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윤문희-
dc.creator윤문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94-
dc.description.abstract여성 알코올의존자는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와 함께 그 수가 급증하고 있지만 사회적인 편견으로 남성에 비해 치료나 관심에 있어 소외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여성 알코올의존자는 우울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여성 알코올 의존자의 그러한 특성을 고려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프로그램이 여성 알코올의존자들에게 우울, 대인관계 및 금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2년 3월 12일부터 2012년 8월 13일까지이며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K병원과 Y병원에 입원해 있는 여성 알코올의존자로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 총 60명이다. 연구 도구는 우울감은 Beck(1961)이 개발하고 이영호(1993)가 번역한 우울 척도(Ba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대인관계는 Schlein과 Guerney(1971)가 개발하고 전석균(1994)이 수정 ․ 보완한 대인관계 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를 사용하였으며 금주 자기효능감은 Sklar와 Turner(1999)가 8문항의 단축척도로 개발한 Drug Taking Confidence Questionnaire-8(DTCQ-8)을 사용하였다. 인지행동프로그램은 Munoz & Miranda(2000)가 개발한 인지행동프로그램 매뉴얼을 정신과 전문의가 번역한 것을 토대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인, 정신보건 전문요원 5인의 자문을 얻었으며 국내 병원 실정에 맞추어 정신전문간호사 2인의 자문을 얻어 수정 보완해 10회기의 인지행동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전 주요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Unpaired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가설 검정은 Paired t-test, Un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지행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감이 감소하였다(t=5.599, p<.001). 2. 인지행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가 향상되었다(t=4.027, p<.001). 3. 인지행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금주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였다(t=4.353,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지행동프로그램은 입원한 여성 알코올 의존자에게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며 금주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 알코올의존 치료 현장에서 정신전문간호사들이 간호중재로 인지행동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As the number of women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increases, the number of female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lso has escalated. However, these women can’t get necessary medical attention from their society as significantly as men due to the social prejudice and stigma. Besides, these female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re more likely to end up with a serious relapse, for they usually have depressions and difficulties in buil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program by applying it to the female alcohol dependenc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on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to femal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to perform this study. The researcher assigned each 30 female patients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emale alcoholics admitted at K and Y hospital in Goyang City. The entire study was performed from March 12th to August 13th, 2012. Quantification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done by Back Depression Inventory(BDI), developed by Back(1961)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developed by Schlein and Guerney(1971), resp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abstinence self-efficacy, Drug Taking Confidence Questionnaire-8(DTCQ-8) was used. It was developed by Annis and Martin(1985), modified by Sklar and Turner(1999).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developed by Munoz & Miranda(2000).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chi-square test, t-test, paired t-test and unpaired t-test by using the SPSS WiN 15.0.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1) The first hypothesis was supported after implementing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depression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nes of control group (t=5.599, p<.001). 2) The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result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for the control group(t=4.027, p<.001) after implementing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3) The third hypothesis was also proven by the result that th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t=4.353, p<.001).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as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by increa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reducing the depression mood in female alcohol dependence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by psychiatric nur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 가설 5 D. 용어 정의 6 Ⅱ. 문헌 고찰 9 A. 여성 알코올의존자 9 B. 여성 알코올의존자의 우울, 대인관계 및 금주 자기효능감 12 C. 인지행동치료 17 Ⅲ. 연구방법 21 A. 연구 설계 21 B.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2 C. 연구 도구 23 D. 인지행동프로그램 25 E. 자료분석 방법 34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34 G. 연구의 제한점 3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6 A. 연구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36 B. 가설 검증 39 C. 연구의 의의 49 V.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5 부록 62 부록 1 연구에 사용된 설명문, 동의서 및 설문지 62 부록 2 인지행동프로그램의 회기별 내용 76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08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여성 알코올의존자를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Program for Femal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dc.creator.othernameYoun, Moon-Hee-
dc.format.pagev,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