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수정-
dc.contributor.author나은혜-
dc.creator나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36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3616-
dc.description.abstract목적 뇌병변 환자는 제한성 환기기능 장애로 인한 호흡기계 합병증의 위험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환자들을 대상으로 호흡재활 훈련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방법 뇌병변으로 편마비 또는 사지부전마비인 환자 중 호흡기능평가 및 재활에 협조할 수 있는 정도의 인지상태가 되는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폐기능 검사와 최대 기침 유량, 횡격막 움직임 평가와 산소포화도 등의 호흡기능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한국형 수정 바델 지수를 검사하였다. 저자는 대상 환자를 무작위로 호흡재활을 시행하는 치료군(11명)과 시행하지 않는 대조군(11명)으로 나누어 치료군에 대해 호흡재활 훈련을 총 4주간 시행하였으며, 두 군 모두 일반 재활치료는 유지하였다. 호흡재활 훈련은 비구강 마스크을 사용한 공기누적 훈련과 횡격막 신경 및 복부 근육에 시행한 전기 자극으로 구성되었다. 4주 후 두 군에서 호흡기능에 대한 평가를 재시행하여 치료군과 대조군의 폐기능의 변화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호흡재활 훈련 전 시행한 호흡기능 평가에서 치료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료군에서 폐기능 검사의 기능적 폐활량(FVC)과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 최대 기침 유량, 횡격막 이동 면적과 산소포화도에서 치료 전후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p<0.05). 이에 반해 대조군에서는 호흡기능 평가에서 모두 치료 전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뇌병변 환자에게서 공기누적 훈련과 전기 자극을 사용한 적극적인 호흡 재활 치료가 폐기능을 향상 시키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적극적 호흡재활 치료와 조기 호흡기계 기능 평가가 뇌병변 환자들에게 있어서 재활 치료 프로그램에 필수 요소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patients with brain lesion have a high risk of pulmonary complication due to restrictive pulmonary impair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ctive pulmonary rehabilitation on pulmonary functional improvement in these patients. Subjects and Methods : Twenty-two patients of hemiplegia or quadriplegia with brain lesion were recruited, who could cooperate in pulmonary function test and rehabilitation. They had restrictive pulmonary impairment on pulmonary function test. Th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11) with active pulmonary rehabilitation training five days per week for 4 weeks and a control group (n=11) without it. The active pulmonary rehabilitation training is composed of air-stacking exercise by ambu-bagging and electrical stimulation on phrenic nerve (by 5mA) and abdominal muscle (by 15mA). Both groups received routine pulmonary rehabilitation as coughing exercise, deep breathing,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We examined respiration function test of all patients composed of peak cough flow (PCF), pulmonary function test (PFT), diaphragmatic motion evaluation and oxygen saturation (SaO2) at the beginning and 4 weeks after treatment. The diaphragmatic motion was checked by the difference of area at full expiration and full inspiration time by fluoroscopy. We also checked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at the beginning and 4 weeks after treatment.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eline pulmonary func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4 weeks treatment, FVC and FEV1, PCF, diaphragmatic motion, SaO2 all significantly improved (p<0.05) in experimental group, bu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detected in control group.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the active pulmonary rehabilitation with air-stacking exercise and electrical stimulation would be useful to improve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brain lesion. The active pulmonary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early pulmonary function test would be essential for brain lesion patient’s rehabili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II. 연구 대상 및 방법 A. 연구 대상 B. 연구 방법 C. 통계분석 III. 연구 결과 A. 치료전 호흡 기능 평가 지표의 비교 B. 적극적 호흡재활치료 프로그램를 받은 실험군의 치료 전후 호흡 기능 평가 지표의 변화 C. 대조군의 치료 전후 호흡 기능 평가 지표의 변화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84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뇌병변 환자에서 적극적인 호흡 재활 훈련이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Active Pulmonary Rehabilitation on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Brain Lesion-
dc.creator.othernameNa, Eun Hye-
dc.format.pageviii, 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