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숙연-
dc.contributor.author백선희-
dc.creator백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6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643-
dc.description.abstract인종적 다양성의 증가로 정부는 다문화정책을 계획 및 추진하고 있지만, 주로 한국어 교육 지원과 같은 외국인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돕는 동화정책만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들은 내국인의 인식개선 사업이 제일 필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외국인과 다문화정책에 대한 내국인의 인식에는 자원 스트레스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2008년 경제위기로 인해 원하는 자원에의 접근이 제한적이 될 것이라는 ‘자원 스트레스’가 증가됨에 따라 재분배 정책인 다문화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된 본 연구는 2008년 경제위기를 중심으로 국민들의 자원 스트레스가 다문화정책 지지에 변화를 가져다주었는지 살펴보고, 그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영향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자료 중 2003년과 2010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이론적 논의를 통해 구성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에 해당하는 측정 문항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먼저, 경제위기에 따른 자원 스트레스가 다문화정책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기 위해 2003년과 2010년의 데이터의 차이분석으로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둘째, 정치적 이념, 정부에 대한 평가, 국민정체성, 이민자에 대한 태도,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다문화정책 인식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합하면, 첫째, 경제위기로 인한 자원 스트레스는 다문화정책 지지를 감소시켰다. 둘째, 경제위기로 인한 자원 스트레스는 다문화정책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인구사회학적 배경인 연령, 학력, 소득요인들의 집단 간 상대적 인식수준을 변화시켰다. 셋째, 경제위기 이전과 비교했을 때 경제위기로 인한 자원 스트레스는 정치적 이념과 정부에 대한 평가, 국민정체성의 민족적 요인과 이민자에 대한 일자리 위협인식을 변화시켰다. 넷째, 다문화정책 인식에 있어서 정치적 이념과 정부에 대한 평가, 국민정체성 중 시민적 요인, 이민자의 경제적 기여와 일자리 위협인식, 성별, 연령, 소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위기로 인한 자원 스트레스는 다문화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변화시켰다. 경제위기 이전에는 다문화정책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정치적 이념과 이민자의 일자리 위협인식, 성별이 경제위기 이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부에 대한 평가와 외국인 일자리 위협인식에 주목할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 정부에 대한 평가가 경제위기 이전에는 정(+)의 영향력을 가졌으나, 경제위기 이후에는 다문화정책 지지에 부(-)의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집권정부의 정치적 성향과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보수적 성향의 정부는 복지와 불평등 개선을 위해 지출하는 것을 꺼린다. 사회정책의 미흡함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국민들이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가가 재분배 정책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길 요구한다. 경제위기 이후 집권한 보수적 성향의 정부에 의해 국민들은 이전과는 다르게 정부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일수록 다문화정책에 지지를 보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경제위기 발생 전과 발생 후 모두 기여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정책 지지에 영향을 미치지만, 위협에 대한 인식은 경제위기 발생 후에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원 스트레스의 강약에 따른 다문화정책의 방향에 차별성을 둘 수 있다. 평상시에는 내국인 인식개선을 위해 외국인들의 경제적 기여와 다양한 문화유입의 긍정적인 부분을 가시화해주는 정책이 가능하며, 경제위기시에는 국민들의 실직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게끔 보호적 대책을 세워야 한다.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자원 스트레스가 다문화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가 진행되는 당시 시점인 당해 연도에만 국한하여 국민들의 인식실태를 조사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시간 차이를 두고 자원 스트레스를 증폭시켜주는 사건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제위기로 인한 자원 스트레스가 다문화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년도를 분석범위로 삼고 국민들의 정책 지지를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가 향후 정부와 정책결정자들이 다문화정책을 설정하여 대응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됨에 따라 국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다문화정책 집행을 위한 이정표로 활용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With an increase in ethnic diversity, government is planning for the promot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but only assimilation policy that assists the adaptation to the Korean society for the foreigners such as Korean education support is mainly being implemented. However, the foreigners are talking about the necessity for the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 first. In the awareness of the Koreans for the foreigners and the multicultural policie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resource stress. Especially in 2008, an increase on the 'resource stress' which limits the access to the resource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citizens resistance to multicultural policy which is redistributive policy, is likely to have increased. This study conducted having awareness on issues, have examined whether the resource stress brought changes to the multicultural policy support by the citizens based on the economic crisis of 2008 and also tri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enable such support. For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the materials of the years 2003 and 2010 data from the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were used. For the method of analysis, measurement items that correspond to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configured through the theoretical discussion were selected. And the influence was examined by constructing the study model. First, to uncover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policy by the stress from the economic cris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for the years 2003 and 2010,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Seco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olitical ideology, the assessment of the government, national identity, attitudes toward immigrants, demographic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olicy recogn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summary, first, the resource stress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has reduced the support on the multicultural policy. Second, the resource stress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has changed the relative awareness level between groups based on demographic background of age, education and income of factors. 