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1 Download: 0

무용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수행과의 관계

Title
무용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수행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pecificity Recognition and Job Performance of Dance Art Instructors
Authors
홍한나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Recently, in school-cultural art education, roles of the professionals are expanding and those of the art instructors are emerging as the essential part to decide success of the cultural art policy projects. So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dance art instructors' recognition on specificity and job performance and offer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instruction environments to lower their educational productivity. For achieving such research purposes, it examined recognition on specificity and the degree of job performance of dance art instructors who are working at the fields of school-cultural art education from their personal backgrounds,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specificity recognition and job performance and inspected the effects of specificity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the level of specificity recognition and the degree of job performance were distributed for 230 instructors who were selected as the dance art instructors in 2010 and worked in the school-cultural art education field. 200 copies(87%) were used for the research data excepting missing value and 30 copies partially wrongly processed(13%) among the distributed 230 copies. As for the data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 1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fter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spec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factor analysis to verify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reliabilit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specificity recognition, the degree of job performance of dance art instructors, and the difference in the personal backgrounds with Duncan test as Post-Hoc Test.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correlation among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ance art instructors' specificity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The results are like followings below. First, it showed that specificity recognition of dance art instructors was relatively higher. As for specificity recognition by background variab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economic status for age and in the social service function for marital status. For activity 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needs of specificity improvement, social service function and qualification specificity. For instructor care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needs of specificity improvement. For academic backgrou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needs of specificity improvement, social service function and qualification specificity. For instruction typ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needs of specificity improvement, social service function and the social economic status. And for existence ‧nonexistence of certificate for a regular teach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needs of specificity improvement, social service function, autonomy and sense of duty. Second, as for job performance of dance art instructors by background variab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usiness processing ability and self-development for activity a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plan and self-development for dance career, and in teaching plan for dance instructor career. For academic backgrou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plan and self-development, and in teaching plan, business processing ability and self-development for instruction type. Fin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plan, school life guidance, business processing ability and self-development for existence nonexistence of certificate for a regular teache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ity recognition and job performance of dance art instructors is like followings. Needs of specificity improvement, social service function, autonomy and sense of duty, qualification specificity of sub-factors of dance art instructors' specificity recognition had the significantly positive (+) correlation with teaching plan, school life guidance, business processing ability, work motivation and self-development of duty performance. Fourth, as for the effects of dance art instructors' specificity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needs of specificity improvement, social service function, autonomy and sense of duty, qualification specific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performance as the sub-factors of specificity recognition. If inspected by sub-factor of job performance, specificity improvement, social service function, autonomy and sense of du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ching plan. Social service function, autonomy and sense of duty, qualification specific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life guidance. Social service function and qualification specific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business processing ability. Autonomy and sense of du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work motivation. And, needs of specificity improvement and social service fun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development. From these research results. it showed that higher specificity recognition of dance art instructor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ive job performance. And, in order for art instructors to be professionals, job performance of instructors should be done spontaneously and effectively. Therefore, it's required to prioritize that art instructors themselves recognize lectureship as the professional and have pride and responsibility. In addi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cultural art education, art instructors need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have an active attitude to solve problems occurred in job performance.;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전문 인력의 역할이 확대되고 예술 강사의 중요성이 문화예술정책사업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중추적인 역할로 부각된 시점에서 무용 예술 강사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무용 예술 강사들의 교육적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근무조건의 개선과 지도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무용 예술 강사들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전문성 인식과 직무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무용 예술 강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수행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전문성 인식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전국의 2010년도 무용 예술 강사로 선정되어 학교-문화예술교육 분야로 파견되어 활동하고 있는 강사 230명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수행 정도를 조사하는 문항을 이용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230부 가운데 무응답치(missing value)나 부분적으로 잘못 처리된 설문지 30부(13%)를 제외한 200부(87%)를 본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무용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직무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개인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용분야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별 전문성 인식은 연령에 따라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사회봉사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영역에 따라서는 전문능력 향상 필요성, 사회봉사 기능, 자격기준 전문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 강사경력에 따라서는 전문능력 향상 필요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서는 전문능력 향상 필요성, 사회봉사 기능, 자격기준 전문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업유형에 따라서는 전문능력 향상 필요성, 사회봉사 기능,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교사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는 전문능력 향상 필요성, 사회봉사 기능, 자율성 및 사명감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 예술 강사의 배경변인별 직무수행은 활동영역에 따라서는 업무처리 능력, 자기계발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경력에 따라서는 수업지도, 자기계발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 강사경력에 따라서는 수업지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수업지도, 자기계발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업유형에 따라서는 수업지도, 업무처리 능력, 자기계발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교사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는 수업지도, 생활지도, 업무처리 능력, 자기계발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무용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수행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무용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 전문능력 향상의 필요성, 사회봉사기능, 자율성 및 사명감, 자격기준의 전문성은 직무수행의 수업지도, 생활지도, 업무처리능력, 근무의욕, 자기계발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무용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인 전문능력 향상 필요성, 사회봉사 기능, 자율성 및 사명감, 자격기준 전문성의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수행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수업지도는 전문능력 향상 필요성, 사회봉사 기능, 자율성 및 사명감의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지도에 있어서는 사회봉사 기능, 자율성 및 사명감, 자격기준 전문성의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처리 능력은 사회봉사 기능, 자격기준 전문성의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의욕에 있어서는 자율성 및 사명감의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계발에 있어서는 전문능력 향상 필요성, 사회봉사 기능의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용 예술 강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예술 강사들의 높은 전문성 인식은 효율적인 직무수행이 이루어진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술 강사직이 전문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예술 강사들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자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예술 강사 자신이 강사직을 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자긍심과 책임감을 갖는 일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예술 강사들이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성을 높이고,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생기는 문제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