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옥경-
dc.contributor.author박명덕-
dc.creator박명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3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377-
dc.description.abstractThere was an enforce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朱子家禮』) at the center of Confucian transformation of Joseon society. Many conflicts and changes appeared when the Confucianism started to regulate the daily life through Zhu Xi’s Family Rituals unlike the past time when the Confucianism mainly had acted as a study or politic ideology. Since the 16th century, the enforce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had become widespread, scholars started to pursue precise ac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based on profound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the 17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Joseon scholars interacted with each other to apply Zhu Xi’s Family Rituals in real life and to solve numerous problems and questions which were brought up in the enforce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The reasons why scholars got a lot of discussions in the process of the enforcement Zhu Xi’s Family Rituals came from difficulties to apply this in real life and social circumstance of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Zhu Xi’s Family Rituals omitted details like ceremonial procedures. On the other hand, these leaving out made various groundless conjectures and lots of limits for applying to unpredicted situa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societies of two countries and periods became obstacles for the actualiza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Especially, the Lineage system(宗法) was a critical problem. The Lineage system(宗法) which is from China is different from Joseon’s original family system. Therefore it was so natural that Joseon society had difficulty in implementing Zhu Xi’s Family Rituals because the The Lineage system(宗法) that is based on ancient China did not exist in the Joseon society.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were many other criterions of rituals(儀禮) such as ancient rituals(古禮), national system(國制) and popular customs(俗禮), it is hard to set Zhu Xi’s Family Rituals as a one criterion of rituals. The more the fulfill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was emphasized, the more discussions were made. First of all, scholars made a succession of family(家系繼承) faithfully and they significantly handle the matter to select the son(後嗣) and adoption(立後). Sometimes clashes with original rituals were occurred and scholars discussed with each other actively about problems which were came out by increasing of adoption(立後). Next, they made their own effort on not to go against the rule of Zhu Xi’s Family Rituals. So scholars wear mourning in the funeral process. However, the situation that a mother died when father is alive(父在爲母期) or a series of mourning(竝有喪), a lot of questions were appeared because of differences between the rules of Zhu Xi’s Family Rituals and public sentiments. On the other hand, as scholars started to recognize the Ancestor-Worship is important, the discussions which were derived from practical application such as Bulcheonwee(不遷位) or to shift passed generation’s ancestral tablet to Choijangbang(最長房) were increased. Confucianism scholars in the first half 17th century tried to reach agreements on principles of Lineage system(宗法) and emphasized their mutual consent in the discussions about actualiza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They shared same perception that people should obey the Lineage system(宗法) because it is basis of Confucianism society. So adoption(立後) and to succeed a family by the eldest son were required. And they started to put the justification(名分) before bloodline(血統). In the matter of wearing mourning, the order of rank in family by the Lineage system(宗法) also became stabilized. The four generations of service to ancestors were also settled