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27 Download: 0

한국 사회의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에 미치는 경제, 문화,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사회의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에 미치는 경제, 문화,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Factors on Gaps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in Korean Society
Authors
송한나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한국 사회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 몰락', '빈곤층 확대'와 같은 명제를 중심으로 사회 불평등 현상이 중요한 현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경제 호황에 힘입어 계층의식에 대해 낙관적인 평가를 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사회변화를 경험하면서 중산층 귀속의식이 급격히 하락하였다. 이처럼 사회적 불안감과 위기감이 고조됨에 따라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관련한 연구에서는 계층의 객관적 차원뿐만 아니라 주관적 차원 역시 동시에 고려해야 할 요소로 살펴 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계층의 주관적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는 주관적 계층의식은 구조와 행위를 매개하는 핵심적인 연결고리이다. 이와 같이 계층의식 논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사회학 연구의 흐름은 주로 객관적 계급위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특정 주체가 주관적으로 파악하는 계층귀속감에 따라 행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한국 사회에서의 계급·계층연구는 상대적으로 주관적 계층의식에 대한 요인을 경시한 한계가 있다. 계급에 대한 개인의 의식을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계급의 의미는 평가 불가능하다. 이처럼 객관적 계급과 주관적 계층을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사회과학계에서 두 차원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외환위기 이후 계급위치와 계층의식이 일치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지는 점에 착안하여, 계급 및 계층적 위계를 형성하는 기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계급과 계층이 분화되고 재생산되는 이유를 문화적, 사회적 과정에서 찾는 부르디외의 자본의 개념을 이론적 자원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서 다른 계층과의 차이에 대한 인지적 소속감을 의미하는 주관적 계층의식은 개인의 태도와 가치관을 통해 구성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부르디외의 자본의 형태를 확장하여 계급 및 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의 가치관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한국 사회의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차이가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과 더불어, 가치관 및 만족도와 같은 주관적 요인들을 통한 복합적인 인과관계에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대규모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는 계층적 위치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경제적 차원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본적인 생활에서부터 문화적인 생활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요인은 근본적인 요소이므로, 가구소득과 더불어 주관적 차원의 재정 만족도 역시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차이로 귀결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가구소득과 경제적 만족도가 높을수록 객관적인 계급위치보다 자신의 계층적 위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점에서, 경제적 요인은 주관적 계층의식을 판단하는 데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를 형성하는 원인으로 경제적 요인 이외에도 부모 및 가족의 문화자본과 문화적 가치관 및 만족도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계급이 높을수록 본인의 객관적 계급에 비해 주관적 계층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는 개인의 주관적 계층을 인식함에 있어서 부모 배경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본인의 문화소양이 높을수록 계급위치보다 사회위계상에서 자신의 계층적 위치를 높게 인식하는 반면, 문화지식이 높을수록 오히려 계층의식을 낮게 판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클래식 음악, 미술, 문학과 관련한 고급문화 지식이 높더라도 이를 실질적인 문화적 행위로 실천하지 못하면 주관적 계층을 높게 판단하는 기제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계급의 축에 따라 분화되는 문화자본을, 새로운 문화적 분화의 축으로서 '주관적 계층의식'이 문화소양, 지식 등을 구별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곧 문화자본이 한국의 사회적 맥락에서 계급과 계층 간의 불일치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본인 및 가족이 보유하고 있는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계층적 위치를 높게 판단하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사회적 가치관에서도 역시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일수록, 그리고 사회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자신의 객관적인 계급위치보다 계층의식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연결망 이외에도 주관적 차원의 개인의 가치관도 사회자본의 연장선상에서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계급위치와 계층의식을 상호 고려하여 이들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다차원적으로 작용하는 사회구조적 요인을 경제, 문화, 사회적 요인으로 구체화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각 요인들을 부르디외의 자본 개념으로 체계화하여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그리고 자본과의 관련성을 연구의 주요 논의로 끌어 올렸으며, 자본의 개념을 주관적 차원의 가치관 및 만족도로 확장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에 미치는 요인은 본인과 부모, 그리고 가족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과관계를 형성하는 현상에서 살펴볼 수 있었듯이, 다차원적 요소에 입각한 계급 및 계층구조를 한국 사회의 계층적 특수성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Since the Currency Crisis in 1997, the phenomenon of social inequality has been embedded in Korean society, centered on the propositions such as 'Collapse of the middle class' and 'Expansion of the poor'. Until the mid-1990's, the percentage of the optimistic assessment on class identification was higher on the back of the economic boom. However, the ratio of individuals' perception as middle class dropped sharply while experiencing the rapid social changes. Therefore, when studying the inequality of Korean society, increasing social anxiety and sense of crisis raise the need for examining factors which affect class position and identification i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level.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described as the subjective aspect of the stratum, is the key link connecting the structure and an act. Despite the importance of discussion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studies in sociology have focused mainly on the objective class position. Although there is a tendency to decide an act according to belongingness of the class that specific individual identifies subjectively, studies on class and stratum have shown limitations while neglecting factors of the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the meaning of the class if the individuals' class consciousness is not considered thoroughly. In this manner, it is suggested to conduct studies considering both objective class and subjective stratum. Yet, studies centered on discussion of both dimensions hardly can be found in the social science community up until now.