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봉-
dc.contributor.authorCao, Yanyan-
dc.creatorCao, Yanyan-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0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066-
dc.description.abstract‘공공외교’란 개념은 1965년 미국 직업외교관이었던 에드먼드 걸리온(Edmund Gullion)이 처음으로 사용한 이후 지금에도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2001년 미국에 9.11테러가 발생하고 민주화, 정보화, 시민사회가 발전되면서 미국뿐만 아니라 기타 서방 국가에서도 공공외교에 대한 연구가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중국은 후진타오 시대(2003-2013) 이전부터 비록 공공외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관련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21세기에 들어온 후, 후진타오 정부는 중국의 제4대 지도부로 사회주의시장경제의 개혁, 지도부의 세대교체, 그리고 글로벌시대의 도전을 비롯한 국내•국외적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국외적•국내적 배경이 중국은 자국의 소리를 세계에게 잘 전달하려면 이전의 단순한 정부홍보와 달리, 새로운 방식인 공공외교 수단을 개척할 필요성이 있다. 중국의 공공외교는 중국 대외 전략의 큰 틀에서 진행되고 있다. 후진타오 정부는 중국의 평화발전 외교 대전략을 유지하는 동시에 이전 시기보다 새로운 대외정책을 세울 필요가 있어서 ‘화해세계론(和諧世界論)’을 제시했다. 화해세계론은 중국 공공외교의 지도사상으로 공공외교 정책은 화해세계론의 실시에 대한 필수적인 수단이다. 또한 중국의 공공외교와 화해세계론 간 내용의 연관성과 목표의 일치성이 나타난다. 후진타오 시기에는 중국은 공공외교의 개념을 본격적으로 수용하고 공공외교의 이행체제 건설과 각 분야의 공공외교 실천을 동시에 시작하였다. 그러나 후진타오 시기의 중국 공공외교는 주로 담론파워 제고, 체제의 건설과 문화 공공외교 두 분야에 주력하였다. 후진타오 시대에는 초보적으로 중공중앙 선전판공실과 국무원 신문판공실의 지도 하에 문화, 교육, 매스미디어 등 다양한 수단을 함께 운영되고 있는 공공외교 메커니즘이 형성되었다. 특히 후진타오 시대부터 시작된 공자아카데미 사업은 중국 공공외교의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공자아카데미는 국무원 교육부의 지도 하에 중국어의 해외보급과 중국문화 전파에 주력하는 교육•문화교류 기구이면서 동시에 중국의 공공외교 기구로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10년 동안의 발전과정을 보면 공자아카데미를 비롯한 중국 공공외교 실천은 다양한 원인때문에 중국 공공외교의 이론구축과 사업목적 간에 일정한 정도의 괴리가 생겼다. 이런 괴리는 중국 공공외교의 지속적인 발전과 효과달성을 지속하지 못하게 하고 부정적인 영향도 미칠 수 있다. 이런 괴리는 크게 1) 사업목적과 실현수단, 2) 사업목표와 공략대상, 3) 메커니즘 개발과 내용개발 정도의 불일치, 4) 정부의 주도와 자국 민중의 참여라는 네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차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외교 정보의 도달 효과는 평가하기 어려우며 문화 소프트 파워의 이용 차원은 더 개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중국위협론’ 등 중국의 발전에 대한 부정 언론의 불식이 중국 공공외교의 단기적인 목적이지만 지금의 실행을 살펴보면 공공외교 대상은 명확한 목표가 없고 타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특정 집단에 대한 특별한 공공외교 활동이 거의 없다. 셋째, 후진타오 시대의 공공외교는 중국 공공외교의 첫 걸음으로 제도가 먼저 수립되고 내용은 아직 발전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중국의 당-국가 체제에는 고도한 중앙집권의 발전 방식은 사회자원을 충분히 총동원할 수 있지만 정부 선전의 색채를 벗어날 수 없는 한 공공외교의 효과가 약화되거나 민간성이 부재하는 경향이 발생한다. 후진타오 시대의 공공외교에서 이런 간격이 생긴 원인으로는 1) 공공외교의 주체, 즉 중국 자체의 원인, 2) 공공외교 수용자의 원인, 그리고 3) 공공외교 영역에서 공통적인 문제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중국의 공공외교는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출발하였다. 공공외교 체제 건설의 성과보다 공공외교 자원, 특히 소프트 파워 자원의 발굴이 아직 부족하고 당-국가 체제는 사회자원을 총동원할 수 있지만 공공외교의 민간적인 성격이 보다 약하다. 둘째, 수용자의 측면을 보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불안정때문에 세계 각국의 초점은 아직 경제의 회복에 맞추고 있어 중국의 하드파워에 더 주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외교 분야에서 각국은 공통적인 문제, 즉 공공외교 효과에 대한 측정과 평가가 어렵다는 점이 있다. 후진타오 시대에는 중국의 공공외교 체제건설과 사업방향을 확정하고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성과와 함께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현단계 중국의 공공외교는 체제건설의 초보적으로 수준으로 아직 하드파워 자원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되고 있어 소프트 파워 자원을 보다 더 개발할 필요가 있다.;In the 21st century, the fourth generation Chinese government which led by Hu Jintao faces challenges, not only the change of state political power, but also the situations of globalization that Chinese government never met before. Therefore, in the circumstances,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diplomacy is important for Chinese government more than ever. Public diplomacy in China is implemented based on Chinese foreign strategy. Hu Jintao Era continues the foreign policy of peaceful development, as well as putting forward a new diplomatic concept of building a harmonious world. This concept is the guiding ideology of China public diplomacy, and public diplomacy is the necessary mean which can help Chinese government to put the concept into practice. In Hu Jintao Era, Chinese government puts "harmonious world" into effect in public diplomacy officially, builds a more prefect public diplomacy system and holds diplomatic events for nations in all fields to conduct China’s public diplomacy contemporary. Furthermore, the government also pays more attention of right of speech expanded by building a prefect system, and some public diplomacy events in cultural field. In Hu Jintao Era, China’s public diplomacy has the mechanism of taking the Propaganda Department of CPC and the Information office of the