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일 대학병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유방암환자들의 오심, 구역, 구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일 대학병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유방암환자들의 오심, 구역, 구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 patients receiving breast cancer chemotherapy in a university hospital
Authors
반유화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원정
Abstract
암환자의 생존률이 증가하면서 투병 기간 중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신의학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항암화학 요법과 연관된 부작용 중 가장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오심, 구역, 구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 대학병원에 항암화학요법 시행을 위해 입원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오심, 구역, 구토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방 법 이대여성암병원에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기 위해 입원한 유방암 환자들 중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포함한 기본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심리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자기 보고 척도인D형 인격 척도(Type D personality scale 14, DS14), 병원 불안-우울 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전반적인 스트레스 평가 척도(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를 사용하였다. 오심, 구역, 구토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오심, 구토, 구역질 측정도구(Rhodes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NVR)를 사용하였고, 오심, 구역, 구토로 인하여 느끼는 괴로움의 정도를 시각사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결 과 연구대상자 152명의 사회인구학적 요소 및 임상적 상태는 오심, 구역, 구토와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예기성 오심, 구역, 구토가 심할수록 항암화학요법 후 오심, 구역, 구토가 심한 경향이 있었다. D형 인격, 불안, 우울은 오심, 구역, 구토와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스트레스 정도가 심할수록 오심, 구역, 구토의 정도가 유의하게 심하였고, 이는 항암화학요법 시행 차수, 항암제의 구토유발정도, D형 인격, 불안, 우울에 대하여 모두 보정한 후에도 유의하였다. 스트레스의 세부항목으로는 경제적인 문제, 우발적인 사고로 인한 스트레스, 일상생활 스트레스, 전반적인 스트레스의 정도가 오심, 구역, 구토의 정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는 암환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오심, 구역, 구토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으로 최근의 스트레스, 그 중 경제적인 문제, 우발적인 사고와 관련한 스트레스,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특히 중요하다는 이번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향후 항암화학요법 시행 시 암환자들 중 오심, 구역, 구토의 위험 요인을 가진 환자의 선별 및 급성 스트레스 관리 등 오심, 구역, 구토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정신의학적인 중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related to chemotherapy. Breast cancer patients who got admitted in Ewha womans university cancer center for women to receive chemotherapy participated in the study. Addition to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factor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ype D personality Scale 14(DS 14),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and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were used to evaluat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subjects. To examine anticipatory and post chemotherapy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the subjects filled out anticipatory and post chemotherapy Rhodes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INVR)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about the degree of the distress from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There was no sociodemographic or clinical factor related to anticipatory and post chemotherapy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Post chemotherapy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were significantly more severe than anticipatory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f the patient experienced more severe anticipatory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the higher scores of post chemotherapy were recorded.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type D personality, anxiety, or depression to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If the patient experienced more severe stress, the higher scores of anticipatory and post chemotherapy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were recorded. The tendency was retained after adjusting for the cycle number of chemotherapy, the emetic risk of the chemotherapy regimen, type D personality, anxiety, and depression. Specifically, financial problems, unusual happenings, ordinary daily stress, and general 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ife stress, especially for financial problems, unusual happenings, and ordinary daily stress of patient receiving cancer chemotherapy can be used as effective ways to reduce the risk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related to chemo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