and the family shrine(家廟) was started to run practically as well. And this time showed us the flow that rules of the Lineage system(宗法) and the Lineage ideology through Ancestor-Worship had strengthened. At that time, Confucianism scholars also tried to find feasible method for applying to the Joseon society. Those were compromised and little bit transformed way and this effort was inevitable because ritual was variable. So they respected national system(國制) and original customs but also emphasized on practice of rituals in Joseon society’s real circumstances at the same time as far as not to hinder Lineage system(宗法). As a result, those efforts built important standards about imple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for the Joseon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period.; 조선사회의 유교화 중심에는 『朱子家禮』의 시행이 있었다. 유교가 주로 학문이나 정치사상으로 기능했던 과거와 달리 『朱子家禮』라는 수단을 통해 일상생활까지 규제해오자 조선사회 전반에서는 많은 충돌과 변화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조선중기 이후 본격화된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16세기 이후 『朱子家禮』 시행은 널리 확산되었고 17세기에 이르면 禮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을 바탕으로 정밀한 『朱子家禮』 실천을 추구하게 되었다. 17세기 전반 조선의 예학자들은 『朱子家禮』의 실천 과정에서 제기된 수많은 문제와 의문들을 해결하고 『朱子家禮』를 조선의 현실에 적용시키기 위해 활발하게 예설을 교류하였다. 17세기 전반 『朱子家禮』를 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의들이 발생하게 된 배경은 『朱子家禮』를 실제로 적용하는데 따른 어려움과 당시의 처한 사회적 환경에서 찾을 수 있다. 『朱子家禮』는 대체로 세세한 설명은 번다한 文飾으로 보아 생략하였다. 이러한 내용의 소략함은 한편으로 모든 禮의 절차와 變禮에 대처하는데 한계로 작용했고 수많은 억설들을 낳는 이유가 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시공간적 배경으로 인한 문물제도의 차이는 『朱子家禮』의 내용을 그대로 재현하는데 걸림돌이 되었다. 특히 문제가 된 것은 宗法이었다. 宗法은 고대 중국사회의 친족제도로 조선의 기존 제도와는 다른 형태였다. 때문에 종법이 운영되지 않았던 조선사회에서는 이를 기초로 한 『朱子家禮』 시행도 당연히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한편 『朱子家禮』 외에도 古禮와 國制, 그리고 俗禮와 같은 다양한 儀禮의 기준이 혼재해있던 사회 현실은 『朱子家禮』를 실천 방향으로 삼아 禮를 행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朱子家禮』의 실천이 더욱 강조될수록 수많은 논의들이 제기되었다. 먼저 宗族의 유지를 위한 家系繼承을 충실히 이행하고자 하면서 後嗣를 선정하고 立後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여기에서는 기존 관습과의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立後가 증가하면서 수반되는 문제들도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한편 喪禮를 치름에 있어서는 최대한 원칙에 어긋나지 않게 喪服을 입고 居喪하려는 노력이 가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父在爲母期와 竝有喪의 경우 無二尊의 원칙과 嫡長子의 服喪 승계를 올바로 수행하는 데에서 『朱子家禮』 내용의 누락이나 인정상의 충돌로 인해 많은 의문이 발생하였다. 한편 조상에 대한 奉祀를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면서 不遷位의 설정과 親盡한 神主의 祧遷과 같이 家廟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데 따른 논의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당시 예학자들은 『朱子家禮』 실행을 둘러싼 논의 과정에서 종법적 원칙에 대해 합의하고 이를 강조해갔다. 종법은 유교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한 것이다. 따라서 家系繼承에 있어 嫡長子繼承 원칙의 준수와 立後가 요구되었고 血統보다는 名分이 우선시되었다. 服喪에서도 종법에 의한 가족구성원들의 위계질서가 더욱 공고해져갔다. 또한 程朱의 설대로 4代奉祀가 정착되고 이에 기반 한 실질적 家廟운영이 실행되었다. 그리고 조상봉사를 통한 宗族意識과 질서가 강화되어가는 흐름을 보인다. 한편 이러한 논의 속에서 조선현실에서 실행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는 時宜에 따른 절충과 변용을 통한 것으로 가변적인 禮의 속성상 불가피한 것이기도 했다. 그리하여 조선의 예학자들은 종법질서의 운영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國制와 오랜 관습을 존중함으로써 조선현실에 맞는 『朱子家禮』 실천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항들은 이후 조선후기 『朱子家禮』의 실행에 큰 기준을 형성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17세기 전반 朱子家禮 실행 논의의 배경 ... 5 1. 朱子家禮 실행의 문제점 ... 5 2. 조선 사회 현실과의 괴리 ... 11 Ⅲ. 朱子家禮 실행 논의의 전개 ... 16 1. 家系繼承 대상의 선정 ... 16 1) 嫡長子繼承의 원칙 ... 16 2) 立後者의 위상 강화 ... 21 2. 가정 내 위계질서의 정립 ... 24 1) 父在爲母期 원칙의 확인 ... 24 2) 喪이 겹친 경우의 대처 ... 29 3. 家廟 운영과 宗族意識 형성 ... 33 1) 奉祀代數의 확대 ... 33 2) 不遷位의 설정과 운영 ... 36 3) 神主의 祧遷 ... 40 Ⅳ. 朱子家禮 실행 논의의 특성 ... 45 1. 종법원칙의 강조 ... 45 2. 조선 현실과의 절충 모색 ... 49 Ⅴ. 결론 ... 56 참고문헌 ... 59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05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17세기 전반 『朱子家禮』 실행 논의와 그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scussions about practice of Zhu Xi’s Family Rituals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its Characteristics-
dc.creator.othernamePark, Myung Deok-
dc.format.pagev,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