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창원-
dc.contributor.authorXu, Ye-
dc.creatorXu, Ye-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08-
dc.description.abstract한(韓)•중(中) 양국은 1992년 8월 24일부터 공식 외교관계 수립 이후 정치, 문화, 경제 등에서 다변화된 발전을 경험해 왔다. 수교 이후 많은 한국 기업들이 중국 동남쪽에 있는 상해를 중심으로 경제가 발달한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 지역에 관심을 돌렸다. 따라서 이 지역에 한국 기업들이 점점 많아지고 의사소통 수간으로 한국어의 중요성은 증가해 왔다. 특히 2000년 이래로, 장강삼각주 경제권역에 있는 대학교는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한국어 학과를 설립하고 한국어 교육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상해를 중심으로 한 중국 장강삼각주 지역에 살고 있는 젊은 층 거주자들은 대부분 다 오(吳)방언을 말할 수 있고 중국 표준어인 보통화(普通話)도 할 수 있는 화자들이다. 그래서 한국어를 습득할 때 분명히 모국어인 오방언과 중국 보통화의 간섭을 다 받을 수 있는 있다. 지금까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하여 중국 보통화와 한국어의 음성음운적인 대비를 많이 하였지만 한국어와 중국 방언간의 대비 연구가 많지 않았다. 그래서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를 좀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국어와 오방언의 음성음운 분야에서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해야 될 필요가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오늘날에 이르러 한국어 단어의 64% 이상이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어가 중국의 한자를 차용함에 있어 기본적인 변화 없이 전해져 내려왔으며 이것은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유리한 조건이 되고 있다. 오방언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대비 언어학의 원리로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 한자음을 서로 대비를 하면서 음성음운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자 한다. 본고는 앞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각 방언간의 대조 언어학 연구를 촉진되길 바라는 간접적인 목적과, 오방언 화자로서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의 음운적인 관계를 규명해보자는 직접적인 목적 하에 구상되었다. 본고는 현대 한국 표준어의 한자음과 오방언 지역에 대표적인 소주음을 중심으로 두 언어간의 성모와 운모를 비교하였다. 이에 대해 뚜렷한 대응관계가 있는 중국의 중고 한자음을 기준으로 공시적과 통시적으로 대비를 바탕으로 대비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중국 중고 한자음에 대해서는 중고시기 재구음 『한자고음수책(漢字古音手冊, 1986)』에 나와 있는 『광운(廣韻)』의 국제음성기호 표기를 기준으로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 소주음에서 통용하는 한자들 『한어방음자휘(漢語方音字彙, 2003)』 약 3000개의 발음을 정리하고, 그들의 성모를 대상으로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 소주음이 어떻게 비슷한지 혹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한자음을 정확하게 대비하기 위해서는 본고에 성모체계와 운모체계를 전면적으로 포괄하고 대비를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먼저 본고의 연구 동기와 목적,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에 관한 선행연구를 재검토하고, 연구 분야와 대상, 연구 방법과 절차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본론을 시작하기 전에 현대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 소주음의 성모 체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본 후에 중국 중고음 성모의 분류에 의하여 순음(脣音), 설음(舌音), 아음(牙音), 치음(齒音), 후음(喉音)으로 나누고 이 기준으로 하여 공시적 및 통시적으로 현대 한국 한자음과 현대 오방언 소주음의 성모를 대비, 분석하여 대응관계를 찾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먼저 현대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의 운모 체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 후에 중국 중고음 운모 16섭의 분류에 따라서 통성(通攝), 강섭(江攝), 지섭(止攝), 우섭(遇攝), 해섭(蟹攝), 진섭(臻攝), 산섭(山攝), 효섭(效攝), 과섭(果攝), 가섭(假攝), 탕섭(宕攝), 경섭(梗攝), 증섭(曾攝), 류섭(流攝), 심섭(深攝), 함섭(咸攝)으로 나누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공시적 및 통시적으로 현대 한국 한자음과 현대 오방언 소주음의 운모 체계를 대비 분석하여 대응관계를 찾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마자막 Ⅳ장에서는 앞에서 한국 한자음, 중국 오방언 소주음의 성모, 운모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결론 짓고 또 본고의 한계성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고는 자료의 방대함으로 인하여 연구의 편의상 먼저 한자음의 성모와 운모를 분리하여 그 상관성을 정리하였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 음절관계나 성모와 운모의 선호 현상, 성조 억양 차이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고찰과 세밀한 분석을 한다면 한국 한자음와 오방언 소주음 양자간의 상관성을 이해하는 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가 한국어를 전공으로 택한 오방언권 학생들이나 한국어와 오방언에 관심을 가지고 취미로 