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은미-
dc.contributor.author양민주-
dc.creator양민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7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7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789-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에서 인간은 기술문명에 의하여 소외당하면서 물질에 종속적인 모습으로 변해 가고 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의미와 가치를 상실하게 하여 물질과 인간의 주종의 관계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인간존재에 대한 궁극적 가치와 윤리적 판단을 잃게 하였다. 이러한 현사회의 위기는 무엇보다도 현시대에서 추구할 참다운 인간상의 부재에서 기인한 바가 크다고 본다. 이에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은 여전이 절박한 질문으로서 유효하다. 예술은 인간의 불완전한 삶에 완전성을 제공하여 망각된 가치를 일깨우고 보완하며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다. 인간은 예술을 통해 참여와 경험, 관심과 집중으로 잠재성을 확인하고 변화하여 삶의 영역에서 정상적인 치유를 받고자 한다. 이에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예술의 경험을 통해 인간의 본질적 의미를 확보하여 예술적 추구인 균형과 조화를 통해 치유의 해결책으로 그 필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유한됨을 거부하고 초월하고자 죄의 유혹을 받은 불완전한 인간의 이해를 통해 현사회 속 물질에게 존재본질의 의미와 가치를 내어주고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과 연결하였다. 그리고 존재적 나약함에 반성과 용서를 구하여 신의 자비와 사랑으로 구원됨을 제시하여 회복가능성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라인홀드 니버의 인간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자비를 베푸소서」(2012)에 대한 분석은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과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으며 인간의 불가능성에 대한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찾고자 하였다. 무용작품에서는 인간을 신의 형상, 피조물, 죄인이라는 세 가지 모습을 기본적인 개념으로 설정하여 인간본성의 악, 죄인으로서 인간, 불가능한 가능성으로서 인간의 모습을 다루고자 세 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장면에 따른 무대공간을 내면, 사회, 신과의 만남의 장으로 구분하고, 상징적 의미를 갖는 오브제와 조명에 따른 무용수의 이미지를 변화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동시에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자연적 존재로서 자유를 갈망하는 인간이 자신의 한계를 확인하고 무한하고자 하는 죄의 유혹에 넘어가는 내용으로 인간의 악행이 본성적으로 악한 것이 아니라 불완전한 존재로서 불가피하게 나타남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무대의 하수 뒤 탑조명에 의한 한정된 공간에 노란색 조명이 비추어짐에 따라 자신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내면의 선과 악의 갈등을 표현하고 암전과 붉은색 조명으로 전환함에 따라 한계를 확인한 인간이 악의 유혹을 받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선, 호흡, 신체의 에너지를 통해 상승을 시도하나 계속해서 추락하듯 떨어지는 무용수 1의 움직임으로 인간의 무한하고자 하는 욕구와 한계를 묘사하였으며 신체를 문지르고 떠는 움직임과 어떠한 힘에 끌려다니는 듯한 동작을 통해 갈등과 불안 속에서 죄의 유혹에 넘어감을 이미지화 하였다. 2장에서는 존재의 가치가 뒤섞인 사회 속에서 본성의 불가피한 악으로 인해 물질의 노예가 되어 죄인으로 살아가는 인간의 나약함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돈, 권력과 같은 인간의 가치가 평가될 수 있는 힘을 상징하는 의자와 무용수2의 관계를 통해 사회 속 상실된 인간의 가치를 드러내고, 무용수 1의 단계적으로 확장되는 움직임을 통해 이러한 사회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끝없이 욕망하는 이성적이지 못한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무대하수 밖의 A공간을 물질의 대상이 집합된 공간으로 설정하여 오브제인 의자를 무용수 1이 계속적으로 무대 안 B공간으로 가지고 들어옴으로써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드러내었다. 1장과 달리 물질에 욕망하는 모습을 과장되게 표현하기 위해 무대 전체를 사용하고 직선패턴의 반복적인 이동경로를 통해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증가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빠르고 거친 무용수 1과 그 앞을 기어가는 무용수 2의 대조적인 움직임을 통해 사회현실 속에서 인간이 어리석고 나약한 존재임을 이미지화하였다. 3장에서는 신과 대화를 통해 자신의 어리석음과 나약함에 반성과 용서를 구하면서 존재에 대한 연민과 동정으로서 불가능한 인간의 가능성을 담아내었다. 무대 뒤 중앙의 탑조명에 의한 무용수 1의 공간은 신과 대화하는 만남의 장으로 설정하고 하수에서 상수 앞으로 이어지는 무용수 2의 공간은 사회 속 무용수 1을 나타내어, 무용수 1이 무용수 2를 응시함으로써 신 앞에서 자신의 무능함과 허물들이 확인되어짐을 표현하였다. 또한 조명을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무대 안에 무용수 1만을 비춤으로써 인간이 갖고자 하는 것들에 대한 허망함과 연약한 인간의 회복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때 무용수 1의 움직임은 1장에서 인간의 유한됨을 거부할 때와 반대로 무너져 내려앉으려는 무용수의 신체를 위로 끌어올려 몸을 바로 세워줌으로써 인간의 본질적 모습으로 승화되는 희망적 모습을 그리면서 작품을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자비를 베푸소서」를 통해 진정한 존재의미와 가치를 확인하여 ‘나’에 대한 이해와 반성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를 통하여 상실된 본질적 의미를 회복하여 나약하고 어리석은 인간의 모습에서 벗어나 성숙한 인간으로서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In contemporary society, human beings have become increasingly dependent on the material while being marginalized by technological civilization. Inevitably, this leads not only to the loss of meaning and value of human beings, resulting in a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terial, but also to the loss of ultimate value and ethical judgment of human existence. Such crisis of current society is primarily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true humanity to pursue in contemporary era. This ontological question of "what is human?" is effective as a pressing problem. Art has the power to provide the perfection to the imperfect human life, evoke and complement the value that is forgotten and overcome. Human beings confirm their potential by means of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terest and concentration through the art, and in the process, transform themselves, seek the normal healing in the area of life. This study is intended to secure the essential meaning of human through the experience of art for us living in contemporary era and highlight the need of the healing solutions based on the balance and harmony which represent artistic pursuit. In order to reject and transcend the limitation, this study provided a link to the nature of human who assign the meaning and value of existence essence to the materials in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imperfect human beings who are tempted to commit sins. Then, this study attempted to convey the recoverability by presenting the salvation of God through the reflection on existential weakness and the entreaty for forgiveness. Thus, there may be a need to ruminate on the value of human existence and seek the balance in essential meaning. The analysis of 「Please Have the Mercy