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훈-
dc.contributor.authorXing, Xiaofang-
dc.creatorXing, Xiaofang-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8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801-
dc.description.abstract의문문은 가지고 있는 특정적인 의미와 기능 때문에 문장 유형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의문문의 실현 양상의 특성, 한∙중 의문문의 분류 체계, 그리고 한·중 의문문 각 유형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하여 서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제Ⅰ장에서는 본고의 연구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며, 선행 연구에 대하여 검토하고 연구 방법과 구성을 제시한다. 제Ⅱ장에서는 양국 의문문의 특성 대조를 뚜렷하게 밝히기 위하여 양국 의문문의 실현 양상의 특성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라서 A절에서 언어 유형론의 관점에 착안하여 양국 의문문 실현 양상의 특성을 검토하고 대조 분석을 하여 그 중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B절에서 한국어 의문문 의문어미의 통사적 기능 특성, 의미적 기능 특성, 중국어 의문문 의문 어기조사의 기능 특성을 밝히고 대조 분석을 하여 그 중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중 의문문의 대조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 의문어미의 목록에 대해 다시 설정하였다. 설정한 의문어미의 기능을 더 세밀하게 검토하여 의문 어기조사 ‘吗’,‘呢’,‘吧’,‘啊’의 기능과 대조 분석을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한∙중 의문문의 개념과 의문문의 분류 체계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하였다. A절에서 한∙중 의문문의 개념, 즉 다양한 의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廣意의 개념을 설정하였다. B절에서 한∙중 의문문의 분류에 대해 검토하였다. 한국어 의문문은 일치적인 기준없이 의문문의 유형이 다양하게 분류되었지만 중국어 의문문은 보통 전통적 질문 방식에 따라 분류되어 의문문의 유형도 한국어처럼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중국어 의문문의 분류와 명칭에 대한 용어선택에 있어 학자마다 약간씩 차이를 나타냈다. C, D절에서 한∙중 의문문 분류의 통일성을 위하여 동일한 분류 기준, 즉 화자가 어떤 사실에 대한 未知情報의 量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는 것을 제기하였다. 제기한 분류 기준에 따라 한∙중 전형 의문문과 한∙중 특수 의문문 양대분류 체계를 세웠다. 한∙중 전형 의문문 체계 안에 또 다시 未知情報의 量에 따라 설명 의문문/특지 의문문, 선택 의문문, 판정 의문문/시비 의문문으로 나누었다. 설명 의문문/특지 의문문은 의문정도가 제일 높은 유형이고 그 다음은 순서에 따라 선택 의문문, 판정 의문문/시비 의문문이다. 특수 의문문 체계 안에 의문문의 형식만 가지지만 의문문의 적정 조건을 다 갖추지 못하여, 어떤 조건을 위배함에 따라 다시 수사 의문문/반어 의문문, 요청 의문문, 반문 의문문으로 나누었다. 제Ⅳ장에서의 A절은 한∙중 전형 의문문의 특성에 대한 대조 분석을 하였다. 전형 의문문의 특성 대조 안에서 주로 한국어 판정 의문문과 중국어 시비(是非) 의문문의 특성, 한국어 설명 의문문과 중국어 특지(特指) 의문문의 특성, 한∙증 선택 의문문의 특성에 대한 대조 분석을 하였다. 한국어 판정 의문문 안에서 의문어미 목록에서 나온 의문어미의 의미자질 특성에 따라 또 다시 여러 가지 문장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중국어 시비(是非) 의문문 안에서 의문요소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문장 유형을 분류하였다. 한∙중 의문문 각각 유형들은 의미적 특성이 유사한 문장들을 같이 묶어서 서로의 통사적 특성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하였다. 한국어 설명 의문문과 중국어 특지 의문문 안에서 주로 한국어 의문사와 중국어 의문대명사의 특성에 대하여 대조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설명 의문문과 중국어 특지 의문문의 특성을 밝혔다. 한∙중 선택 의문문의 특성 대조에서 주로 개별 선택 의문문과 가부 선택 의문문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개별 선택 의문문에서 주로 疑問點이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한∙중 의문문의 통사적 특성에 대한 대조 연구를 하였다. 한∙중 가부 선택 의문문에 대한 대조 연구는 주로 한∙중 정반 의문문의 통사적ㆍ의미적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B절은 한∙중 특수 의문문의 특성 대조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수사 의문문과 중국어 반어(反語) 의문문의 특성에 대한 대조는 주로 일반 의문문과 동일한 형태를 지닌 무표적 수사 의문문/반어 의문문의 실현 특성, 문장 내에 여러 가지 어휘나 고정적 구문형식의 첨가로 형성된 유표적 수사 의문문/반어 의문문의 실현 특성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한∙중 요청 의문문의 특성 대조에서 주된 한∙중 부탁형 의문문, 한∙중 명령형 의문문, 한∙중 청유형 의문문 3가지로 나누어 논술하고 각 문장 유형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또한 한∙중 반문 의문문의 특성도 대조하여 분석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이상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서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한∙중 의문문에 대한 대조 연구를 통하여 의문문의 범주, 유형, 형식적 특성, 의미적 특성,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과정에서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많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고립어(isolating language)인 중국어는 한국어처럼 굴절법으로 의문문을 실현할 수 없지만 문장 끝에 달려 있는 의문 어기조사로 의문문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동서고금을 통해 언어는 대화를 통해 소통하게 되는데 의문형인 경우 말끝에 억양이 올라가는 등 유사성이 큰 것을 한·중 의문문 대조 연구에서도 다시 확인하였다. 반면에 의문 어기조사는 한국어 의문어미와 동질적인 성격을 갖지 않은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중 의문문 유형을 다시 분류하고 각 의문문의 문법 형식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여 대조하면서 의문문 안에 숨겨 있는 유사점과 상이점을 본 논문에서 밝히고자 하였다.;Historical speaking, there is a long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e two countries had a close association in history; especially the Chinese culture has a profound impact on its neighbor: Korea. Coupled with the increas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recent years, academic exchanges also advanced by leaps and bounds. We can see the research of language universality has made great achievements. A comparative study on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is reported here. Based on view points of Linguistic typology and comparative linguistics method, this research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properties in various types of Korean and Chinese interrogative sentences. This study will focus on several aspects of interrogative sentence like: its realization, its classifi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1. Through linguistic typology perspective,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is mainly achieved by intonation, interrogative ending, and interrogative word. Interrogative intonation and interrogative ending are the main forms in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Chinese interrogative sentence consists ofinterrogative intonation, interrogative modal particle, and interrogative pronoun, 'X not X 'type, conjunction ' (yes) ... or'. Intonation belongs to phonologic category; the other two parts belong to morphologic and syntactic category. Based on the form of Phonology,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can be implemented by the forms of morphologic and syntax. 