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신체활동 중심의 치료레크리에이션 참여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신체활동 중심의 치료레크리에이션 참여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that participating in therapeutic recreation focused on physical activity has on the self-esteems and sociality of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s
Authors
정은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형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의 피해여성들에게 신체활동 중심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여가교육과 개인 스스로의 삶에 활력과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쉼터 중 2곳을 지정하여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회기와 시간, 내용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각 쉼터에 2010년 1월부터 입소 후 생활하고 있으며, A가정폭력 쉼터의 가정폭력 피해여성 총 26명(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과 B가정폭력 쉼터의 가정폭력 피해여성 총 20명(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원은 46명(실험군 23명, 대조군 23명)이다. 본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제작은 해당분야 전공 교수의 자문과 레크리에이션 및 치료레크리에이션 관련서적, 프로그램, 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2차례 토의를 거쳐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전실험단계에 도입하였다. 대상에게 맞는 프로그램의 적합성, 난이도, 소요시간 실시기간 및 횟수, 적용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였으며, 춤·드라마·오락물·취미활동·문학 활동·음악·사회적 활동의 영역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 구성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체적 활동에 중점을 두어 진행한 프로그램의 예로는 체조, 필라테스, 맨손운동, 요가 및 팀 게임, 릴레이 게임, 패드민턴(탁구 + 배드민턴)등과 같이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최종적인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소요시간은 약 60~90분이였으며, 실시기간 및 횟수는 2010년 9월 24일부터 2010년 11월 23일까지 약 10주 동안 총 20회 사전단계인 2주 동안 진행한 4회기를 제외한 총 16회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로는 M. Rosenberg(1965)가 개발한 개인의 자아존중감 즉, 자기존중정도와 자아승인양상을 측정하는 검사지를 이용하였고, 부정문항과 긍정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4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는 우울취약성으로 제안한 사회성과 자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Beck(1983)에 의해 개발된 60문항의 자기 보고식 척도를, 자율성을 제외한 사회성 척도 30문항 중 조정자(2006)가 24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사용하였고,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각 설문지를 점수화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타인을 배려하며 대인관계가 원만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실시하였고, 사전에 두 집단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파악하기위해 단일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각 분석에서 사전측정결과로 두 집단이 동일한 집단으로 확인 되었으며, 동일한 집단에 있어 프로그램 도입 전·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paired-sample t-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 보다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유의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대조군 역시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미미하지만 향상되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쉼터에 거주하는 피해여성들 역시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고 같은 공간에서 사람들과 어울리며 대화와 프로그램 참여 등을 통해 사회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실험에 참여한 집단이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받은 후의 변화가 더 높게 나타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도입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료레크리에이션 참여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심리를 이해하며, 정서적 안정과 신체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활동 중심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연구에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that participating in therapeutic recreation focused on physical activity has on the self-esteems and sociality of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s. The effects on self esteem or sociality was measured by providing programs centered on physical activities to find the potential ability to connect the leisure education to client’s own life. The ultimate goal is to find their own vitality and happiness in their lives. This experimental study is carried out within two shelters in Seoul under the same term and time. Participants were admitted to the shelters from January 2010 and on. There were 26 female victims (13people in experiment and 13people as comparisons) in shelter A, and 20 female victims (10people in experiment and 10people as comparison) in shelter B. So in total there were 46 participants(23people in experiments and 23people as comparisons). Thes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are organized after two times of discussion. The discussion is based on the advisor professor in this field, along with books related to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research reports and thesis. Suitability, degree of difficulty, time taken, period of program, number of times and problems on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lso identified and the program were organized focused on the areas such as dance, drama, entertainment, hobby, literary activity, music and social activity. Final program were developed and introduced based on the programs carried out in the center of physical activity, such as gymnastics, pilates, bare movement, yoga, team game, relay game and padminton (table tennis + badminton). The program took about one hour to one and a half hours, and the time period was around 10 weeks. This was done from September24th, 2010 to November23rd, 2010. During the 10 weeks of experiment, which consists of 20 times in total, and excluding the pre-experimental phase there were 16 times in total.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M. Rosenberg(1965) which measures the individual’s self esteem and aspects of self approval and constituted of negative and positive questions in 4-point scale. Questionnaire developed by Beck(1983) which constitutes 60 questions of self-report was used as standard to measure the sociality for measuring sociality and autonomy proposed by social vulnerability. 30 questions of the sociality standard excluding autonomy developed by Jo Jung Ja(2006)was reconstructed to 24 questions and was used and constituted of negative and positive questions in 5-point scale. Each questionnaires are evaluated and the high score means self esteem and sociality are high, caring for others an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also high.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groups. T-test was carried out to see whether the two group’s average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nalyzing data. It was confirmed by the pre-measured results that the two groups were the same in each analysis and paired-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see the difference within the same group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elf esteem and sociality in the groups participated in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than the groups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s. It was proven that as time went by the women victims who are admitted to shelter were able to calm down and they were improving socially by hanging out with other people and participating in programs. Group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had even bigger changes which proves that introducing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bring the positive effect on the self esteem and sociality. By taking account of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participating in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bring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 esteems and sociality.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e minds of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develop the therapeutic recreation in the center of physical activity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so that it can be presented as the base data to the other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