배우고 있는 사람들에게 발음 학습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오방언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영역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연구를 진행하면 유익하리라 생각한다.;The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have changed a lot in the political, cultural, economic and other various field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on August 24th, 1992. Many Korean companies have been attracted by the more developed Yangtze River Delta area where Shanghai plays a central and leading role in economy. As a result the Korean langu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as a communication tool and those human resources who can master it have become a new market demand. Since 2000, many universities in the Delta area have started to rapidly build Korean departments, like bamboo shoots after a spring rain, and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has become very popular. Nowadays the majority of young people who are from the Yangtze River Delta area are bilinguals who not only can speak their mother tongue Wu-dialects, but also can speak Chinese Mandarin. So it is predictable that those Koreans learners will get interference both from the Wu-dialects and Chinese Mandari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o cross-linguistic phonological studies on these languages and fi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as a goal for learning Korean more effectively. More than 64% of Modern Korean words are Sino-Korean. These words have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out too many fundamental changes from Chinese. It would be beneficial to do a cross-linguistic study to seek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pronunciations in the Wu-dialects. It is the author’s indirect purpos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ross-linguistic studies with Korean and different Chinese dialects. As a Wu-dialect speaker, it is the author’s direct purpose of this thesis to find some relation between these two languages. This thesis is a cross-linguistic phonological study of Sino-Korean modern Korean speakers with Suzhou dialect speakers that embody the typical examples of the Wu-dialects area who use the Middle Chinese pronunciation as a standard to seek the relations between them.) It also combined synchronic and diachronic studies by utilizing the theories of phonetics, phonology and contrastive linguistics. This thesis used all IPA tags of Middle Chinese from <Hanzi Guyin Shouce> (漢字古音手冊, Handbook of old Chinese characters pronunciations, 1986) which is based on the archaic Chinese Phonology at <Guangwun>(광운, 廣韻, Guangyun). It collected about 3000 Chinese characters’ different pronunciations of Sino-Koreans and the Suzhou dialect of Wu-dialects from <HanYu Fangyin Zihui>(漢語方音字彙, 한어방음자휘, 2003) to clearly contrast and compare with their initials and finals to fin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Chapter I discusses the motivation and purpose of the thesis, reviews previous studies on Sino-Korean and Chinese Wu-dialects and states the target area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thesis.) Chapter II introduces the phonological initial systems of modern Sino-Korean and the Suzhou dialect. Then it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compares and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them which is the basis of classifications of Middle Chinese initials by different places of articulation to look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eparately. Those initials are classified as labials (脣音), linguals (舌音), velars (牙音), dentals (齒音) and glottal (喉音). Chapter Ⅲ introduces the phonological final systems of Modern Sino-Korean and the Suzhou dialect of Wu-dialects in brief. The basi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m are sixteen Shes (攝, 섭) of Middle Chinese final classifications which are Tongshe (通攝, 통성), Jiangshe (江攝, 강섭), Zhishe (止攝, 지섭), Yushe (遇攝, 우섭), Xieshe (蟹攝, 해섭), Zhenshe (臻攝, 진섭), Shanshe (山攝, 산섭), Xiaoshe (效攝, 효섭), Guoshe (果攝, 과섭), Jiashe (假攝, 가섭), Dangshe (宕攝, 탕섭), Gengshe (梗攝, 경섭), Zengshe (曾攝, 증섭), Liushe (流攝, 류섭), Shenshe (深攝, 심섭) and Xianshe (咸攝, 함섭) respectively. It also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compares and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them separately to look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a purpose. Chapter Ⅳ organizes the discussion. Included is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initials and finals between Modern Sino-Korean and the Suzhou dialect of Wu-dialects by using a basis of pronunciations of Middle Chinese characters, and a conclusion is drawn that there are som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It discusses some limitations and the research plan for the future. This thesis separated the initial systems and final systems of Chinese characters to find comparisons and contractions because of the huge data of 3000 Chinese characters. The author plans to do further study synthetically and fully on the relations of their syllable constructions, the select preferences between initials and finals, tone systems and intonations in the future and hopes that it can become a possible breakthrough for helping those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whose mother tongue use Wu-dialects and others who are interested in Chinese Wu-dialects and Sino-Kore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1 1. 연구의 동기 1 2. 연구의 목적 6 B. 선행연구 7 1. 한국 한자음 음운에 대한 연구 8 2. 중국 오방언 음운에 대한 연구 13 3.한국 한자음과 중국 오방언 음운의 대조 연구 20 C. 연구 대상 및 방법 23 1. 연구 분야와 대상 23 2. 연구 방법과 절차 25 Ⅱ. 현대 한국 한자음과 중국 오방언 소주음의 성모 대비 27 A. 순음계 (脣音系) 40 1. 방모(母) 40 2. 방모(滂母) 42 3. 병모(母) 43 4. 명모(明母) 45 5. 비모(非母) 46 6. 부모(敷母) 48 7. 봉모(奉母) 49 8. 미모(微母) 50 9. 순음계 정리 51 B. 설음계(舌音系) 52 1. 단모(端母) 52 2. 투모(透母) 54 3. 정모(定母) 56 4. 니모(泥母) 58 5. 래모(母) 59 6. 지모(知母) 61 7. 철모(徹母) 63 8. 징모(澄母) 64 9. 설음계 정리 65 C. 아음계(牙音系) 68 1. 견모(見母) 68 2. 계모(溪母) 72 3. 군모(群母) 74 4. 의모(疑母) 76 5. 아음계 정리 78 D. 치음계(齒音系) 79 1. 정모(精母) 80 2. 청모(母) 81 3. 종모(從母) 83 4. 심모(心母) 84 5. 사모(邪母) 86 6. 장모(莊母) 87 7. 초모(初母) 88 8. 숭모(崇母) 89 9. 생모(生母) 90 10. 장모(章母) 92 11. 창모(昌母) 93 12. 선모(船母) 94 13. 서모(書母) 95 14. 선모(禪母) 97 15. 일모(日母) 98 16. 치음계 정리 100 E. 후음계(喉音系) 102 1. 영모(影母) 103 2. 효모(曉母) 105 3. 갑모(匣母) 107 4. 유모(母) 109 5. 후음계 정리 112 F. 현대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 소주음의 성모 대비 정리 113 Ⅲ. 현대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 소주음의 운모 대비 119 A. 통섭 (通攝) 131 B. 강섭(江攝) 139 C. 지섭(止攝) 142 D. 우섭(遇攝) 153 E. 해섭(蟹攝) 160 F. 진섭(臻攝) 174 G. 산섭(山攝) 184 H. 효섭(效攝) 206 I. 과섭(果攝) 211 J. 가섭(假攝) 216 K. 탕섭(宕攝) 220 L. 경섭(梗攝) 229 M. 증섭(曾攝) 245 N. 류섭(流攝) 251 O. 심섭(深攝) 255 P. 함섭(咸攝) 257 Q. 현대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 소주음의 운모 대비 정리 270 Ⅳ. 결론 285 참고문헌 288 <부록-1> 현대 오방언의 지역 분포도 299 <부록-2> 소주시 구획도 300 <부록-3> IPA (International Phonetics Alphabet) 301 <부록-4> 현대 한국 한자음과 오방언 소주음의 한자 대비표 301 ABSTRACT 3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298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현대 한국 한자음과 중국 오방언 소주음의 음운 대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ross-linguistic Phonological Study on Modern Sino-Korean and Suzhou dialect of Chinese Wu-dialects-
dc.format.pagexii, 3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