2.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Korean Interrogative endings and Chinese Interrogative modal particles, it is easy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1). With regard to morphologic and syntactic functionality, Korean interrogative endings can not only terminate an article, but also achieve interrogativ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ategories of endings, there are various combination forms in pre-final endings which include subject, person, predicate, tense and aspect etc. On the other hand, Chinese modal particle is just one of the empty words,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an article and it can only play the role in easing mood or adding some syntactic meanings. (2). Through the aspects of meaning and functionality, most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have honorific degree. So the interrogative endings not only implements mood function, but also implement honorific function. Chinese modal particles do not have such function. In Chinese the so-called honorific can only be achieved by several vocabularies. Korean mood is achieved by the variation of predicate, on the other hand, Chinese mood is achieved by modal particles, and the mood that was shown by modal particles does not represent that of predicate, but represents that of the whole article. 3.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interrogative endings and Chinese modal particles more clearly and explicitly, this study reconfigures interrogative index, i.e. abandons the traditional method whichcategorizes interrogative endings based on different honorific degrees. The index that this study has includes some interrogative endings which belongs to the same honorific degree and has higher frequency being used in real life. The reconfigured index is shown as follows: Simple questions: -아/어, -는가/은가, -나, (느)냐/(으)냐, -니 Intent questions: -을까1, -을래 Surmise questions: -을까2 Confirmed questions: -지 The main Chinese interrogative particles have several words like “吗, 呢,吧,啊”,“吗”is a kind of modal particle which has interrogative information. “呢,吧,啊” do not have such kind of information. However, the forms and functions are not consistent in language’s actual application. For example, some interrogative sentences have some functions other than interrogative, like invitation, command, and appreciation. This type of sentences have interrogative endings but do not have question functions. So there should have a unified method to categorize interrogative sentences. This study provides a general definition of interrogative sentence based on Searle’s theory(1969) which defined an interrogative sentence based on different condition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 typology, this study discusses Korean and Chinese interrogative sentences. The previous studies mainly discussed the comparison of different typ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ir form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he general researches of interrogative sentences have been poorly studied. So this study mainly discusses several area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for example, it researches the way of implement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interrogative sentences,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interrogative endings and Chinese modal particles et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5 1. 한국어 의문문의 연구 현황 5 2. 중국어 의문문의 연구 현황 10 3. 한중 의문문의 대조 연구 현황 15 C. 연구 방법 및 구성 16 Ⅱ. 한중 의문문 실현 양상 19 A. 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중 의문문 실현 양상 19 1. 한중 의문문 실현 양상의 특성 20 2. 한중 의문문 실현 양상의 대조 22 B. 한국어 의문어미와 중국어 의문 어기조사의 특성 대조 31 1. 한국어 의문어미의 특성 및 의문어미 목록의 설정 31 2. 중국어 의문 어기조사의 특성 47 3. 한국어 의문어미와 중국어 중국어 의문 어기조사의 특성 대조 60 Ⅲ. 한중 의문문의 개념 및 분류 체계 63 A. 한중 의문문의 의문문의 개념 63 B. 한중 의문문 분류의 분류의 검토 65 1. 한국어 의문문 분류의 검토 66 2. 중국어 의문문 분류의 검토 69 C. 한중 의문문 분류 기준 제기 70 D. 한중 의문문 분류 체계의 체계의 대조 72 Ⅳ. 한중 의문문의 특성 대조 77 A. 한중 전형 의문문의 특성 대조 77 1. 한국어 판정 의문문과 중국어 시비 (是非 ) 의문문 77 1.1 한국어 판정 의문문 78 1.2 중국어 시비 (是非 ) 의문문 90 1.3 판정 의문문과 시비 (是非 ) 의문문의 대조 98 2. 한국어 설명 의문문과 중국어 특지 (特指 ) 의문문 100 2.1. 한국어 설명 의문문 101 2.2. 중국어 특지 (特指 ) 의문문 108 2.3. 설명 의문문과 특지 (特指 ) 의문문의 대조 116 3. 한중 선택 의문문의 대조 118 3.1. 한중 개별 선택 의문문 120 3.2. 한중 가부 선택 의문문 125 B. 한중 특수 의문문의 특성 대조 128 1. 한국어 수사 의문문과 중국어 반어 (反語 ) 의문문 128 2. 한중 요청 의문문 134 3. 한중 반문 (反問 ) 의문문 141 Ⅴ. 결론 145 참고문헌 150 ABSTRACT 1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820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한∙중 의문문의 대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dc.format.pagevii, 1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