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5 Download: 0

성인 단안 약시 환자에서의 문양시유발전위 검사의 진단적 기준

Title
성인 단안 약시 환자에서의 문양시유발전위 검사의 진단적 기준
Other Titles
Diagnostic Criteria of Pattern VEP in Adult Monocular Amblyopic Patients
Authors
임선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기환
Abstract
성인 단안 약시 환자의 문양시유발전위 검사 결과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시 진단에서의 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병사용 진단서 발급을 위해 내원한 성인 약시 환자군과 정상군의 문양시유발전위 검사의 변수(Parameters), 즉 P100 잠복기, P100 진폭, P100 잠복기 및 진폭 비, P100 잠복기 및 진폭의 양안 차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단안 약시군은 47명, 정상 대조군은 39명이었다. 약시군에서 P100 잠복기, P100 진폭, P100 잠복기 및 진폭 비, P100 잠복기 및 진폭의 양안 차이는 모두 정상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약시를 진단할 때 기준이 될 수 있는 문양시유발전위 검사 변수의 수치를 ROC 곡선(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을 통해 절단값(Cutoff value)을 적용하여 구하였다. 기준 수치는 P100 잠복기는 113.50msec, P100 잠복기 비는 1.05, P100 잠복기의 양안 차이는 8.50msec, P100 진폭의 양안 차이는 5.25㎶ 였다. 반면, ROC 곡선에서 P100 진폭 및 진폭 비의 경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미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성인 단안 약시의 진단에서 문양시유발전위 검사 변수 중 P100 잠복기, P100 잠복기 비, P100 잠복기의 양안 차이, P100 진폭의 양안 차이가 진단에 유의한 기준이 될 수 있다.;Purpose: To suggest a diagnostic criteria of pattern VEP(Visual evoked potentials) in adult monocular amblyopic patien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normal group.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for the certificate for military servic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1 were reviewed. And then the parameters of pattern VEP: P100 latency, P100 amplitude, ratio of P100 latency, ratio of P100 amplitude, interocular difference of P100 latency and interocular difference of P100 amplitude were analyzed by comparing monocular amblyopic patients with normal control group. Results: There were 47 of monocular amblyopia and 39 of normal control group. All parameters of pattern VEP: P100 latency, P100 amplitude, ratio of P100 latency, ratio of P100 amplitude, interocular difference of P100 latency and interocular difference of P100 ampl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onocular amblyopic eyes and normal eyes(p<0.05). The cutoff values for diagnosis of adult amblyopia through ROC curve(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were 113.50msec(P100 latency), 1.05(ratio of P100 latency), 8.50msec(interocular difference of P100 latency), and 5.25㎶(interocular difference of P100 amplitud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between monocular amblyopic eyes and normal eyes about P100 amplitude and ratio of P100 amplitude through ROC curve. Conclusions: The value of parameters of pattern VEP: P100 latency, ratio of P100 latency, interocular difference of P100 latency, interocular difference of P100 amplitude could be the meaningful diagnostic criteria in diagnosing amblyop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