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국어 용언의 보조사화 연구

Title
국어 용언의 보조사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uxiliary Particlization of Predicate in Korean Language
Authors
오윤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국어의 변화 양상 가운데 하나인 용언 구성의 보조사화에 대한 기제 및 원리 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 항목들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밝혀 보조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크게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언급하고 관련된 국내의 기존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대상을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보조사가 사전에서 처리되는 방식을 점검하고 일반적으로 보이게 되는 통사·의미적 특성을 통해 보조사의 개념을 규정하였다. 본고의 입장에 따르면 보조사란 고유의 의미를 가지는 조사의 하위 유형으로서 특정한 격을 표시하지 않으며 생략될 경우 문장의 의미가 변화하게 되고 일반적으로 체언뿐 아니라 용언의 활용형이나 부사의 아래에도 결합하는 등 분포상의 자유로움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 보조사가 격조사나 ‘이-’ 활용형과 같은 다른 문법범주와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보조사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귀납함으로써 보조사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 항목들의 보조사화 양상을 살피기 이전에 먼저 전반적인 문법화 이론이나 원리 및 기제에 대해 정리하되, 특히 Ⅳ장에서 다루게 될 항목들의 보조사화와 관련되는 것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보조사화를 어휘형태소나 통사 단위 결합체가 보조사로 변화하는 모든 과정과 결과를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때 변화에 대한 어느 정도의 예측 가능성을 염두에 둘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일관되게 작용하는 원리나 기제를 세울 수 있다면 변화의 단계적 모습에 대한 예측성은 보다 높은 정확성이나 체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보조사화와 관련된 원리로는 고빈도와 추상화, 분기, 잔존, 연속성과 단일 방향성을 들었고 기제로는 은유, 재분석, 융합, 유추를 들었는데, 이들이 비록 보조사화에 특유한 원리나 기제는 아니더라도 국어에 보조사화 현상이 존재하고 그 개별적인 현상들에 일정한 경향성이 있음은 부인할 수 없으므로 이를 설명해 주는 방법으로서도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Ⅳ장은 본고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항목들을 동사 구성, 형용사 구성, 계사 구성으로 분류하고 본격적으로 각 항목들의 보조사로서의 가능성과 문법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대상 항목 가운데 ‘가지고, 말고, 치고’는 동사 구성, ‘같이’는 형용사 구성, ‘이라고, 이라면, 이라야, 인가, 인즉’은 계사 구성에 속하는 것으로 이들의 보조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대상 항목들의 용법을 살피고 그 가운데 보조사로서의 쓰임으로 보이는 용법을 중심으로 그 통사·의미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앞서 설정한 보조사 판단 기준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예를 들어 논의하였는데, 보조사 판단 기준에 부합되는 정도를 통해 각 항목들의 보조사화 정도를 짐작해 볼 수 있었다. 특히 보조사를 판단하는 필수적 기준 가운데 분포와 관련된 내용에 관련해서는 대상 항목마다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보조사화의 진전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문헌을 통해 역사적 변화 과정 및 양상을 살핌으로써 보조사화의 단계적 모습을 점검하고 보조사로서의 지위를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Ⅴ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고 각 항목들의 보조사로서의 가능성과 함께 국어 용언 구성의 보조사화에 관련한 일련의 변화 단계나 기제 등을 아울러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와 보다 심도 있는 국어 용언 구성의 보조사화 연구를 위한 남은 과제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용언 구성에서 보조사로 발달한 것으로 보이는 형태의 변화 과정을 밝힘으로써 각 형태들에 대해 보조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문법화 정도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조사와 관련하여 견해가 나뉘어 온 항목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모든 항목들이 보조사로서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용언 구성의 보조사화에 적용되는 문법화의 원리 및 기제를 정리하고, 논쟁이 되어 온 항목들의 보조사로서의 지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나아가 보조사로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예측되는 조건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도 함께 살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echanisms and principles of 'auxiliary particlization' of predicates, which is one of the grammatical changes of Korean language, as well as to confirm the possibilities as auxiliary particle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es of auxiliary particlization. Chapter Ⅰ presents the goal of this study. By examining preceding works concerning the auxiliary particlization of predicate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confirmed and object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auxiliary particle' was provided by confirming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auxiliary particles. An auxiliary particle is defined as a subarea of a postpositional particle, that has its own meanings. Auxiliary particles do not mark any cases and have relatively free distributions. In this chapter, the range of auxiliary particles was also set up through the distinction criteria of auxiliary particles. Chapter Ⅲ described the mechanisms and principles of grammaticalization in relation to auxiliary particlization in particular. When we defined auxiliary particlization as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changes of lexical morphemes or syntactic units into auxiliary particles, the phrasal aspects of the changes are predictable through the principles and mechanisms with more accuracy. Principles and mechanisms of auxiliary particlization are as follows. Princeples: abstraction, divergence, persistence, cline and unidirectionality. Mechanisms: metaphor, reanalysis, fusion and analogy. Even though these principles and mechanisms are not specific to auxiliary particlization, these are meaningful as a method for describing auxiliary particlization. The aspects of auxiliary particlization of predicates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Ⅳ, which is the core part of this work. O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forms consisting of verbs, adjectives and copulas. To illustrate, objects that are in the category of verb include gajigo(가지고), malgo(말고), chigo(치고), adjectives include gachi(같이), and copulas include irago(이라고), iramyeon(이라면), iraya(이라야), inga(인가), injeuk(인즉). For confirming the possibilities of these objects as auxiliary particl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the object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uses for auxiliary particles. Besides, we can conjecture the degree of auxiliary particlization of those objects by examining the coincidences with the distinction criteria of auxiliary particles. Especially a big difference in distributions as auxiliary particles between the objects was found. According to this paper, such difference is based on the degree of auxiliary particlization. The processes of the grammatical changes were verified by referring to bibliographies. Chapter Ⅴ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hich summarizes the discussions made throughout this study while making important implications and calls for more in-depth studies on auxiliary particlization.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possibilities and degrees of auxiliary particlization by investigating the processes of the grammatical changes. This thesis argues that all objec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auxiliary particles. H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respect of organizing the principles, mechanisms of auxiliary particlization, and discussing the status of objects as auxiliary particles. Furthermore, this thesis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in that the author tried to supply the conditions for predicting auxiliary partic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