State Council as the command center, to build a multiple development framework in fields as culture, education, and mass media etc. Confucius Institute i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Confucius Institute, an institution which led by the Ministry Education, State Council, is built as an overseas establishment for spread of Chinese language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This Institute is also praised highly as the representative case of China’s public diplomacy recent years. However, during the ten years of development, disparity to a certain extent appears between practice and theoretical path on China’s public diplomacy for a variety of reasons. The disparity will not only hinder development of public diplomacy, but also bring opposite forces on state image. It appears in several aspects as follow: firstly, the disparity appears between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public diplomacy; secondly, it appears between government and lacking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thirdly, it appears between over quick public diplomacy system establishment and inane content development. First of all, it is hard to estimate effective reach of public diplomacy information, cultural soft power should be developed much deeper going. Secondly, one of the important objectives of public diplomacy is to eliminate some negative comments such as "China Threat Theory" which are spreaded by some countries. Chinese government has no different and special diplomacy strategies which can focus on these countries at present. Thirdly, although China’s public diplomacy system had been built during Hu Jintao's Era, its specific contents need to expand and develop to far more than staying traditional culture stage. Finally, the party-state political system in China is very particular. The special system can help government bring resources all around the society into play. However, government play excessively and participation of China civil society will be weaken relatively, and it result in a decrease of government's persuasion in diplomacy events. There are three main problems which result in those disparities in China’s public diplomacy field in Hu Jintao Era: The limitation of China party-state system and the lacking of soft power development is the first problem which lead to those disparities. It is a subjective issue. Then,due to instability of global economy, all the world paying much more attention to Chinese economic strength. These countries's diplomacy objectives are different with Chinese. It is an external problem. finally, there is still no effective method to estimate effects of public diplomacy. It is a common issue in public diplomacy field. In Hu Jintao Era, Chinese government built Chinese public diplomacy system, determined its development objectives, and reached some achievements in practice. However, many issues appeared as well. In general, China’s Public diplomacy have had an clear development system and built several great platform at the present stage. Whereas, the contents still focus on hard power which based on economy and military. Soft power development is very necessary right now in order to improve Chinese state image. Key words: China’s public diplomacy; Soft power; Harmonious world; Hu Jintao; Confucius Institu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 제기 1 B. 기존 연구 검토 5 1. 공공외교에 관한 연구 5 2. 중국의 공공외교에 관한 연구 7 C. 연구 방법과 연구 체제 13 II. 공공외교의 개념적 틀 16 A. 공공외교의 개념 틀 16 1. 공공외교의 기원과 확산 16 2. 공공외교 이론의 발전 19 B. 공공외교의 유형 23 1. 공공 전략 24 2. 환경조성 전략 24 3. 담론 전략 25 4. 관계형성 전략 26 5. 명성쌓기 전략 27 C. 중국의 공공외교 이론 28 1. 중국 공공외교의 개념 28 2. 중국 공공외교의 체제구축 34 III. 후진타오 시대 중국의 공공외교 39 A. 중국 대외전략의 변화와 공공외교의 정책화 39 1. 후진타오 시기 이전의 대외전략과 공공외교 39 2. 후진타오 시대의 대외전략과 공공외교 40 B. 후진타오 시대 공공외교의 이행체제 46 1. 정부 행위자 47 2. 비정부 행위자 55 C. 후진타오 시대의 공공외교 실천 60 1. 담론파워 제고 체제의 구축 60 2. 문화 공공외교의 발전 70 IV. 중국 공공외교 사례연구: 공자아카데미 78 A. 공자아카데미의 세계 확산 78 1. 설립 배경과 목표 78 2. 이행체제와 설립 절차 83 3. 공자아카데미의 확산 양상 89 B. 한국사례 91 1. 사업 촉진 배경 91 2. 발전 양상 93 3. 사업 내용 94 V. 결론 100 참고문헌 106 ABSTRACT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52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후진타오(胡錦濤) 시대 중국 공공외교 정책의 실천과 한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공자아카데미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Implementation and Limitations of China’s Public Diplomacy Policy in the Hu Jintao Era : Focusing on Confucius Institute-
dc.format.pagev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