A. 여성 노인의 신체 변화 8 B. 비타민 D 섭취 효과 11 C. 운동프로그램 효과 15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17 IV. 연구 방법 19 A. 연구 설계 19 B. 연구 대상 및 표집방법 20 C.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3 D. 연구 도구 24 E. 연구 절차 30 F. 자료 분석 방법 36 G. 연구의 제한점 37 V. 연구결과 38 A. 집단간의 동질성 검사 38 B. 가설 검정 50 VI. 논의 61 A. 대상자의 신체 기능 및 비타민 D 관련 특성 61 B. 비타민 D 섭취와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64 VII. 결론 및 제언 70 A. 결론 70 B. 제언 73 C. 간호학적 의의 74 참고문헌 77 부록 1. 연구 설명문 및 연구 참여 동의서 93 부록 2. 설문지 104 부록 3. 증례기록지 114 부록 4. IRB 심의자료 116 부록 5. 운동프로그램 자료 117 부록 6. 비타민 D 제품 설명(실험군용) 118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83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비타민 D 섭취와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여성 노인의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 기능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fitness program for biochemistry, muscle mass and physical functions in elderly women-
dc.creator.othernameKim, In Kyung-
dc.format.pageix,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