on Us」(2012), a creative dance artwork,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ree aspects of the theme and contents, utilization of space and configuration by scene, movement path and movement(motion) of dancer based on the Theory of Humanity of Reinhold Niebuhr(1892∼1971), exploring the specific possibility for the impossibility of human beings. The artwork of dance was based on the basic concept related to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 who have the image of God, are created by God, and are sinners - and consists of the three Chapters in order to highlight the evilness inherent in human nature, human existence as sinner, and nature of human with impossible possibility. In addition, the stage space by scene was divided into the place for meeting the inner-self, society and God, and furthermore, the image of dancer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object and lightings that had symbolic meaning, in order to enhance the visual effects and convey the theme effectively. Chapter 1 describes the human beings who crave for freedom as natural existence and confirm their limitation and succumb to the temptation of sin in quest of eternity, and shows that the evil deeds of humans do not imply the evil nature of human and that such deeds are committed inevitably because they are imperfect existence. The yellow light is illuminated in the limited space by the top light behind the downstage of the stage, representing the conflict of good and evil in human beings who attempt to overcome their limitation and showing that human beings have been vulnerable to the temptation of evil as the illumination changed to dark and red colors. In addition, the desire and limitation of human beings were described by the motion and movements of dancer 1 who attempted to rise by means of the gaze, breathing, and body energy, but continues to fall, while the vulnerability to the temptation of sin amid the conflict and anxiety was visually represented by the act of rubbing the body, quivering motion and the act of being dragged by certain force. Chapter 2 depicts the weakness of human beings who live as the slave of material and the sinner because of the inevitable evil nature in society where the value of existence is intermingled. The value of human beings lost in the society was expres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ncers 2 and the chair symbolizing the power that can be the yardstick of human value, such as money and political power, while the unreasonable nature of human beings who have endless desire to survive in this society was expressed through the motions and movements of dancer 1 which were extended by phase. By setting the space A -- which was outside the downstage -- as a space where the material objects were collected, the chair, the object, was continuously brought into the space B by the dancer 1 inside the stage, highlighting the endless desire of human beings. Unlike the Chapter 1, the entire space was to express the human desire for materials in an exaggerated manner, and the linear pattern repetitive movement path showed that the inner anxiety and conflict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trasting movement of fast and tough dancer 1 and the dancer 2 crawling before the dancer visually highlighted the foolishness and weakness of human beings in society. Chapter 3 showed the human beings who have dialogue with God and seek forgiveness and reflection on their weakness and folly, suggesting the impossible human potentials based on the sympathy and compassion to the existence. The space for dance 1 was set as the place to interact with God, illuminated by the top lighting behind the stage, while the space for dancer 2 which was connected to the front area of upstage from the downstage highlighted the dancer 1 in the society who stares at the dancer 2, thus expressing that her incompetence and fault were confirmed before God. Moreover, the possibility of recovery of human beings from the weakness and emptiness of human desire was suggested by making use of light to illuminate only the dancer 1 in the stage gradually. At this time, the dancer 1 was pulled upward so as to help her stand upright when she was about to sink down in a way contrary to her previous refusal of human limitation in Chapter 1, thus presenting a hope of sublimation into the essential human nature when the curtain fell on the stage. This researcher intended to deliver the message that induced the understanding of and reflection on “me" by looking into the meaning and value of true existence through 「Please Have the Mercy on Us」, a creative dance artwork, and suggest that human beings could overcome the weakness and foolishness and lead a healthy life as human by recovering the essential meaning which was lo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6 A. 존재회복으로서의 가능성 6 1. 인간의 존재론적 가치 6 2. 치유가능성으로 보는 관점 9 B. 예술을 통한 인간성 회복 12 1. 극복수단으로서 예술 12 2. 치유로서의 무용 14 C. 라인홀드 니버의 인간론 17 1. 사상의 배경과 해석 17 2. 인간의 대한 이해 19 가. 죄인으로서 인간 19 나. 불가능한 가능성으로서의 인간 22 Ⅲ. 무용창작작품 「자비를 베푸소서」의 안무 의도 25 A. 내용적 측면 25 B. 형식적 측면 27 Ⅳ. 무용창작작품 「자비를 베푸소서」에 관한 분석 29 A. 주제 및 내용 29 B. 공간사용과 장면별 구성 32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45 Ⅴ. 결론 72 참고문헌 75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853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라인홀드 니버의 인간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자비를 베푸소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Please Have the Mercy on Us」Based on the Theory of Humanity of Reinhold Niebuhr-
dc.creator.othernameYang, Min Ju-
dc.format.page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