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최선아-
dc.creator최선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재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성조숙증 여아들의 성조숙증 진단 전부터 진단 후의 운동 참여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성조숙증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한 방안으로서 운동의 의미와 가치를 재탐색함과 동시에 향후 여아의 성조숙과 성조숙증 여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는 ‘성조숙증 여아들이 성조숙증 진단 전, 후 운동에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조숙증 여아들의 성조숙증 진단 전, 후 운동 프로그램 참여는 어떠한가?’, ‘성조숙증 여아들이 성조숙증 진단 후 운동에 참여하면서 일어나는 변화는 무엇인가?’로 설정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및 기술이 필요한 연구이므로 연구 참여자는 준거적 선택(criterion- based selection)에 의해서 현재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성조숙증 여아의 부모 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두 차례의 심층면담과 연구참여자와 면담 중 작성한 면담 노트, 성조숙증에 관한 인터넷 자료로 이루어졌으며,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해서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조숙증 여아들이 운동에 참여하는 이유는 성조숙증 진단 전에는 여아들의 움직이는 즐거움과 부모의 의도(스트레스 해소, 운동 습관 기르기, 주변 시설 이용 및 기술 습득, 건강 차원) 등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진단 후에는 병원에 다니면서 진료 담당 의사와 다양한 매체 그리고 부모들의 입소문을 통해 운동의 필요성을 접한 후, 성조숙증의 개선을(비만 예방, 스트레스 해소, 키 성장, 평생 운동하는 습관 기르기)위한 목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였다. 둘째, 성조숙증 여아들의 운동프로그램 참여를 살펴보면, 성조숙증 진단 전 운동 프로그램 선택 여부는 여아의 요구와 부모의 권유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자신들이 선호하는 운동 프로그램과 접근이 용이한 지역 체육시설에서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상황에 따라 운동 참여가 이루어지는 불규칙적이며 소극적인 참여 형태를 보였다. 그러나 진단 후에는 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한 후이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매일 운동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참여 형태를 보였다. 그리고 운동 프로그램 선택은 진단 전과 같이 여아의 요구와 부모의 권유로 이루어졌으나, 운동 프로그램의 내용은 예전보다 좀 더 구체화되었다. 예를 들면, 여아들이 선호하는 운동프로그램(방송 댄스, 발레, 외발 자전거, 음악 줄넘기, 인라인, 배드민턴, 농구), 여아의 키 성장에 도움이 되는 운동 프로그램(줄넘기, 음악 줄넘기, 수영)과 체육 시설 한 곳을 정하여 다양한 내용으로 매일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예; 태권도)등에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참여자인 부모는 매일 자녀가 운동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운동 참여 시 약간의 강제성을 띄고 있었으며, 초반 진입이 어렵거나 여아가 즐거워하지 않는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할 때는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형제, 또래 친구와 함께 하도록 독려하는 방법으로 운동 참여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진단 후에는 여아들이 운동에 참여하면서 신체적, 심리적 변화로 운동 참여 시 어려움을 느껴 참여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변화가 있었다. 셋째, 성조숙증 여아들은 성조숙증 진단 후 운동에 참여하면서 심리적 안정과 신체 균형의 정상 유지를 보였다. 그 밖에 전자 매체 이용시간 감소, 자연스러운 음식 조절 그리고 규칙적인 생활습관의 변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성조숙증 여아들의 성조숙증 진단 전부터 진단 후의 운동 참여 과정을 탐색한 결과, 성조숙증 예방 및 개선을 위해서 ‘운동은 필요하고 중요한 요소’라고 말할 수 있으며, 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매일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부모는 자녀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규칙적으로 매일 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여아들이 성조숙증 예방 및 개선을 위해 규칙적으로 매일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한데, 아직 어리기 때문에 부모는 적당한 개입을 통해 자녀의 운동 참여를 관리하고 문제가 있을 때에는 원인을 파악한 후 자녀와의 충분한 대화 그리고 주변의 도움(또래 친구, 운동 지도자, 형제)으로 해결하여 운동 참여가 지속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더불어 운동 지도자는 심리적 변화를 겪고 있는 성조숙증 여아들의 심리 상태를 고려한 교수법이 요구된다.;This research explores exercise participation process of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before and after precocious puberty diagno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ercising in preventing and improving precocious puberty,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research in the future on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hat are the reasons girls exercise before and after precocious puberty diagnosis?’, ‘How are girls’ involvement in exercise programs before and after precocious puberty diagnosis?’, ‘What changes occur to girls diagnosed with precocious puberty after participating in exercise?’ were selected as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case study method with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need of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pecific cases, five parents of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participating in exercise were selected based on criterion-based selection. Data of this study consists of two in-depth interviews, notes of the conducted interviews and online data on precocious pubert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adopted to analyze the data. Summary of the research conclusions attained by using the above research methodology are as follows: First, reasons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participated in exercise prior to the diagnosis were for the amusement of physical action and for their parents’ intentions (releasing stress, habituating exercising, using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and learning techniques, improving