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경옥-
dc.contributor.author강진아-
dc.creator강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78-
dc.description.abstract말기암환자 완화의료의 제도화와 함께 전문인력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는 바 전문인력 교육의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과정운영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모델과 PRECEDE-PROCEED 모델을 접목한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모형을 근거로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 완화의료 관련 교육과정운영 평가지표를 고찰하고 그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문헌연구와 전문가검토를 통해 평가지표 초안으로 총 4개 영역, 15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51개 항목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 초안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통해 전문가 패널의 주관적 의견과 내용타당도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평가지표를 수정보완하였고, 그 결과 총 4개 영역, 1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61개의 평가지표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수정된 평가지표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운영담당자, 교육자, 교육수료자 총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된 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과정운영 평가지표는 요구분석 및 정책적 진단 영역, 교육과정계획 영역, 교육과정운영 영역, 교육평가 및 결과활용 영역의 총 4개 영역과 1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며 총 61개 항목의 평가지표에 해당된다. 평가지표의 영역 명은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에 근거하되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에 해당되는 평가영역은 요구분석 및 정책적 진단 영역, 투입평가(Input evaluation)에 해당되는 영역은 교육과정계획 영역,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에 해당되는 영역은 교육과정운영 영역, 성과평가(Product evaluation)에 해당되는 영역은 교육평가 및 결과활용 영역으로 명명하였다. 첫째, 요구분석 및 정책적 진단 영역은 PRECEED 단계요소에 해당되는 요소로서 ‘요구분석’과 ‘정책적 진단’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육과정계획 영역은 ‘교육목표 및 내용’, ‘교육방법계획’, ‘교육과정편성’, ‘교육지원계획’, ‘강사확보’의 총 5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교육과정운영 영역은 ‘교육방법 및 운영’, ‘운영체계 및 철학’, ‘교육지원’의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교육평가 및 결과활용 영역은 PROCEED 단계요소에 해당되는 요소로서 ‘만족도’, ‘학습성취’, ‘평가활용 및 결과보고서 작성’의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 인식 조사를 통해 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인력들의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높은 관심을 알 수 있었고, 향후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과정 의 개선을 위해서는 개발된 평가지표의 구체적 활용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As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palliative care staff is increasing with the systemiza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the needs for ca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staff is gr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up a basis for improvement of curriculum by not only developing curriculum evaluation indicator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taff training but also testing its validity. In this study, an invented theoretic model, combining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model with PRECEDE-PROCEED model, was use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Curriculum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palliative care from internal and abroad were examined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a draft of evaluation indicator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 model for this study. 51 evaluation indicators, composed of 4 areas and 15 sub categories, were developed as a draft of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review of experts. Delphi method was carried out twice to verify content validity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survey of 169 people, who are the officials in charge of education management of palliative care staff, educators, and the recipients of the curriculum,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s the resul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was developed. Free comments of delphi panels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the draft were reflected through delphi survey to modify the evaluation indicator. As the result of delphi survey, 61 indicators were developed, composed of 4 areas and 13 sub categories. Finally, systematic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fter factors analysis, the names of some sub categories were adjusted and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The final developed curriculum evaluation indicator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taff training of this study correspond to 61 indicators, which were composed of 4 areas and 13 sub categories. 4 areas were ‘needs analysis and policy assessment’, ‘plan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dissemination of evaluation results’ The name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based on the theoretic model of this study. The evaluation area equivalent to Context evaluation was named ‘Needs analysis and policy assessment’. The evaluation area equivalent to Input evaluation was named ‘Plan of the curriculum’. The evaluation area equivalent to Process evaluation was name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The evaluation area equivalent to Product evaluation was named ‘evaluation and dissemination of evaluation results’ First, Needs analysis and policy assessment, corresponding to PRECEDE step, was composed of 2 sub categories, which were ‘needs analysis’ and ‘policy assessment’. Second, Plan of the curriculum was composed of 5 sub categories, which were ‘objectives and contents of education’, ‘plan of educational method’, ‘curriculum design’, ‘plan of supporting education’, and ‘faculty’. Thir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was composed of 3 sub categories, which were ‘educational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of management and philosophy’, and ‘support of education’. Forth, evaluation and dissemination of evaluation results, corresponding to PROCEED step, was composed of 3 sub categories, which were ‘satisfaction assessment’, ‘learning achievement’, and ‘reporting and dissemination of evaluation’. By this study, much interest in evaluation of curriculum were found in the result of importance evaluation about evaluation indicators and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current curriculum. In addition, consistent studies on evaluation program and policy supports are necessary to improve curriculum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taff trai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연구문제 3 D. 용어의 정의 4 E.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국내 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운영 현황 6 B.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및 모델 12 C. 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과정운영 평가를 위한 모델 고찰 15 D. 국내외 교육과정운영 평가지표 22 Ⅲ. 연구방법 44 A. 연구설계 44 B. 연구의 이론적 모형 44 C. 연구의 흐름 47 D. 연구내용 48 E.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51 Ⅳ. 연구결과 58 A. 평가지표 초안 개발 58 B. 평가지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한 수정안 개발 62 C. 평가지표 구성타당도 검증을 통한 최종안 개발 80 D. 최종 평가지표 103 Ⅴ. 고찰 112 A. 연구 모형에 대한 고찰 112 B. 평가지표 개발 방법에 대한 고찰 115 C. 평가지표 개발 내용에 대한 고찰 117 D. 평가지표 중요도 인식에 대한 고찰 120 VI. 결론 및 제언 122 참고문헌 125 부록 1. 1차 델파이조사지 133 부록 2. 2차 델파이조사지 139 부록 3. 교육자 설문지 145 부록 4. 교육운영담당자 설문지 151 부록 5. 교육수료자 설문자 157 Abstract 1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425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과정운영 평가지표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Curriculum Evaluation Indicator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taff Training-
dc.creator.othernameKang, Jina-
dc.format.pagex, 16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