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수정-
dc.contributor.author김호정-
dc.creator김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33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3349-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visuospatial neglect and anemia in the patients of acute right cerebral infarction. And to assess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visuospatial neglect for making a decision of further management. Material and methods : To determine presence and severity of visuospatial neglect, line bisection test and Albert test were administered when the patients were transferred and discharged. For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visuospatial neglect and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a secondary analysis, some factors including sex, age, infarct siz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hemoglobin, hematocrit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test to evaluate the risk factor of visuospatial neglect. Results : A total of 124 patients with right cerebral hemisphere infarction were enrolled. Of these, 33 patients had visuospatial neglect. We found no direct relation between neglect and anemia described by hemoglobin and hematocrit. The risk factor of visuospatial neglect was lesion size of acute infarction. The patients with visuospatial spatial neglect had larger infarction size, lower MMSE score, higher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and lower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than without neglect. Their hospital day was also longer than patients without neglect. Conclusions : Anemia was not directly related to visuospatial neglect in this study.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valuate and manage the visuospatial neglect and anemia respectively rather than to expect that improvement of anemia affects to visuospatial neglect. In addition, larger infarct size was associated with presence of neglect. So, the patients with signs and symptoms of visuospatial neglect should be treated even if they were unable to accomplish evaluation exactly. ;목적 최근 편측 공간 무시와 헤모글로빈 사이에 연관성이 보고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우측 대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편측 공간 무시와 빈혈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이전의 연구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외에 편측 공간 무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아 향후 재활치료 계획에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방법 우측 대뇌 뇌졸중 환자 중 편측 공간 무시가 있는 환자에게 재활의학과 전과 당시와 퇴원 시에 선 이등분 검사와 알버트 검사를 시행하여 편측 공간 무시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편측 공간 무시 정도와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간의 연관성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 나이, 뇌졸중 손상 범위, 간이정신상태검사,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중 편측 공간 무시의 위험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124명 중 33명에서 편측 공간 무시가 있었다. 빈혈의 지표가 되는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과 편측 공간 무시 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없었다. 편측 공간 무시의 위험요소로 직접적인 연관 관계에 있는 인자는 뇌졸중 병변의 크기였다. 그리고 편측 공간 무시가 있는 환자의 경우 뇌졸중 병변의 크기가 크고 간이 정신 상태 검사의 점수가 낮았으며 미국국립보건원뇌졸중척도의 점수가 높고 한국판 수정 바델 지수 점수가 낮았다. 또한 이로 인하여 재원일수가 길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편측 공간무시와 빈혈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음을 밝혔다. 따라서 빈혈을 호전시켜 편측 공간 무시 자체의 호전을 기대하기 보다는 좌측 편마비 환자에서 빈혈과 편측 공간 무시에 대한 조기 발견 및 각각의 치료 계획을 세워 환자들의 뇌졸중 예후를 호전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뇌졸중의 크기가 큰 환자일수록 편측 공간 무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므로 초기에 정확한 평가가 불가능한 경우라도 편측 공간 무시의 증상이나 증후가 관찰될 경우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 대상 및 방법 3 A. 연구 대상 3 B. 연구 방법 3 C. 통계분석 5 III. 연구 결과 6 A.편측 공간 무시에 따른 특성 비교 6 B. 빈혈 유무에 따른 편측 공간 무시를 가진 환자의 특성 비교 8 C. 편측 공간 무시 정도와 빈혈 정도의 연관성 9 D. 편측 공간 무시의 위험 인자 10 IV. 고찰 16 V.결론 21 참고문헌 22 영문초록 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25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편측 공간 무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편측 공간 무시와 빈혈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dc.title.translatedRisk Factor of Visuospatial Neglect :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Visuospatial Neglect and Anemia-
dc.creator.othernameKim, Ho Jeong-
dc.format.pagev, 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