health). However, after being diagnosed for precocious puberty, doctors at hospitals, various media and word of mouth among parents introduced them to the necessity of exercising. And thus, girls participated in exercises to improve from precocious puberty (preventing obesity, releasing stress, growing height, habituating exercising). Second, regarding exercise participation for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prior to the diagnosis, selecting programs was dependent on demands of the girls or suggestions from their parents. The girls participated in exercise programs of the children’s preference or of nearby exercising facilities with easy accessibility and their participation in exercise program was irregular and passive. Preceding the diagnosis, however, because they have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exercising, the girls displayed active participation in regular and daily exercise. While selection of exercise program was still based on the girls’ preference or parents’ suggestion, programs were more specified. For example, girls participated in exercise programs of their personal preference (pop dance, ballet, unicycle, jumping ropes to music, in-line skates, badminton, basketball), programs designed to help their children grow taller (jumping ropes, jumping ropes to music and swimming), and daily exercise programs offered at a designated facility (for example, taekwondo). Also, parents were slightly compulsive in encouraging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daily exercise. Girls unenthusiastic about exercising or experiencing difficulty starting the exercise were motivated by participating in exercises along with their siblings or peers, which inspired them to continue their exercises. Furthermore, after the diagnosis, there were modifications in the chosen exercise programs due to physical and emotional transformation of the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Third, participation in exercise after being diagnosed for precocious puberty brought the girls emotional stability and maintained physical balance. In addition, changes such as decrease in electronic media usage, natural meal control, and regularization of life habits took pla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oring exercise participation of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before and after the diagnosis, it can be said that exercising is an important factor and a necessity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precocious puberty. Girls should understand the necessity of exercising and participate in regular, daily exercise. And parents should realize in advance that their children are susceptible to physical problems and thus foster an environment that allows daily exercise. Therefore, as regular and daily exercising is vital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precocious puberty, parents should supervise their young children to exercises, using adequate intervention. And in case a problem occurs, parents should analyze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engage in ample discussion with their children, inquire help from others (peers, sports instructor, siblings) to solve the problem and allow the children to continue exercising. For exercise instructors, a teaching method taking into account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girls experiencing precocious puberty should be ac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D.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성조숙증에 대한 이해 6 1. 성조숙증의 정의 6 2. 우리나라 성조숙증의 실태 7 3. 성조숙증의 원인 10 4. 성조숙증의 문제점 12 B. 성조숙증과 운동의 관계 14 1. 비만과 운동 15 2. 스트레스와 운동 16 3. 키 성장과 운동 16 4. 정서조절과 운동 18 Ⅲ. 연구의 방법 19 A. 연구 설계 19 B. 연구자에 대한 이해 21 C. 연구참여자 21 D. 자료 수집 26 1. 심층 면담 26 2. 문서 정보 29 E. 자료 분석 30 F. 자료의 진실성 33 1. 삼각 검증법 33 2. 동료 협의 33 3. 구성원간 검토 34 G. 연구의 윤리성 3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5 A. 성조숙증 여아들이 성조숙증 진단 전, 후 운동에 참여하는 이유 35 1. 참여 동기 35 가. 움직이는 것이 즐거운 아이들 35 나. 운동이 필요한 아이들; 주변의 권유 36 2. 운동에 참여하는 목적 38 가. 움직이는 즐거움과 부모의 의도 38 나. 성조숙증 개선에 도움 39 (1) 비만 예방 39 (2) 스트레스 해소 40 (3) 키 성장 41 (4) 평생 운동하는 습관 기르기 42 3. 운동에 대한 인식 43 가. 노는 것, 즐거운 것 그리고 도움을 주는 것 43 나. 꼭 필요하며 도움을 주지만 여아들 상황에 따라 다른 인식 44 (1) 공통적인 부분 44 (가) 반드시 필요한 것 44 (나) 도움을 주는 것 45 (2) 여아의 상황에 따라 다른 인식 46 (가) 즐거운 것 46 (나) 피하고 싶은 것 47 (다) 힘든 것 48 B. 성조숙증 여아들의 성조숙증 진단 전, 후 운동 프로그램 참여 51 C. 성조숙증 진단 후 여아들의 운동 참여에 따른 변화 63 1. 심리적 안정 63 2. 신체 균형의 정상 유지 64 가. 체중 유지 64 나. 키 성장 65 다. 골 연령의 변화 66 라. 성호르몬의 억제 66 3. 전자매체 이용 시간 감소 67 4. 자연스러운 음식 조절 68 5. 규칙적인 생활 습관 68 Ⅴ. 결론 및 제언 72 A. 결론 72 B. 제언 75 참고문헌 77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02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성조숙증 여아들의 운동 참여 과정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ERCISE PARTICIPATION PROCESS OF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dc.creator.othernameChoi, Sun-A-
dc.format.pagev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