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철균-
dc.contributor.author유지은-
dc.creator유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32-
dc.description.abstract팬덤의 미디어 소비 및 생산행위는 매체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을 이루며 변화해왔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컨버전스 환경은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생산자와 수용자 사이의 경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현 단계에서의 논의는 웹 2.0 이후의 변화된 인터넷 환경에서 컨버전스와 집단지성을 통해 달라지는 팬덤 양상에 대한 연구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 논문은 소셜 네트워크의 팬덤에서 나타나는 팬 문화 담론을 참여 구조를 통해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했다. 소셜 네트워크 중에서도 페이스북(Facebook)은 매체 자체가 가진 구술성과 대화적 미디어로서의 특성 때문에 그 자체로 사용자들이 전이단계, 즉 리미널리티(liminality)를 경험하는 연행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페이스북의 팬덤은 연예인을 흉내 내는 팬행위자와 그의 행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팬 관객을 중심으로 하여 세 가지 방식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첫 번째는 팬 행위자의 내재적-존재론적 참여이다. 이 때 팬 행위자의 참여는 연예인을 완전히 모방하는 미미크리(Mimicry) 놀이에 깝다. 즉, 기존의 미디어에서 제공된 스타에 대한 캐논으로서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모습을 그대로 흉내 낸다. 따라서 이때 일어나는 참여주체의 정체성은 내재적이다. 두 번째는 팬 행위자의 외재적-존재론적 참여이다. 이때 팬 행위자는 자신의 원래 정체성을 유지한 채로 세계를 바라본다. 이에 따라 팬 행위자는 연예인을 모방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자신의 사적인 이야기를 텍스트화한다. 이에 따라 스타의 기호에는 의미적인 변화가 생기며 이는 하나의 패논(fanon)으로 작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팬 관객의 내재적-탐험적 참여는 이와 같은 팬 행위자의 이중적 참여 양1상을 가능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으로서 직접 세계를 변화시키는 존재적 참여를 하지는 않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 탐험을 통해 팬 행위자의 텍스트 생산에 큰 영향을 끼친다. 페이스북 안에서 이와 같은 팬 행위자와 팬 관객의 참여는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며 이로부터 스타와 팬, 팬 행위자와 팬 관객 사이의 권력을 끊임없이 재분배한다. 이처럼 소셜 네트워크는 기존의 온라인 팬덤과 변별되는 팬덤의 참여 방식을 보인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참여가 팬덤의 특성인 차별과 구별, 기호학적 생산 능력, 자본 축적 능력에도 변화를 준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페이스북의 팬덤에서 드러나는 참여의 구조를 세 가지 유형으로 밝히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는 수많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나타나는 사용자 참여 중 페이스북에서 나타나는 사용자 참여의 일부를 팬덤 현상으로 보고자 하는 시도로서 이를 통해 팬덤의 계보학적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시도가 소셜 네트워크에서 나타나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팬 참여 연구로 확장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Fandom's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media have been changed, close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Convergence environment driven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influenced the boundary between the producer and consumer that produce and distribute the contents and social network service is the case in point. However, the present stage of discussion still did not lead to the studies on the aspects of fandom getting different through convergenc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changed internet environment after web 2.0.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discourse of fan culture found in fandom of social network through participation structure and investigate its meaning. Of social network, Facebook itself functions as performance space where users experience transition stage, that is liminality thanks to the media's oralitat and feature as conversational media. Due to these features, there are three kinds of participation in Facebook's fandom, centered around fan agent imitating celebrities and fan audience actively taking part in that action. The first one is fan agent's immanent-ontological participation. At this time, participation of fan agent is closed to mimicry amusements through which agents completely imitate celebrities. In other words, agents imitates celebrities exactly by utilizing the images as canon for stars provided by existing media. Hence, the identity of participation subject is immanent. The second one is fan agent's external-ontological participation. At this time, fan agent views world with its original identity maintained. For this reason, fan agent textualizes his or her private story departing from imitating celebrities. Accordingly, the star's taste experiences semantic change, which functions as fanon. Lastly, fan audience's immanent-exploratory participation is a decisive factor which facilitates their double participation aspect. It has a greate impact on fan agent's text production through active exploration despite its absence of ontological participation which changes world directly. This participation of fan agent and fan audience within Facebook constantly redistribute power between the star and fans, also, fan agent and fan audience, affecting each other. Like this, social network has meaning as subject of study on the grounds that it shows the way of fandom participation distinct from existing online fandom. Furthermore, this kind of participation makes a change in fandom's features such as discrimination, distinction, semiologic productive capacity and ability to accumulate capital. This parper, thus, aims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structure in Facebook fandom in three types and investigate its meanings. This is an attempt to see the part of user's participation in Facebook among user's participation in a number of social network as a fandom phenomenon, through which genealogical discussion of fandom would continue. Moreover, I expect this attempt would extend to the studies on the various form of fan participation in social net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대상 및 방법 9 Ⅱ. 소셜 네트워크의 연행적 요소 16 A. 현장 중심의 구술적 텍스트 16 B. 길놀이 구조의 인터페이스 19 C. 사진을 통한 페르소나의 형성 26 Ⅲ. 소셜 네트워크 팬덤의 사용자 참여 구조 30 A. 팬 행위자의 내재적-존재론적 참여 32 B. 팬 행위자의 외재적-존재론적 참여 39 C. 팬 관객의 외재적-탐험적 참여 44 Ⅳ. 집단창작과정으로서의 소셜 네트워크 팬덤 48 A. 집단적 기호 생산과 상징적 권력의 전복 48 1. 해방된 관객으로서의 팬 관객 48 2. 스타와 짝패관계를 이루는 팬 행위자 52 B. 팬 문화자본 형성과정의 놀이화 55 1. 반복과 변형의 놀이를 통한 캐릭터 수집 55 2. 수수께끼 놀이를 통한 지식의 축적 58 Ⅴ. 결론 및 함의 61 참고문헌 64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4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소셜 네트워크 팬덤의 참여 구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페이스북(Facebook)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Participation Structure of Social Network Fandom-
dc.creator.othernameYoo, Ji Eun-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