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a mechanism forming the rank of the class and stratum, noticing the increasing percentage of non-correspondence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after the Currency Crisi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based on theoretical concept of capital by Bourdieu, who tried to find out the reasons of differentiation and reproduction of the class and stratum from the cultural and social process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values and satisfaction rate influencing the class and stratum based on the critical awareness that class identification – meaning cognitive belongingness formed through the differences of stratum in the social relations - is built up by individual attitudes and values. Bourdieu's idea of the forms of capital is applied along the process. Thu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at difference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is created from a complex causal relationship through subjective factors including values, satisfaction rate, and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apital 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e data of large-scaled nationwide questionnaires for 2,000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19, the study drew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economic resources are considered preferentially when judging a stratum position. As economic factor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basic living to cultural life, subjective dimensions of financial satisfaction along with the family income was def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Especially, as one has higher family income and economic satisfaction, one recognizes his stratum position higher rather than his objective class position. Therefore, it shows that economic factors act as important key in judging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Second, it shows that cultural capital, cultural values and satisfaction of one's parents and family members function significantly in forming a gap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in addition to economic factors.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a stratum one's father has, the higher recognition one has on his subjective stratum compared with his objective class. Therefore, in Korean society, it is regarded that the backgrounds of one’s parents have an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his subjective stratum. Furtherm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cultural attainments one has, the higher recognition one has on his stratum position in the social hierarchy than class position, while the higher cultural knowledge one has, the lower recognition one will have on class identification. That is, if one has higher cultural knowledge on the classical music, art and literature but can't practice it as the substantive cultural act, there will be few possibilities to operate the mechanism that judges a subjective stratum higher. Therefore, the study found that the cultural capital which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axis of the class in Korean society act as the important element for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s a new axis of cultural differentiation to make distinction cultural attainments and knowledge. Cultural capital seems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explaining the discord of the class and stratum in the Korean social system. Third, the study shows that the more an individual or one's family holds the social capital, the more one evaluates his or her stratum position higher. Regarding the social values, it indicated that as one has a conservative political inclination and higher trust in the society, he or she recognizes class identification higher than his or her objective class posi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besides the social network, subjective dimension of individuals' values serves as one of the factors explaining the gap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in the extension of the social capital. To summarize,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structural factors specified into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functioning in multi-dimensional way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was mutually considered in an exploratory manner. Especially, it organized each factor into the capital concept of Bourdieu and uplifted the relevance among the class position, class identification and the capital as the main topic. It made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y expanded the concept of capital to subjective dimension of the values and satisfaction rate. Finally, the study found the meaning in investigating the class and stratum structures based on multi-dimensional elements through the special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 as the study have looked ove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ap between class posi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examined from the phenomenon forming a causal relationship involving complex process of an individuals, parents and family backgrou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