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훈-
dc.contributor.authorGaukhar, Batyrkhanova-
dc.creatorGaukhar, Batyrkhanova-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ase and case markers between Korean and Kazakh, which historically included in Altaic family language and typologically, are agglutinative language.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its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hapter 1 men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ubject of the research and related researches. Chapter 2 explains the definition of the case, along with realizing method and language classification in terms of linguistic typology. Chapter 3 examines the case realization aspect and sets up case system mainly based on its form. The categorical characteristic of case marker was also examined. In examining categorical characteristic of case marker, the following aspects were also concerned; 1) phonological characteristic of case marker, 2) independence of noun preceding the case marker, 3) presence of case marker ellipsis, 4) case and case marker alternation, 5) types of case where case marker possibly appears, 6) the presence of governance of postposition, etc. From the studies of categories listed, it shows that Korean case marker is a particle; an independent syntax unit, while Kazakh case marker is an inflectional ending; a morphological unit. Related to its function to encode syntactic relation, case marker in both languages can be divided into grammatical case and semantical case. Chapter 4 analyses the syntactic function of component which preceed the case marker in the sentence and various semantic functions of case. Then, contras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case marker. The idiomatic usage of case marker and the development of case marker into conjuction were also analysed. Chapter 5 presents and summarizes the research in this thesis.;본고는 계통론적으로 같은 알타이어, 유형론적으로 교착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격과 격표지를 대조하여 서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I 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을 정한 후,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 II 장에서는 격의 정의를 설정하고 언어유형론적으로 어떠한 격 실현 방법이 있고 언어를 어떻게 분류하는지 알아보았다. III 장에서는 양 언어에서 격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형태를 중심으로 격 체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격표지의 범주적 성격을 논하였다. 격표지의 범주적 성격을 논할 때 격표지의 분포, 격표지의 음운론적 성격, 격표지가 결합된 선행 명사의 자립성 유무, 격표지의 생략 유무, 격표지의 교체와 격의 교체, 격표지가 나타날 수 있는 격의 종류, 격표지의 발달 과정, 후치사의 지배 유무가 고려되었다. 그 결과 한국어의 격표지가 독립된 통사 단위, 즉 조사인데 반해 카자흐어의 격표지는 형태적 단위, 즉 굴절어미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양 언어의 격표지가 통사적 관계를 표시하느냐 아니면 의미적 관계를 표시하느냐에 따라 문법격과 의미격으로 양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외에 한국어의 격을 양분할 때 명사 병렬 구조에서의 분포, 통합관계, 의미역에 따른 차이가 고려되었다. 반면에 카자흐어의 경우 격 교체의 가능성, 격이 부여된 의존어의 핵어와의 관게가 얽매여 있느냐 아니면 자유러우냐에 따라 분류되었다. IV 장에서는 III 장에서 논의된 것을 바탕으로 양 언어의 격표지가 결합된 선행어가 문장에서 가지는 통사적 기능과 격의 다양한 의미 기능, 격표지의 관용적 용법, 접속표지로 발달한 양상 등을 살펴보고 서로 대조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의 격조사와 카자흐어의 격어미가 범주적 성격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격의 의미 기능에 있어서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V 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정리하였다. 이러한 대조 연구는 언어유형론적으로도 계통론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또한 현대 한국과 마찬가지로 카자흐스탄에서도 양 언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며, 특히 교육에 필요한 언어학적인 이론이나 효율적인 교육방법, 교육자료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그런 교육 관련 자료를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핵심어: 한국어, 카자흐어, 교착어, 격, 격표지, 격조사, 굴절어미, 격 교체, 격의 의미, 격의 기능, 유형적 특징.-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연구의 대상과 방법 2 C. 선행연구 검토 3 1. 한국어의 격에 대한 연구 3 2. 카자흐어의 격에 대한 연구 8 3.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격 대조 연구 11 II. 격과 격표지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 16 A. 격 개념과 언어 유형론 16 B. 격 실현 방법 18 III.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격 20 A. 한국어의 격 20 1. 한국어의 격체계 21 2. 격조사의 범주적 성격 22 3. 격조사의 하위 분류와 통합관계 25 B. 카자흐어의 격 28 1. 카자흐어의 격체계 29 2. 접사의 하위 분류와 통합관계 31 3. 격표지의 범주적 성격 45 4. 격의 하위 분류 50 IV. 양 언어 격표지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 대조 52 A. 주격 표지 52 1. 한국어의 주격조사 52 2. 카자흐어의 주격어미 55 3. 주격조사와 주격어미 대조 62 B. 대격 표지 66 1. 한국어의 대격조사 66 2. 카자흐어의 대격어미 69 3. 대격조사와 대격어미 대조 75 C. 속격표지 79 1. 한국어의 속격조사 79 2. 카자흐어의 속격어미 81 3. 속격조사와 속격어미 대조 86 D. 처격 표지 87 1. 한국어의 처격조사 87 2. 카자흐어의 여격, 처격, 탈격어미 90 3. 처격조사와 여격, 처격, 탈격어미 대조 101 E. 구격표지 103 1. 한국어의 구격조사 103 2. 카자흐어의 구격어미 106 3. 구격조사와 구격어미 대조 109 V. 결론 113 참고문헌 116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28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한국어와 카자흐어의 격표지 대조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ntrastive Analysis on Korean and Kazakh Language Case Marker-
dc.format.pageix,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