셋Third, compared with the situation before the economic crisis, the resource stress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has changed the evaluation of political philosophy and government, ethnic factors of the national identity and threat perception of jobs for immigrants. Fourth, for the awareness on the multicultural policies, the evaluation of political philosophy and government, citizen factors within the national identity, economic contributions of immigrants and threat perception for jobs, gender, age and income have shown to have a meaningful effect. In particular, it is focused on the assessment of the government and the threat perception of the jobs of foreigners.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assessment on the government had a positive (+) influence before the economic crisis but after the economic crisis, it has a negative (-) influence on the support for the multicultural policies. This is likely to be related to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ruling government. Conservative government is reluctant to spend for the improvement of welfares and inequality. The citizens with negative views on the lack of social policy demands for more attention for the redistribution policies by the government for its improvement. By conservative government ruling since the economic crisis, the citizens unlike before, if the assessment on the government was more pessimistic, they would have given more support for the multicultural policies. And all awareness on the contribution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has an impact on the support for the multicultural policies, the awareness for threat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ly after the economic crisis. Based on such result, a differenti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 policy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esource stress can be made. During the normal circumstances, a policy to visualize the positive part on the inflow of different cultures and the economic contribution by the foreigners for the improvement on the awareness of the citizens are possible.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studying only for the awareness status of the citizens limited only to the current year when the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influence on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caused by the resource stress. Therefore, a study having a time interval o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awareness of the incident that amplify the resource stress is neede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multiple years as a range of study to find out the influence on the multicultural policy by the economic crisis due to the resource stress and have differentiated the study against the existing studi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securing of the policy support of the citizens. Therefore, as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responding and selecting of the multicultural policy by the policy makers and the future government, based on the support of the citizens, it has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utilized as a milestone for successful enforcement of the multicultural poli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내용 4 C. 연구 범위와 방법 5 Ⅱ. 이론적 논의 6 A. 경제위기와 자원 스트레스에 관한 이론적 논의 6 1. 경제위기 6 가. 경제위기의 정의 6 나. 한국의 경제위기 7 2. 자원 스트레스 13 3. 자원 스트레스와 외국인에 대한 위협 15 B. 다문화정책에 관한 논의 20 1. 다문화정책의 개념 20 2. 다문화정책 유형 23 가. 차별적 배제 모형 23 나. 동화 모형 24 다. 다문화주의 모형 26 3. 한국의 다문화정책 변화와 특성 28 가. 인력정책 28 나. 동포정책 29 다. 이민정책 30 4. 다문화정책과 촉발 32 가. 정책의 촉발장치 33 나. 정책 촉발과 경제위기 34 C. 경제위기로 인한 자원 스트레스가 다문화정책에 대한 국민인식에 미치는 영향 36 1. 선행연구 검토 36 가. 다문화정책 관련 선행연구 36 나. 경제위기와 다문화정책에 대한 인식 관련 선행연구 38 2, 다문화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43 가. 정치적 이념 43 나. 정부에 대한 평가 44 다. 국민정체성 45 라. 이민자에 대한 태도 47 마. 인구사회학적 요인 48 Ⅲ. 연구 설계 51 A. 연구 모형 51 B. 연구 가설 53 C. 분석 방법 60 D. 변수 설정 61 1. 종속변수 61 2. 독립변수 61 E. 표본의 특성 65 Ⅳ. 분석 결과 68 A. 신뢰도 검증 68 B. 연도별 차이분석 71 1. 다문화정책 인식에 대한 연도별 차이분석 71 2. 다문화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에 대한 연도별 차이분석 73 C. 다문화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83 Ⅴ. 결론 90 A. 연구결과 종합 90 B. 정책적 함의 97 C.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01 참고문헌 103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78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자원 스트레스와 다문화정책에 대한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08년 경제위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wareness of resource stress and multicultural policies : focused on 2008 economic crisis-
dc.creator.othernameBaek, Sun Hee-
dc.format.pagex,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