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효정-
dc.contributor.author이미욱-
dc.creator이미욱-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갱년기 증후군 유무에 따른 발기부전, 우울,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5월 16일부터 10월 9일까지이며,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기업체와 모임, 그리고 인터넷 카페에서 모집한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남성 4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갱년기 증후군은 Morley et al. (2000)이 개발한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s(ADAM)를 김수웅 등(2004)이 번역한 Korean version of ADAM, 발기부전은 Rosen et al. (1997)이 개발한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IIEF)을 정태규 등(1999)이 번안, 타당화한 Korean version of IIEF, 우울은 Radloff(1977)가 개발하고 전겸구 등(1999)이 수정, 보완한 개정판 CES-D, 삶의 질은 민성길 등(2000)이 번안한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서술통계와 t-test, ANOVA, x²-test,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 연령은 51.84세로 기혼자가 79.1%였고 대졸 이상의 학력자가 54.8%였다. 종교를 가진 자가 63.0%였고 사무직 종사자가 35.3%였으며 월 200만원 이상의 수입을 가지는 비율이 58.2%였다. 흡연자는 57.9%였고 음주자는 75.5%였으며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66.1%였다. 2. 갱년기 증후군 증상을 경험하는 비율은 65.1%였고, 체력과 지구력 감퇴, 기력 감퇴, 성욕 감퇴, 발기력 감퇴가 높게 나타났다. 발기부전 점수는 44.46±12.25점, 우울 점수는 17.08±5.97점, 삶의 질 점수는 84.06±13.11점이었다. 3. 갱년기 증후군은 연령(x²=1.019, p=.040), 월수입(x²=10.142, p=.03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기부전은 연령(F=11.106, p<.001), 월수입(F=2.852, p=.024), 흡연(t=2.935,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은 교육수준(F=8.04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은 월수입(F=2.690,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갱년기 증후군 유무에 따른 발기부전(t=-2.259, p=.008), 우울(t=-3.908, p=.002), 삶의 질(t=6.918 p<.0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갱년기 증후군과 발기부전(r=.151, p=.003), 갱년기 증후군과 우울(r=.144, p=.005), 갱년기 증후군과 삶의 질(r=-.127, p=.013) 발기부전과 우울(r=.691, p<.001), 발기부전과 삶의 질(r=-.631, p<.001), 우울과 삶의 질(r=-.650, p<.001)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갱년기 증후군이 있으면 발기부전과 우울 점수가 높고 삶의 질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제공하고 증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관리와 간호중재 교육이 필요하다.;This descriptive research set out to investigate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late onset of hypogonadism among middle-aged men. The subjects included 416 men aged between 40 and 65.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consisting of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late onset of hypogonadism,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6, 2012 to October 9, 2012.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x²-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by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rate of late onset of hypogonadism was 65.1% with high points in reduc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endurance, energy, libido, and erectile function. The mean scores were 4.46±12.25 for erectile dysfunction, 17.08±5.97 for depression, and 84.06±13.11 for quality of lif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te onset of hypogonadism according to age and monthly income and in erectile dysfunction according to age and smoking and monthly inc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depression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and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monthly income.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ate onset of hypogonadism and erectile dysfunction, between late onset of hypogonadism and depression, between late onset of hypogonadism and quality of life, between erectile dysfunction and depression, between erectile dysfunction an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is study, when men experience late onset of hypogonadism, they tend to reported high points in erectile dysfunction and depression and have low quality of life. Therefore a need to provide active management and education on nursing intervention to help to reduce the symptoms of late onset of hypogonadism to the minim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중년 남성의 갱년기 증후군 7 B. 중년 남성의 발기부전 11 C. 중년 남성의 우울 15 D. 중년 남성의 삶의 질 18 Ⅲ. 연구방법 21 A. 연구설계 21 B. 연구대상 21 C. 연구도구 22 D. 자료수집 방법 25 E. 자료분석 방법 26 F. 연구의 제한점 27 G.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9 B. 대상자의 갱년기 증후군, 발기부전, 우울, 삶의 질 31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갱년기 증후군의 차이 36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발기부전, 우울, 삶의 질의 차이 39 E. 갱년기 증후군 유무에 따른 발기부전, 우울, 삶의 질의 차이 46 F. 대상자의 갱년기 증후군, 발기부전, 우울, 삶의 질 간의 관계 50 Ⅴ. 결론 및 제언 53 A. 결론 53 B. 제언 56 참고문헌 58 부록 74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65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중년 남성의 갱년기 증후군 유무에 따른 발기부전, 우울, 삶의 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late onset of hypogonadism among middle-aged men-
dc.creator.othernameLee, Mi Wook-
dc.format.pagev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