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1 Download: 0

초음파 유도하 후두근전도의 임상적 유용성

Title
초음파 유도하 후두근전도의 임상적 유용성
Other Titles
Clinical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guided laryngeal electromyography
Authors
박희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성민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 후두근전도 검사는 성대 마비 및 성대 부전 마비의 원인, 병변 부위 및 마비 정도의 파악, 치료 계획의 수립과 예후 판정에 중요한 검사 방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후두근전도 검사가 임상적으로 활발하게 이용되지는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원하는 근육에 정확히 침전극이 위치했는지를 육안으로 검증할 수 없고, 환자가 침을 삼키거나 숨을 쉬면서 침전극의 위치가 변하기 쉬울뿐더러 후두근으로의 해부학적 접근이 비교적 어려운 편으로 특히 목이 짧고 두껍거나, 이전에 경부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정확한 후두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러 영상의학적 기법 중 초음파는 비침습적이며 해상도가 높고 구조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므로 후두근전도시 침전극이 후두근에 정확히 위치했는지를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초음파 유도하에 후두근전도를 시행하여 그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 2011년 11월에서 2012년 9월까지 후두 내시경 검사상 성대 마비 및 성대 부전 마비를 포함한 원인 불명의 만성 음성 장애가 있어 감별 진단을 위해 후두근전도를 시행받은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첫 내원시 환자의 경부 수술을 포함한 병력, 증상에 대해 문진을 시행하였고 목이 짧고 굵은지의 여부에 관하여도 미리 확인하였다. 후두 내시경 검사를 포함한 이학적 검사를 시행한 뒤 초음파 유도하 후두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영상의학과 의사가 10 MHz 탐촉자를 갑상연골 전방에 대고 횡단면을 이용하여 후두근을 비롯한 구조물들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하고 이와 동시에 이비인후과 의사가 초음파 유도하에 양측 윤상갑상근(cricothyroid muscle)과 갑상피열근(thyroarytenoid muscle)에 침전극을 삽입하였다. 이후 실시간 초음파로 후두근 및 침전극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후두근전도를 시행하였다. 후두근전도 검사 결과는 신경과 의사가 판독하였다. 연구 결과 : 연령분포는 29세에서 77세(평균 51세)였고, 남자가 7명, 여자는 3명이었다. 증상 발현 후부터 후두근전도를 시행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7-54주로 평균 20주였다. 성대 마비 및 성대 부전 마비의 추정원인으로는 원인미상이 6명(60%), 경추수술 2명(20%), 상기도 감염 1명(10%), 갑상선 악성종양 1명(10%)이었다. 침전극이 잘못된 근육에 삽입되어 초음파를 통해 확인한 경우가 1례 있었고, 침전극을 정확한 위치에 삽입했으나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전극의 위치가 이동한 것이 4례에서 확인되어 초음파 유도하에 전극의 위치를 재조정하였다. 경추수술을 시행받은 2례에서 초음파상 후두 주변 근육의 위축과 섬유화가 관찰되었으나 초음파 유도하에 원하는 후두근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었다. 아스피린 복용 병력이 있던 1례에서는 시술 중 혈종형성이 확인되어 검사를 중단하였다. 결론 : 초음파 유도하 후두근전도 검사는 후두근 및 주위 경부 구조물의 전반적인 상태 및 위치 확인, 침전극의 정확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발생 가능한 합병증의 조기 발견과 예방에도 도움이 되므로 보다 정확하고 안전한 검사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Background and Objectives : Laryngeal electromyography(EMG) is an important tool for the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of laryngeal movement disorders including vocal cord paralysis, vocal cord paresis and other neurolaryngological disorders. But, the widespread use of laryngeal EMG by physicians as a diagnostic aid in the evaluation of movement disorders of the larynx has not yet become routine. Because laryngeal EMG is an invasive and highly technical method. It is often difficult to insert the electrode on the exact position of the tiny muscles within the laryngeal framework. Ultrasonography can be useful and non-invasive tool for the evaluation of laryngeal structur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guided laryngeal electromyography. Subjects and Methods : 10 patients who referred to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Voice clinic for evaluation of vocal complai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completed detailed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including laryngoscopic examination before laryngeal EMG. Laryngeal ultrasound was done by one radiologist and overall larynge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nd ultrasonography guided laryngeal EMG was performed as co-work of one otolaryngologist, one neurologist and one radiologist. After insertion of needle electrode on laryngeal intrinsic muscle, it's location was confirmed using ultrasound. Results: There were 7 males and 3 females patients, the mean age of them was 51 years old. The duration from symptom onset to laryngeal EMG is 7-54 weeks, average 20 weeks. The presumptive etiologies are idiopathic(60%), previous cervical disc operation(20%), URI(10%), Thyroid cancer(10%). In one case, the ultrasound image showed needle electrode inserted in unexpectant location. In four cases, the needle electrode was inserted in accurate location at the beginning, but it got out of location due to swallowing, phonation. In all cases above, the location of needle electrode was corrected by concurrent laryngeal ultrasonography. In two patients with previous cervical disc operation, atrophy and fibrosis of cervical structures were noticed, but using ultrasonography, muscles within the laryngeal framework were well identified. The ultrasonography was also useful in two patients with short, obese neck. In one case, hematoma on thyroarytenoid muscle was discovered.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voice therapy including phonatory exercise or recommended to have surgical management. Conclusion: The laryngeal ultrasonography provid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overall cervical structure including laryngeal intrinsic muscles. Also, ultrasonography helps to detect and prevent possible complications during laryngeal EMG, such as formation of hematoma. The ultrasonography guided laryngeal EMG enables more accurate, reliable, safe way to evaluate laryngeal movement disord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