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혜영-
dc.contributor.authorZHANG, WENYI-
dc.creatorZHANG, WENYI-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9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9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명사형 관용표현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 양상을 고찰하고 명사형 관용표현의 교육에 도움을 주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 60명을 대상으로 명사형 관용표현과 구절형 관용표현에 대해서 각각 설문조사를 하고 고찰하였다. 분석 대상은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의 5개 기관에서 발행된 교재와 박영준 ⦁ 최경봉 편저(1996), ⌜관용어 사전⌟ 및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구절형 관용표현 중 명사형 관용표현으로 변환 가능한 것들을 추출하였고 명사형 관용표현 중에 명사형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장에서는 관용표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관용표현의 개념과 특성 및 범주에 대한 학자마다의 견해를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본 실험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위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하고 실험 방법과 절차 등에 관한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바탕으로 본 실험의 설문 실험 방법을 수정하였다. 4장에서는 본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 및 분석 작업을 하고 이에 따라 교육적 제안을 하였다. 분석은 각 변인에 따른 결과 분석과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에 따른 결과 분석의 2 단계로 진행되었고 이상의 변인들과 한국어 능력급수 및 체류기간과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였는데 이는 중국인 학습자의 명사형 관용표현에 대한 이해도에 대한 동태적인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이번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서 소홀히 하고 있는 명사형 관용표현은 중국인 학습자에게 매우 어려운 과제이기 때문에 구절형 관용표현과 함께 동시에 교육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명사형 관용표현을 교육 할 때 학습자들의 심리적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서 중국어에 유사표현이 있는 것부터 교육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일반적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관용표현 교육을 교재에 나오는 순서대로 진행하고 난이도가 높은 관용표현을 쉬운 것보다 시간을 많이 할애하여 교육하고 있으나 학습자에게 난이도와 관계없이 균등하게 교육을 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The main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is noun idiomatic expression in Korean idioms.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s about this research are rare and have not yet mature. Although the Koreans can learn from daily life easily, the noun idiomatic expression is still quite difficult for foreign students. Moreover,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do not have the related contents. Therefore, in order to shedding light on the teaching of Korean idioms, this paper studies and analyzes the Chinese students’ understandings and models of noun idiomatic expression based on the rhetorical question survey of 60 Korean’s Chinese students. The first chapter specifies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importance of teaching noun idiomatic expression; discusses the previous research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The second chapter sorts and discusses the concept, catachrestic and range of idiomatic expression. The third chapter, to ensure the test’s objectivity and accuracy, carries out the preliminary test from which to discover and correct problems exist in test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urth chapter statistics and analyzes the test results. This paper sets out from two perspectives, and the author gives several analyses in every perspective. The first perspective analyzes every different variable. It is static analysis. The second perspective combines every two variables, and then analyzes the test result based on the relevancy between the variables. It is dynamic analysi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is paper has conducted three speculations of the reasons. Firstly, in Chinese idioms there is no usage of omitting verbs and adjectives and not using a noun alone to form an idiomatic phras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Chinese students to learn the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Secondly,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findings, we get to know that learning foreign languages’ idiomatic expressions through the mother language often yields twice the result with half the effort. Therefore,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used for Chinese students is understandable. Thirdly, the Korean people always use formation reason and meaning transparency as a benchmark to judge the difficulty level of idiomatic expressions. In their points of view, noun idiomatic expressions that arise from different historical and social facts are most difficult for foreign students, while this paper has got a different result through experiment.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which grow out of Korean psychological factors are difficult for Chinese students, thereby comes the result that the Chinese students’ understanding level of noun idiomatic expressions is different from the Korean’s speculation. Finally, by analyzing the test results and speculating reasons which lead to these results, this paper has proposed three recommendations. Firstly, Chinese students are week in noun idiomatic expression study, and it is urgent to strengthen the teaching of noun idiomatic expression which is ignored in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teaching of noun idiomatic expressions should go hand in hand with that of idiomatic phrases. Secondly, in the process of teaching noun idiomatic expressions, similar idioms in Chinese can help the Chinese students break away from fears. So for students at primary or middle level, to begin with Korean idioms to which there are similar ones in Chinese will achieve maximum results with little effort. Thirdly, in general, idioms teaching is only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the textbook, and teachers spend more time on the idioms which they believe to be difficult. Through test, however, we found that students’ real understanding and teachers’ speculations often disobeys. So it may be more helpful and scientific to teach with equal time despite the difficulty le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선행 연구 검토 ... 4 C. 연구 대상,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 8 1. 연구 대상 ... 8 2. 연구 문제 ... 14 3. 연구 방법 ... 14 Ⅱ. 관용표현에 관한 이론적 배경 ... 18 A. 관용표현의 개념 및 특성 ... 18 B. 관용표현의 범주 ... 22 Ⅲ. 실험 과정 ... 25 A. 예비 실험 ... 25 1. 피실험자 ... 25 2. 실험 방법 및 절차 ... 26 3. 결과 분석 및 적용 ... 27 B. 본 실험 ... 30 1. 피실험자 ... 30 2. 실험 절차 및 방법 ... 33 Ⅳ. 명사형 관용표현의 본 실험 결과 분석 및 교육적 제안 ... 35 A. 각 변인에 따른 결과 분석 ... 35 1. 성별에 따른 분석 ... 35 2. 한국어 능력별에 따른 분석 ... 36 3. 체류기간별에 따른 분석 ... 38 4. 구절형 관용표현과 명사형 관용표현의 이해도 비교 분석 ... 40 5.중국어 유사표현 유무에 따른 명사형 관용표현의 이해도 비교 분석 ... 44 6. 한국인이 설정한 난이도에 따른 이해도 비교 분석 ... 47 B.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에 따른 결과 분석 ... 50 1. 한국어 능력급수별 관용표현의 이해도 차이 ... 50 2. 체류기간별 관용표현의 이해도 차이 ... 52 3.한국어 능력급수별 중국어 유사표현 유무에 따른 관용표현의 이해도 차이 ... 54 4.체류기간별 중국어 유사표현 유무에 따른 관용표현의 이해도 차이 ... 56 5. 한국어 능력급수별 난이도에 따른 관용표현의 이해도 차이 ... 58 6. 체류기간별 난이도에 따른 관용표현의 이해도 차이 ... 60 C. 결과에 대한 교육적 제안 ... 62 1. 명사형과 구절형 관용표현에 대한 제안 ... 62 2. 중국어 유사표현 유무에 따른 제안 ... 67 3. 난이도와 중국어 학습자의 이해도의 상관관계에 따른 제안 ... 70 Ⅴ. 결론 ... 75 참고 문헌 ... 78 부록 ... 82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21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명사형 관용표현에 대한 이해도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about Chinese students’ understandings of Korean noun idiomatic expression-
dc.creator.othername장문이-
dc.format.pagexi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