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주호-
dc.contributor.author우주현-
dc.creator우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15-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and Objectives : Distal gastrectomy using a laparoscopy is classified as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TLDG) and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according to the resection and anastomosis method after stomach and lymph node dissection. Most surgeons have performed LADG with extracorporeal anastomosis because of the technical difficulties of TLDG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However, recently TLDG has been reported to be feasible and more minimally invasive and is being attempted. We conducted this study to compare the short-term outcomes of LADG with TLDG to provide the basis for standardization of the laparoscopic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Subjects and Methods : In this prospective study, eighty nine patients with primary gastric cancer were randomized to have either TLDG or LADG from February 2011 to November 2012. Clinicopathologic features, operative details, postoperative course and quality of life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using EORTC QLQ-C30 and the gastric module STO22 on first visit for follow-up. Results : TLDG was performed in 45 patients and LADG was performed in 44 patients. Estimated blood loss was less in TLDG group than LADG group (169.7±120.4 mL vs 181.9±138.9 m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70). In TLDG group, operative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in LADG group (262.9±58.6 min vs 245.8±49.6 min) (p=0.05). The longest length of wound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LDG group than LADG group (2.9±1.3 cm vs 4.7±0.9 cm) (p=0.01). The first flatus was observed at 2.0±1.6 days in TLDG group and at 2.2±1.2 days in LADG group. Liquid diet started late in TLDG group than in LADG group (4.2±1.4 days vs 4.0±1.3 days). The length of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lightly longer in TLDG group than in LADG group (7.2±2.4 days vs 7.3±2.5 day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as observed between two groups (p=0.58, 0.68, 0.58). Forced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of day 4 decreased slightly less after TLDG than LADG (19.7±11.2% vs 19.1±9.4%, 19.0±12.5% vs 19.1±9.5%).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82, 0.97). Scores for global health,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were similar between TLDG and LADG groups.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no mortalities and no differences in the complication rates between two groups (6.7% vs 13.8%) (p=0.44).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LDG with Billroth II anastomosis was safe and feasible as LADG in gastric cancer. Surgical invasiveness and quality of life was similar in two groups. Howev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 of TLDG were smaller wound below umbilicus compared with epigastric wound after LADG.;복강경적 원위부 위절제술은 위의 박리와 림프절 절제술 등을 복강경으로 시행한 후 위절제와 문합을 하는 방법에 따라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과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로 나눌 수 있다. 복강경적 위절제술이 처음 시작된 이래로 문합의 안전성을 위하여 복강 밖에서 위절제와 문합을 시행하는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이 보편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에 비해 덜 침습적일 것으로 기대되는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위절제와 문합을 포함한 모든 수술이 복강경으로 시행)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에서 복강경적 위 절제술의 표준화를 위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과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의 단기간 치료 성적을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2011년 2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89명의 원발성 위암 환자들에 대해 무작위로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 또는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두 군의 임상병리적 특성, 수술소견, 수술 후 경과와 삶의 질을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과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을 각각 45명, 44명에서 시행하였다. 수술 중 추정 실혈량은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군에서 더 적었으나(169.7±120.4 mL vs 181.9±138.9 mL) 의미 있는 차이는 아니었고(p=0.70), 수술시간은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보다 의미 있게 길었다(262.9±58.6 분 vs 245.8±49.5 분) (p=0.05). 가장 긴 절개창의 길이는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군에서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2.9±1.3 cm vs 4.7±0.9 cm) (p=0.01). 첫 가스 배출 시기는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군에서 수술 후 2.0±1.6 일,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군에서 2.2±1.2 일이었다(p=0.58). 유동식을 시작한 시기는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더 늦었으나, 의미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4.2±1.4 일 vs 4.0±1.3 일) (p=0.68). 수술 후 재원기간은 두 군이 서로 유사하였다(7.2±2.4 일 vs 7.3±2.5 일) (p=0.90). 수술 후 4일째 측정한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와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의 감소정도는 의미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19.7±11.2% vs 19.1±9.4%, 19.0±12.5% vs 19.1±9.5%) (p=0.82, 0.97). 삶의 질 측면에서는 전반적 건강상태, 기능 척도, 증상 척도에서 모두 두 군이 유사하였다.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과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한 군 모두 연구기간 동안 사망한 환자는 없었고, 합병증 발생률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6.7% vs 13.8%) (p=0.44). 결론적으로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은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과 같이 기술적으로 시행 가능하고 안전한 술식이라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서 우리가 기대했던 두 술식의 침습 정도와 삶의 질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단,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 시 생기는 배꼽 아래 작은 창상은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시 생기는 상복부 창상에 비해 미용적 장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 대상 및 방법 4 A. 연구 대상 4 B. 연구 방법 5 1. 수술 방법 5 가.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이 문합방방법 7 나.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문합방법 8 2. 임상 경과 9 3. 설문지 10 4. 통계 분석 11 III. 결과 12 A. 임상, 병리적 특성 12 B. 수술 소견 13 C. 수술 후 경과 14 D. 폐기능 15 E. 합병증 15 F. 삶의 질 17 IV. 고찰 29 V. 결론 39 참고문헌 40 영문초록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549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원위부 위암에서 전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과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효용성 비교를 위한 전향적 무작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with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in Distal Gastric Cancer-
dc.creator.othernameWoo, Joohyun-
dc.format.pageix, 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